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검색 결과(46);
-

[엽기유머] 인류가 풀어야할 난제 심해탐사의 비밀
지구 생명체의 발원지 우리가 딛고 있는 육지보다 훨씬 더 광활한 '바다' 우리가 바다에 호기심을 느끼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인간의 본능일지도 모릅니다. 지구에 있는 모든 생명체는 바다에서 발원되었으니까요. 그러나 평온해 보이는 바다 풍경과는 달리, 바닷속 세상은 아직 인간에게 그 비밀을 공개하고 있지 않습니다. 특히 '심해'라고 불리는 깊은 바다는, 우주만큼이나 인류가 정복해야 할 난제로 남아있습니다. 인류는 우주를 알고 있는 것에 비해, 얼마나 바다에 대해 알고 있을까요? 천문학이 크게 발전함에 따라, 인류는 지구로부터 약 130억 광년이나 떨어진 '천체'들을 관측할 수 있게 되었어요. 이제 화성이나 금성은 일반 망원경으로도 어느 정도 선명한 관측이 가능한 수준이죠. 그러나 바닷속 세상은 아무리 깊어 봐야 '약 11km'이지만, 아직도 인류는 온전히 심해를 관측하거나 파악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먼저, '심해'란 대체 어떤 곳일까요? 심해에 대한 뚜렷한 정의는 없지만, 흔히 수심이 200미터가 넘는 깊은 바다를 '심해(abyss)'라 부르곤 하죠. 현재까지 추측한 세계에서 가장 깊은 바다는 태평양 서쪽에 위치한 '마리아나 해구'인데, 최고 수심은 약 11,000미터에 이르죠. 이 정도 수심이면, 63빌딩(264미터)을 일렬로 쌓아도 41개가 들어갈 수 있는 깊이입니다. 그리고 바닷속은 보통 10미터 당 1기압씩 수압이 상승합니다. 따라서 수심이 11,000미터인 마리아나 해구의 수압은 약 1,100 정도 되는 셈입니다. 1,100기압은 대략 계산해서, 손가락 끝에 무려 110톤의 힘이 가해지는 것과 같아요. 예컨대, 손톱에 100톤 급 화물선을 올려놓는 정도의 가히 살인적인 압력이죠. 그러니 이러한 잔인할 정도의 환경을 직접 탐사한다는 것은, 과학이 아무리 발전해도 매우 어려운 일입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수압이 대체 어느 정도이기에 바닷속을 탐사하기 어려운 것일까요? 일단 수심 10미터의 수압은 지표면의 2배인데, 수면 밖으로 스노클을 연결해도 수압으로 인해 숨을 쉴 수가 없습니다. 수심 150미터에 이르면, 스쿠버 장비를 착용한 전문 다이버도 버티기 힘들 만큼의 두통과 근육 경련 현상이 나타납니다. 그리고 수심 318미터는, 스쿠버 장비를 착용하고 세계에서 가장 깊은 곳으로 잠수한 깊이죠.(남아공의 다이버인 누노 곰즈가 세운 2005년 기록) 수심 1,000미터가 되면, 인간은 커녕 군사용 잠수함도 들어갈 수가 없고 햇빛은 완전히 차단됩니다. 참고로 2,500미터는 향유 고래가 잠수할 수 있는 수심이며 3,784미터는 타이타닉호의 잔해가 발견된 수심이죠. <수심에 따른 수온 변화>: 수심 1,000미터까지 급변하지만, 심해로 갈수록 수온 변동값이 적다. 이 정도의 심해는 분명 인간이 놀러 가기엔 부적합한 장소임에는 틀림없습니다. 