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방문

말도 안 되게 흥했다가 말도 안 되게 망한 회사.

꾸울꼬물 작성일 25.04.20 15:25:40
댓글 24조회 11,324추천 44
c238d5621d3874e28c57f4aed65f4257_593476.png

 

꾸울꼬물의 최근 게시물
  • 1
    결과론 적 얘기지만, 아이팟이 성공할 수 있었던 음악계와의 생태계를 형성했기 때문입니다. 음원을 소유하고 있던 음악계에게 mp3는 무한복제가 가능한 시장파괴자였습니다. 하지만 아이팟은 아이튠즈를 통한 음원소유 음악계와 서로 상생하는 생태계를 빠른 시간내에 형성하면서 mp3시장을 평정하게 됐지요. 물론 터치스크린을 사용한 사용자 편이성도 큰 역할을 했구요.
  • 0
    지금도 잘 나가긴 하는데 너무 하이엔드 시장이라 소수만 구입하는 상황이라 보통 사람들은 있는지도 모르는 기기임
  • 1
    요즘 국산 테블릿 생산 중이던대요 아이뮤즈... k11lte 가격이 14만원이라 사봤는데 쓸만합니다.
  • 푸우로도나리25.04.20 15:47:18 댓글
    1
    요즘 국산 테블릿 생산 중이던대요 아이뮤즈... k11lte 가격이 14만원이라 사봤는데 쓸만합니다.
  • 의미없다있다25.04.21 12:43:03 댓글
    0
    헉 한번 사버려 했는데 어디서 14이던가요?지금 건색은 24정도인데...혹시 구매처 추천좀.. ^^
  • 메탈리어카225.04.20 16:17:41 댓글
    1
    요새는 칫솔살균기같은거만들든데....
  • 남자는 사자25.04.20 16:31:21 댓글
    1
    고가 mp3시장이 있다는데 거기서 좀 논다던데
  • 4Jar25.04.20 16:42:49 댓글
    0
    로봇청소기, 제습기 팔던데요.
  • 얼붙발바닥25.04.20 16:47:07 댓글
    0
    산업용 청소기, 비데 만들어 팔던데요.
  • 단팔짱짱25.04.20 16:53:13 댓글
    1
    결과론 적 얘기지만, 아이팟이 성공할 수 있었던 음악계와의 생태계를 형성했기 때문입니다. 음원을 소유하고 있던 음악계에게 mp3는 무한복제가 가능한 시장파괴자였습니다. 하지만 아이팟은 아이튠즈를 통한 음원소유 음악계와 서로 상생하는 생태계를 빠른 시간내에 형성하면서 mp3시장을 평정하게 됐지요. 물론 터치스크린을 사용한 사용자 편이성도 큰 역할을 했구요.
  • 용인자연농원25.04.21 10:05:14 댓글
    2
    생태구이 맛있죠
  • 샘이깊은물25.04.20 17:16:13 댓글
    0
    제가 알기론 일본에서 하이엔드급 음향기기시장에서 잘나가던걸로 기억하는데.. 아니었나요??
  • 이러면나가린데25.04.20 19:18:59 댓글
    0
    지금도 잘 나가긴 하는데 너무 하이엔드 시장이라 소수만 구입하는 상황이라 보통 사람들은 있는지도 모르는 기기임
  • 훠큐25.04.20 20:35:53
    0
    @이러면나가린데 아스텔 앤 컨 이었나
  • 척팔라닉25.04.21 05:58:54 댓글
    1
    거기는 코원일겁니다.
  • 아편쟁이25.04.21 09:09:01
    1
    @척팔라닉 아스텔앤컨(아이리버의 HiFi사업부)이고 코원은 사라졌습니다.
    A&K 꽤 글로벌 인지도 높고 인정받는 회사입니다.
    이제는 유니콘이 되어버린 회사죠.
  • 야너가먹었냐25.04.20 21:54:11 댓글
    1
    클릭스가 나한텐 최초의 AMOLED였음 ㅋㅋ
    삼성옴니아보다 더 빨랐음

    그리고 저스케이트보드가 직관적이기도했는데
    재생시간이 YEPP보다 좋았던걸로 기억
  • asd25.04.21 03:29:49 댓글
    1
    솔직히 국산 회사라서 망했지 미국 회사였으면 애플 진짜로 씹어먹었을듯

    옛날에 편견이 양형들은 자국 물품 외국물품 구별 안하고 좋은거 쓰는 쿨한 형들 인지 알았는데

    국뽕 오지고 왼만해서 자국 물건 씀
  • 버닝고구마25.04.21 08:59:24 댓글
    1
    음원 자체가 당시 불법경로로 추출한거라.

