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방문

노무현 대통령 업적 총정리 ㄷㄷㄷ

무지개눈물 작성일 25.04.11 13:50:25 수정일 25.04.11 14:54:15
댓글 30조회 29,971추천 87

 

1. 기초노령연금 도입

지금 어르신들이 받는 기초연금의 뿌리

“노인이 가난해서는 안 된다” 는 목표.


 

2. 주 5일제 근무제 도입

주 6일제 근무가 당연했던 시절, 노동계·경제계, 정치계 다 반대함

지금의 ‘주말이 이틀’ 있는 삶을 만든 시작점.

 

 

3. 건강보험 통합개편

직장·지역보험이 나뉘어 혼란스럽던 건강보험을 하나로 통합.

보험 사각지대 감소하면서 전국민 건강보험 체계 기반이 됨.

 

 

4. 초중고교 무상급식 추진

무상급식도 노무현 정부 때 초등학교 일부부터 시작.

전국 확대는 후임 정부에서 이어졌지만, “학교는 배고프지 않아야 한다”는 논의의 출발점.

 

 

5. 전자정부 개발

민원24, 정부24, 전자세금계산서, 병원진료내역 통합 등

이 시기에 한국의 전자정부 인프라가 전부 완성됨.

 

 

6. 국민세금 납부내역 공개 시스템 구축

‘내가 낸 세금이 어디에 쓰였는가’ 알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

 

 

7. 주택청약 제도개편

청약가점제, 무주택자 우선 배정 등 이 시기에 기틀 마련됨.

 

 

8. 사법고시 폐지 -> 로스쿨 도입

고시낭인, 청년실업 심화로 인한 자,살자 속출 

수도권 중심, 취약계층·지방 소외 현상 심화 

실무형 법조인 양성을 위한 첫 시도

 

 

9. 국민참여재판 도입

미국 영화에서나 보던 ‘배심원제’를 시범도입.

검찰개혁과 사법개혁 시도, 정치적 중립성 강조

 

 

10. 지역 균형발전 정책

행정수도 이전 추진 -> 세종시 탄생의 초석

공공기관 이전 및 혁신도시 개발

 

 

11. 남북관계 유지 노력

2007년 제2차 남북정상회담 개최

6.15 공동선언 계승 및 10.4 남북공동선언 발표

 

 

12. 한미FTA 체결

반대 여론이 컸음: 농업·의료계 등 "국익 포기" 비판.

노무현은 “국제시장에 진입하지 않으면 미래는 없다” 고 보고 강행.

결과적으로 한국의 수출 경제 구조 다변화에 신의 한수가 됨!!

 

 

13. 이라크 파병

미국의 이라크 전쟁에 반대 입장을 피력했지만 자이툰 부대 파병 결정. 

한미동맹과 국제 사회의 현실 속에서 "최소인원 파병" 이라는 전략적 판단을 내림.

 

 

14. 제주 강정 해군기지 건설 결정

“평화는 말이 아니라 힘으로 지켜야 한다”며 주권국가로서의 해양 방어력 필요성을 강조.

이후 중국 견제, 남중국해 외교 전략에서 한국의 입지를 높이는 역할함.

 

 

15. 2008년 미국산 쇠고기 개방 "광우병 논란" 

뼈없는 28개월 미만의 쇠고기만 수입하도록 양국간 협의체결

 

 

16. 정치 권력의 탈권위화 실현

청와대 민정수석을 '감찰'이 아닌 '시민권익 보호'에 초점 맞춤.

"대통령도 욕먹을 수 있다"며 '대통령모독죄' 폐지를 지시함.

기자실 폐쇄, 오픈브리핑 시스템 도입 : 언론과 권력의 부적절한 유착을 끊으려는 시도.

 

 

17. 문화콘텐츠 산업 육성

"문화는 국력이다"라는 철학 하에, 콘텐츠 산업을 수출산업으로 본격 육성.

2005년부터 문화산업진흥기본계획 수립 → 이후 ‘문화강국’ 기반 마련.

드라마, 영화, 게임, 애니메이션, K-pop 등 한류 기반 산업을 처음으로 국가전략사업으로 지정.

문화관광부(현 문체부) 예산을 전례 없이 확대.

방송영상산업진흥기금, 게임산업진흥기금 등 신설 → 민간 콘텐츠 기업에 직접 자금 지원.

 

 

18. 해외문화원 및 문화홍보관 확대 설치.

해외 박람회·콘텐츠 마켓에 국내 기업 참가 적극 지원 (예: 칸, MIPTV, TGS 등).

한류를 단순 열풍이 아니라 외교 자산으로 격상.

 

 

19. 게임 산업 진흥

온라인 게임과 e스포츠를 산업으로 처음 인정하고 지원.

게임산업진흥법 강화, '스타크래프트' 전성기를 국가가 적극 뒷받침.

엔씨소프트, 넥슨, 넷마블 등 3N 이 급성장함.

지금의 e스포츠 강국 한국의 기반이 이때 만들어짐.

 

 

20. 자주국방 및 K-방산 수출 확대 초석다짐

당시 보수 진영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전작권 환수 원칙 합의 도출

국산 무기 개발 확대(예: K-21 장갑차, K2 흑표전차, 천무 다연장 로켓, 한국 최초의 이지스함 세종대왕함 구축, K21 보병전투장갑차 개발).

향후 K-방산 수출 확대의 기술·산업 기반이 이 시기에 쌓임.

 

 

05e5c0965bcdf3cc11368005d03c3429_375560.png
fdb059dc9b42bca78b090aafe60d5967_632668.jpg
ea3345e00aa3d349b975c23f76989e24_577551.JPG

 

 

 

21. 퇴임하면 고향 '봉하마을' 에서 살겠다는 약속 지킴

 

 

 

무지개눈물의 최근 게시물

정치·경제·사회 인기 게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