그렇다면, 인류는 언제부터 바닷속 세상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을까요? 인류는 15세기 대항해 시대 이후로, 바다 위를 자유롭게 항해할 수 있게 되었어요. 그러나 그 당시에는 이렇다 할 잠수복도 없었으니 바닷속은 미지의 세계였죠. 16세기에는 흔히, 잠수종(다이빙 벨)이라 불리는 잠수 장치가 개발되어 얕은 바다나 호수를 탐사할 수 있었어요. 그 후, 몇 백 년 동안 인류의 잠수 기술 진보는 미비한 수준이었습니다. 그러다가 20세기에 들어, 획기적인 잠수정이 등장합니다. 1934년, 미국의 발명가였던 윌리엄 비브는 잠수정 '배시스피어'를 만들어, 버뮤다 앞바다에서 923미터 잠수에 성공하죠. 그러나 이 정도의 잠수 기술로는 진정한 심해를 탐사할 수 없었습니다. 본격적인 심해 탐사는 20세기 중반에 시작됩니다. 역시 최종 목표는 11km의 깊이의 마리아나 해구 탐사였어요. 그런 측면에서, 1960년 심해 탐사는 매우 성공적이었죠. 1960년 2월 23일, 미국 해군 소속인 윌쉬와 피커드는 심해 잠수정인 '트리에스테(Triestie)'를 타고 마리아나 해구(1만 916미터)를 잠수하는데 성공했습니다. 그 후, 이 기록은 몇 십 년 동안 깨지지 않다가 한 유명한 할리우드 감독에 의해 경신되죠. 그는 영화 <타이타닉>의 감독 '제임스 카메론'이었습니다. 놀랍게도 그는 마리아나 해구 중에서도 가장 깊다는 비티아즈 해연(11,033미터)을 단독으로 잠수하는 진기록을 세웠습니다.(그는 이미 전문가 수준의 해양 탐험가이기도 합니다) 이처럼, 인류는 지구에서 가장 깊다는 마리아나 해구 속에도 들어갔는데요. 그러나 엄연히 말하면, 이는 '탐사'가 아닌 잠수 기록이죠. 심해를 제대로 알기 위해서는 단지 깊이 잠수하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지질학적 연구와 환경, 채집 등의 포괄적인 조사를 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현대적인 심해 탐사의 시초는, 1964년에 미국 해양연구소에서 만든 '앨빈 호'입니다. 앨빈호는 3인승 유인 잠수정인데, 대서양에 침몰한 타이타닉 잔해를 발견하는 데도 사용되었죠. 1980년대에는 6,000미터 급의 심해를 탐사할 수 있는 '심해 탐사선' 경쟁이 치열했습니다. 대표적인 심해 탐사 선진국은 '일본, 미국, 프랑스, 러시아' 정도인데요. 1985년에 일본과 프랑스는 공동으로, 일본 주변의 심해(3,000 ~ 6,000미터)를 탐사하겠다는 'KAIKO 프로젝트'를 계획하고 총 27회를 잠항했습니다. 1990년대에는 일본 해양연구소(JAMSTEC)가 '신카이 6500'을 개발하여 1,300회 이상 잠항하면서 심해 탐사의 절정기를 이끌죠. 신카이 6500은 일본 주변의 심해 뿐 아니라, 대서양과 동태평양의 깊은 심해를 탐사하면서 수많은 연구 성과를 올립니다. <신카이 6500이 포착한 희귀 사진>: 수심 2450미터, 블랙 스모커(해저의 퇴적물에서 분출하는 열수가 침전물을 내뿜어서 검은 연기처럼 보이는 것) <신카이 6500이 포착한 희귀 사진>: 블랙 스모커 주변의 침니에서 발견된 심해 새우 <신카이 6500이 포착한 희귀 사진>: 2011년, 동일본 대지진의 진원 해역에서 발견된 균열 <지진 전에 촬영된 진원 해역 모습>: 지진 전의 해저는 퇴적물로 덮이고 균열은 존재하지 않았다. 