최근 방문

최저임금과 사회양극화 관련

JOAHE 작성일 18.01.05 07:38:09
댓글 9조회 994추천 3

최저임금문제가 자꾸 사회양극화로가서 자영업자대 비자영업자의 구도로가는것을 보면 참으로 안타깝습니다.

 

우리나라는 자영업자의 비율이 상당히 높습니다. 그러나 이것이 자영업자들의 문제일까요? 만일 그렇다고 한다면 학벌위주의 사회는 거기에 동참한(똑같이 획일적인 공부를 하고 대학진학만 목표로한) 대다수의 여러분들이 잘못인것이고 이는 보수진영에서 말하는 자유주의에 입각한 개인의 능력에따라 모든게 결정된다는것과 다를바가 없는겁니다.

 

결국 가난하다면 그사람은 게으르고 나태하여 인생을 잘못산것에 불과한것이죠...혹은 그 조상의 잘못이거나...그러나 아시다시피 그런게 아니지 않습니까?

 

저는 최저임금은 사회구조와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고 이둘은 상호영향을 받는 요소들이라고 보는데요...때문에 사회구조를 바꿔야하고 그것을 위해 최저임금도 올려야한다고 십년전부터 주장하던 사람입니다.

 

한번 생각해봅시다. 결국 우리사회는 자영업자비율이 높아졌고 그런가운데 상대적으로 저임금을 받으며 일하는 아르바이트생과 회사원들...과연 갑질은 자영업자가 한것이고 모든 이득은 자영업자가 가져갔을까요? 물론 그럴수도 있지만 대다수는 아닐것으로 판단됩니다. 그러면 그 이익이 누구에게로 갔을까요? 크게 두분류가 있다고 보는데 첫째는 대형프랜차이즈 본사 두번째는 건물주입니다. 즉 대형프랜차이즈와 건물주라는 갑이 사과백개씩 가지고 있는데 사과한개를 던져주고 자영업자와 알바생이라는 두 을이 서로 먹기위해서 싸우고 있는꼴이죠...

 

사실 우리중 대다수는 항상 사회구조문제를 논하지 않았나요? 고노동 저임금의 회사가 너무 많고 좋은 직장은 낙타바늘구멍통과하기만큼 힘들다...자영업자들은 대부분 그렇게 흐르고 흘러 최종적으로 도달한 위치라고 볼수있습니다. 결국 우리가 문제삼았던 사회구조 그리고 최저임금 갈등도 그때문에 만들어진 사회구조일뿐입니다.

 

누구도 자영업이 편하고 쉬워서 하는사람은 없을것입니다. 나쁜건 앞서 말했다시피 대형프랜차이즈와 건물주라고 볼수있죠...과거 설득의 심리학이라는 책을읽고 불로소득에 대한 우리사회의 경계가 매우 작았구나 느꼈습니다. 불로소득은 이런 사회 양극화를 조장하고 사회를 병들게하고 노동의가치를 떨어뜨리는 사회의 암과같은 존재입니다. 여기서 불로소득이란 아무런 노력도하지 않는사람뿐만 아니라 충분한 노력과 노동적 가치없이 고수익을 올리는이들입니다.

 

결국 자영업자들도 똑같은 일반인중 하나일뿐이고 이러한 사회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할 힘이없는 가난한 소시민일뿐인거죠(전부는 아니겠지만)...

 

단지 필요한건 정부의 역할입니다. 정부도 물론 부동산법 개정이나 최저임금인상에대한 차액지원 등은 하고있지만 사실구조적으로 몇몇자영업자들은 이미 작년 재작년임금지차 부담되는분야가 있습니다. 즉 분야별 차등화 지원을 해주고 구조를 바꾸기 위해서 특정 분야(카페나 pc방등 포화상태이고 쉽게차릴수 있는분야)의 경우 당해년도 이후 사업등록을 하는경우 지원을 하지않는등 구조를 바꾸기 위한 정책역시 병행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더욱이 불로소득에 대한 이득의 경우 증세를 통해 불로소득자들을 줄이고 세금의 기본원칙에 어긋나더라도 목적세로 두어서 그 이득을 을들인 자영업자와 알바생(직원)들에게 돌아갈수 있도록 예산편성을 하는것도 방안이라고 봅니다. 