    저작권자와 협의한 곳에 밀리는게 당연함.
  • 전전두엽25.04.21 08:59:55 댓글
    0
    디자인 바이 이노.. 시대의 획을 그었다..
  • 촉한25.04.21 09:05:51 댓글
    0
    아이리버 iFP-899 모델 아직도 모델명이 기억나네요 ㅎㅎ

    AA 건전지 하나 들어가던

    정말 잘 썼는데 몇 년 쓰다가 메인보드가 고장났어요 수리비가 10만 넘게 들어서 눈물 머금고 보내줬던 기억 그래서 아이팟이랑 비슷한 초소형 하드디스크 모델 내장한 모델 나왔었는데 맨 아래 이미지였던가...?

    그건 좀 기억이 좀 가물가물한데 그거 샀었던 꽤 비쌌는데 큰 맘 먹고 근데 배송 온 물건이 불량 걸려서 교환 처리했는데 교환 처리한 물건도 불량이라 짜증나서 반품했었던 기억이 납니다.

    나중에 들어보니 안에 내장된 도시바제 하드가 내구성이 설탕하드로 악명이 높아서 불량률 고장률이 높았다고
  • 골드메25.04.21 09:24:31 댓글
    0
    코원이랑 아이리버 망한 이유가 삼성에서 2000년대 초반에 반도체를 애플에 싸게 팔아서라고 들었는데요.
    당시 삼성이 국내 MP3시장에서 경쟁자인 코원이랑 아이리버를 엿먹이려한건지, 그저 애플에서 대량주문이라 그런건지
    메모리같은 반도체를 저렴하게 팔았고, 애플은 아이팟으로 대박나서 기사회생했고 그 자금으로 아이폰에 투자해 또 대박났다라고 들었는데
  • 실프03425.04.21 14:09:18 댓글
    0
    당시 삼성도 MP3 플레이어에 진출하면서 경쟁사 아이리버로 가는 낸드플래시 물량을 막았다는 소문이 있었습니다.
    어느게 맞는건지는 모르겠어요.
  • 파워에이25.04.21 19:05:56 댓글
    0
    아이팟 하나로 기사회생함.. 디자인이 살림
  • 스피드러너25.04.21 09:29:55 댓글
    2
    양덕준 신화. 당시에는 정말 기업인으로서 롤모델이었던 분!!
    아이리버(당시 레인콤) 본사 방문 했다가 화장실 옆사로에서 볼일 보고 계시던분 시선을 뺏어 기어이 눈인사를 했던 기억이 있는데.
    기술팀과 회의때 레인콤은 빠른 시일내에 휴대폰으로 전환과 현아이튠스 (당시는 그런 개념도 없었음)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그들에게 침을 튀기며 주장 했던 기억이 있다. 기업 조직은 생각보다 보수적이란걸 잘 알면서도 말이지. 당시 아이리버라는 아이콘 자체는 잘 브랜딩하고 기술진보를 했으면 동양의 애플이 될 수 있는 충분한 저력이 있었던건 사실인데 결국 거대기업들을 극복하지 못하고 무너짐. 아쉽.
  • 서드아이디25.04.21 15:00:06 댓글
    0
    이후 아스텔엔컨이라고 고급 DAP(mp3플레이어같은거)로 잘나가다 지난해 합병.. 지금 제 책상에도 sp1000+amp세트 있는데 이거 둘 가격이 800임 ㅎㄷㄷ
  • 정용이25.04.21 16:37:54 댓글
    0
    소리바다~~

엽기유머 인기 게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