오히려 말미잘류도 많이 서식하고 있었다. 1995년, 마침내 인류는 '마리아나 해구'를 탐사하는 기적을 만들었습니다. 이 기적 역시, 일본에 의해 이루어졌는데요. 일본의 1만 미터급 심해 탐사선 '가이코(KAIKO)'는 마리아나 해구의 챌린저 해연(10,911미터)을 탐사하여, 인류 최초로 지구의 가장 깊은 바닷속의 풍경 사진을 얻었습니다. <가이코가 찍은 마리아나 화구의 모습> 언급했다시피, 수심 11,000미터의 수압은 1,100기압입니다. 말 그대로 '지옥'인데요. 가이코는 이러한 엄청난 수압을 견딜 수 있는 획기적인 장치를 부착한 심해 탐사선이었습니다. 탐사 결과에 따르면 이러한 무지막지한 수압과 깊이에도 불구하고, 마리아나 해구에는 해삼이나 갯지렁이와 같은 생물들이 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하지만 가이코는 2003년 잠항 중에 비클(항해 로봇)을 잃어버려, 현재는 '가이코 7000 Ⅱ'가 운용되고 있죠. 여담으로, 일본 해양 연구소에서는 특이한 심해 실험을 했는데요. 다양한 실험 중에서 유독 눈에 띄는 실험이 있었습니다. 그것은 1,500미터 수심에 있는 열수 분출공에 날계란을 넣으면 과연 어떻게 될지에 대한 실험이었습니다.(한번 추측해보세요) < 더 알고싶은 분들을 위해 >먼저, 열수 분출공은 지하의 마그마가 뿜어져 나와 바닷물과 결합하여 '열수'가 나오는 구멍을 말합니다.그리고 열수 분출공은 최초의 생명이 탄생한 유력한 후보지이기도 합니다. 그 이유는, 이 곳에서 생명체 탄생의 근원이 되는 메탄과 암모니아 등이 풍부하게 존재하기 때문이죠.또한, 열수 분출공에서 뿜어져 나오는 열수는 약 400도입니다. 심해의 수온이 약 2도인 것을 보면 엄청나게 뜨거운 물이죠. 13 이 열수 분출공에 날계란이 투입되면 어떻게 될까요? 실험은 4개의 계란을 각각 250℃, 200℃, 150℃, 100℃에서 5분 간 가열했습니다. 대부분의 학자들은 수압으로 인해 계란이 금방 깨질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그러나 실험 결과는 놀라웠습니다. 250℃에서 가열한 계란은 2분 만에 깨졌으나, 200℃와 150℃인 것은 노른자 부분이 반숙으로 익었습니다. 마지막으로 100℃인 것은 거의 생계란 그대로였습니다.(위 사진은 실험과 무관) 그리고 이 실험에 사용된 계란을 먹어본 결과, 바닷물 덕분에 맛은 적당히 짭짤했지만 열수 안에 있던 황 성분 냄새가 강하게 배어 맛이 상당히 비호감이었다고 하네요.출처.피키캐스트
키토모작성일
2015-04-13추천
56
-
-

[무서운글터] 대왕고래. 향유고래