 

대한민국의 고귀한 청년들의 신성한 노동의 가치는 인정받아야 마땅합니다. 또한 사회구조적 문제로 인해 자영업을 할수밖에 없었던 자영업자들의 생존이 걸린 눈물또한 우리가 잊지말아야할것입니다.

151510399679479.jpg

 
 

JOAHE의 최근 게시물
  • 0
    불로소득을 규제해야 한다는 것에 동의합니다. 노동력이 떨어지는 노인이나 장애우등에는 국가에서 복지로 살도록 해줘야 하고, 불로소득에는 지금보다 강한 규제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노동하는 것보다 훨씬 쉽게 훨씬 많은 돈을 번다는 건 문제가 있다고 봅니다. 더군다나 그렇게 함으로 노동이 얻는 수익이 줄어든다면 더 문제가 있죠.
  • 소크라데쓰18.01.05 08:05:07 댓글
    0
    불로소득을 규제해야 한다는 것에 동의합니다. 노동력이 떨어지는 노인이나 장애우등에는 국가에서 복지로 살도록 해줘야 하고, 불로소득에는 지금보다 강한 규제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노동하는 것보다 훨씬 쉽게 훨씬 많은 돈을 번다는 건 문제가 있다고 봅니다. 더군다나 그렇게 함으로 노동이 얻는 수익이 줄어든다면 더 문제가 있죠.
  • K2Hwan18.01.05 08:26:50 댓글
    0
    좋은글 잘보고 갑니다.
  • 이온iris18.01.05 09:12:24 댓글
    0
    어차피 경제학이라는 게 흘러가는 개념으로 어떤게 꼭 맞다고 할 수는 없지요...이미 공산주의가 실패로 돌아간 시점에서 우리네 인생에 있어 자본주의가 승리한 것처럼 보일 뿐 자본주의 역시 지금 시점에서는 무너져가는 경제원리라 할 수 있을 겁니다. 결국 국가가 강력하게 개입하는 수정자본주의라는 개념이 필요한 시점이고 지금 현재는 그러한 논리에 입각한 정책들과 아직 그 논리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사회의 갭화 현상이라고 보여집니다. 이념과 원리가 조장하는 갈등을 슬기롭게 해결하는 것이 정부가 해야할 방향이라고 봅니다.
  • rullu18.01.05 13:11:46 댓글
    0
    똥꿈 블로그에 화폐시스템에 대한 고찰이 잇어 흥미롭게 살펴 보앗는데요. 매우??설명은 어려우나 간단히 요약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어떤 화폐 시스템이나 수명이 잇다. 금본위 달러는 30년이 안되어 무너졋고 현재의 달러는 40년을 넘기고 잇다.보통 인간의 수명과 많이 다르지 않은 수준의 수명을 갖고 잇다.
  • rullu18.01.05 13:14:08 댓글
    0
    화폐시스템의 한계는 아무리 찍어내도 한방향으로 흘러서 서민으로부터 부자들로 흘러가기 마련이고 결국 돌이키기 힘든 수준의 양극화가 발생하면 그 화폐시스템은 수명을 다하고 하이퍼가 발생한다. (하이퍼는 일반 인플레와 달리 누적된 에너지가 한 순간에
    터져서 갑자기 발생하는 특성이 잇음)
  • rullu18.01.05 13:16:37
    0
    (화폐시스템이 무너지면 서민은 물론이고 부자도 목숨을 부지하기 힘든 세상이 되기 때문에) 각국의 정부들은 화폐 수명을 최대한 연장하길 원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2프로 수준의 인플레를 지속 관리해야 한다.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3가지인데 일반인은 금리를 가장 멀리 떠올리기 쉬우나 사실 가장 영향이 낮음. 금리< 환율< 상품가격 순으로 영향
  • rullu18.01.05 13:18:16