안녕하십니까? 수학익힘책 입니다.기독교얘기나, 종교얘기에 지치신 분들을 위해 업로드를 시작하였어요뭐, 종교 얘기도 흥미로운 얘기지만, 올라오는 얘기를 보면 그냥 강요하는 기분밖에 안들더군요..퍼오거나, 흥미있는얘기들을 짜집기하며 하고있으니눈팅 잘~ 하시기 바랍니다 캬캬캬캬시작합니다!!향유고래.고래!! 하면 새우나 플랑크톤이나 잡수면서 산다고 생각하기 쉽죠?어떻게 그런거 처먹고 그런 몸매(?)를 유지 할 수 있는지도 의문이구요자세히 알아보고 우리보두 자랑해봅시다. 짱공유도 유식해 질 수 있습니다!!일단 향유고래는 전 세계 바다에서 고루 분포돼 서식하고 있습니다.심해 서식하는 이빨고래류 가운데 유일한 대형고래로 수컷의 몸 길이는 19m암컷은 13m로, 몸 전체의 35%를 차지하는 사각형의 무리와 쭈글쭈글한 피부 때문에 기괴한 모습으로 보이며돌고래처럼 초음파를 이용해 3000m의 심해에서도 2시간동안이나 잠수하며 심해 오징어들을 사냥합니다특히 향유고래는 커다란 머리 속에 들어있는 밀랍성질의 기름은 절대영도에서도 얼지 않는다 해요.(섭씨 -273도정도)또한 "용연향"이라 불리는 송진같은 향료는 바다의 신 "넵튠"의 보물이라 불리기도 합니다.이 떄문에 18세기부터 대량 납획되어 개체수가 급격히 줄어버렸죠...1만 2천 마리 정도로 추정되는 남극해의 향유고래들은 실제론 물고기와 오징어를 소화시킨 배설물을 통해 한 마리당 매년50만톤이나 되는 철분을 바다에 내놓고, 이 철분이 해수면 근처에 사는 식물성 플랑크톤의 먹이가 되어이들 플랑크톤이 광합성을 통해 대기중 이산화 탕소를 빨아들이는 방식으로 지구온난화 방지게 기여를 하고있답니다!!착한녀석들..ㅠ_ㅠ 내똥은 기여도 못하는데..특히, 향유고래의 배설물은 고래가 잠수하기 전에 액체 형태로 수면 가까이 방출되기 때문에 매우 효과적이라고 합니다.남극해는 질소는 풍부하지만, 식물성 플랑크톤에 필수적인 철분은 부족하다고 합니다. 향유고래가 호흡을 통해 내뿜는 이산화탄소가 매년 20만톤이나 되지만, 이런 방식으로 40만톤을 제거함으로써결과적으로 20만톤의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셈이라고 플린더스대학 생물학부 연구팀은 계산하였습니다.이는 승용차 1대가 내년 2만km를 주행할 때 대략 5톤정도의 이산화탄소를 내놓는다고 할때이산화 탄소 20만톤은 승용차 4만대가 내뿜는 양에 해당하는것입니다.위의 사진을 보면 향유고래가 얼마나 거대한지 코끼리의 비교사진을 통해서 알수 있습니다. 코끼리 한마리를 잡아도 마을 사람들이 며칠 배부르게 먹을텐데 이 향유고래 한마리를 잡으면.. 어휴~하지만 이런 소중한 향유고래를 무분별한 남획으로부터 지켜내야겠지요?이런걸 조사하고 옮겨적으면서 세상은 참 신기한거 투성이 인것같습니다.짱공유사람들만 봐도 그렇지 않습니까? 깔깔깔생물은 호흡을 하며 이산화탄소를 내뱉어냅니다. 특히 사람들이 만들어내는 이산화탄소는 어마어마하죠산업화가 시작되면서 예전과는 비교도 안될정도로 많이 올라가 있습니다.이는 온난화의 주범이 되며 결국엔 우리가 설 자리가 사라진다는것이지요그러나 이런 친구들때문에 그나마 이렇게 순환하고있지않나 생각을 해봅니다.덜쓰고 이런것도 좋지만, 이런 친구들을 보호하고 유지하는것도 좋을거 같네요마지막으로 동영상 하나 투척!!향유고래 vs 대왕오징어대왕오징어 크기 ㄷㄷㄷ
향유고래였습니다!!
-
-
-
-
-
-
-
-
-
-
-
-

[엽기유머] 스압)심해에 사는 생물들
심해(深海)란?- 2km 이상의 깊숙한 바다로, 사람이 수압 때문에 견딜 수 없는 그 이상의 공간을 뜻한다.
여기 사진 속의 고래들은 그 정도의 심해에 살지는 않는다만.. 그들이 내는 소리는 심해의 공포 못지 않다.