    0
    물가상승률 연 2프로 달성을 위해서 갈수록 금리를 점점 낮추고 부채는 점점 늘리는 방법 밖에 없는데. 화폐 시스템 붕괴 시점이 되면 일반적으로 금리가 제로가 되고, 부채가 생산량의 100프로가 된다. 이렇게 되면 정책적으로 쓸 수 잇는 수단이 얼마 안 남게 됨. 현재는 거의 대부분의 나라가 동시에 제로금리 부채 100퍼에 해당되엇음.
  • rullu18.01.05 13:27:19
    0
    (여기부턴 제 의견이 섞여 잇읍미다) 결극 양극화 가속이 화폐 시스템 붕괴 속도를 가속화 시켯고 이로 인해 다 같이 망할 거라는 뜻임.
    믈론 주류에서 받아들여지는 시나리오는 아니겟으나 앞으로 어떤 재정 정책도 상황을 개선하기 쉽지 않다는 점에는 동의할 수 밖에 없음. 아직 일본과 달리 한국은 부채도 금리도 여력이 남아잇기 때문에 양극화의 골이 깊어지지 않게 부의 재분배를 실행해야 하므 그러지 않으면 몇십년 (또는 몇년) 후의 일본처럼 부자 서민 할 것 없이 다 같이 종말을 맞게 될 것임. 제2의 공산 혁명이 전세계를 휩쓸던가..
    물론 가능성이 높은 시나리오라고 보진 않지만 전달하는 내용은 생각할 바가 많다고 봅니다.
  • rullu18.01.05 13:32:39
    0
    경제시스템이 계속 돌아가기 위해서는
    돈 찍어서 서민에게 풀고
    그 돈이 경제활동을 거쳐 부자한테 흘러가고
    다시 정부가 돈 찍어서 쌓아둔 돈은 가치가 떨어지고.. 부자들의 투자는 세금으로 회수하고..
    이게 반복 되어야 현제의 경제 시스템이 유지될 수 잇습니다.
    그리고 부자들 세금 수백억 낸다고 굶어죽지는 않지요. 없는 사람 몇십만원은 사람을 죽일 수도 잇어요.
    인간적으로 생각해 봅시다.
게시글 목록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추천수
공지 정치/경제/사회 게시판 이용규칙 셜록과존슨 2019.07.03 2,549,404 -
게시글 목록
87725 갑과을 17:50:33 464 5
87724 시진핑 17:28:53 557 3
87723 붸상구 16:52:16 844 2
87722 붸상구 16:48:18 801 0
87721 나나코코 16:45:30 876 14
87720 붸상구 16:44:21 789 1
87719 붸상구 16:43:04 785 1
87718 시진핑 16:20:35 1,020 2
87717 나나코코 15:49:58 1,385 10
87716 더러운날개 15:15:52 1,597 13
87715 사무엘s7 14:20:58 1,984 10
87714 붸상구 13:19:40 2,211 0
87713 처벌한다 13:18:20 3,078 20
87712 붸상구 13:06:48 2,109 2
87711 사무엘s7 12:46:36 2,412 10
87710 웨이빙플래그 12:15:17 4,927 22
87709 머니게임 12:13:40 2,483 5
87708 낙지뽁음 11:32:09 5,435 32
87707 재밌는짱공 09:21:36 3,774 1
87706 웨이빙플래그 09:10:02 3,333 10
87705 수괴의힘 09:08:56 5,291 26
87704 수괴의힘 09:08:01 5,758 33
87703 시진핑 08:20:15 3,537 0
87702 시진핑 08:10:45 3,702 3
87701 초꼬슴 04:32:25 5,847 13
87700 0홀랑0 00:59:11 12,917 49
87699 0홀랑0 00:57:55 12,077 49
87698 0홀랑0 00:56:10 11,561 37

정치·경제·사회 인기 게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