<향유고래. 중심해 생물로 1000m 까지 잠수할 수 있다.>
<심해어 캡쳐장면>
<심해어 캡쳐 장면>
심해를 탐험한 사람의 숫자는 우주여행을 한 사람의 숫자보다 적다.우리는 심해에 대해 알고 있는 것보다 달에 대해 알고 있는 것이 더 많다.심해를 탐험할 수 있는 탐사정은 전세계적으로 5대밖에 없다.이들이 지금까지 탐사한 심해의 면적은 전체 심해의 1%에도 미치지 못한다.심해생물은 높은수압과 빛이 없는 어둠에 익숙해지기 위해 스스로를 변화시켰다.그들은 높은수압을 견디기위해 몸이 커지는가 하면, 스스로 빛을 내기도 한다.
심해탐사선
온 몸을 가시로 무장한 귀신고기
눈에서 빛이 나오는 (발광) 심해물고기
눈이 정말 큰 심해물고기
눈이 아주 큰 초대형 갑각류
리본장어
심해문어 덤보 (코끼리 귀처럼 생긴 것이 움직임)
마귀상어/고블린샤크(Goblin shark)
큰입장어(gulper eel)
발광하는 안테나를 가진 심해아귀 - 이 빛으로 먹이감을 유인한다고 함
온 몸이 털로 덮힌 심해아귀
아귀는 생긴것도 이상한 것 만큼 생식법도 기괴합니다.(일부 아귀종이 이래요. 전부 그런거 아니에요)
아귀의 암컷은 몸길이만 40~50cm에 달하는데 반해 수컷은 아주 작죠. 5cm ~10cm 정도로 암컷의 꼬리 지느러미 일부분의 크기 정도도 되지 않습니다.한치 앞이 보이지 않는 심해 속에서 심해 아귀 암놈과 숫놈은 서로를 모른 채 유유히 부유하다가칠흙같이 어두운 심해를 밝히며 마빡에 초롱불을 발광하며 유유히 헤엄쳐 다니는 암컷을 발견하면 수컷은 잽싸게 암컷의 곁으로 다가가 암컷의 생식기 근처 아랫배로 다가가 암컷의 배를 꽉 물어버립니다.여기서 다른 동물들의 일반적인 생식 과정과 가장 다른 점이 나오는데요.
수컷이 암컷의 배를 물어버림과 동시에 서로 완전한 한 몸, 한 기관이 되는 동화기생을 시작합니다.
무슨 소린고 하면, 서로 만나기 전의 암놈과 숫놈은 서로 전혀 다른 별개의 생명체지만 숫놈이 암놈을 발견하고 암놈을 물어버리면 그 상태로 숫놈이 암놈의 일부로 완전한 한 몸이 되어 들러붙는 동화 기생과정을 시작한다는 겁니다.
왜냐..심해에서 살아가는 개체수가 워낙 적어일생동안 짝짓기를 하지 못한 채 다른 심해어에 먹혀서 죽거나 하는 경우가 다반사이기 때문에언제라도 암놈을 발견하면 그 즉시 바로 번식과정에 들어갈 수 있도록 진화한거죠.
<위 사진은 초롱아귀인데, 암컷의 등지느러미쪽에 수컷아귀가 암컷아귀와 붙어있다.>
<수컷은 짝짓기 기능 외 혈액의 순환을 포함한 모든 기능을 암컷의 기능에 의지하게 되고 평생을 혹처럼 암컷의 몸에 붙어 살게 된다고 한다.>
<위 두사진에 나오는 녀석이 수컷아귀가 암컷에 배에 융합해서 산다는 아귀이다. 위짤에서 보는것과 같이 암컷의 배부분에 수컷의 입이완전 융합되었다>
근데 번식에 있어서 어디가 신기하냐... 어디가 독특하냐... 암놈과 숫놈이 한 몸이 되는 동화과정이 되면서수컷의 독자적 의지는 점점 없어지고 암컷의 몸이 되어 암컷의 지배를 받기 시작하는데,떨어지고 싶다는 생각조차 할 수도 없게 된다네요.오로지 수컷 혼자서 할 수 있는 것은 그저 암컷의 혈액으로부터 공급받는 영양분을 섭취하는 일 뿐.동화기생이 다 끝나면 눈도 사라지고 입도 사라지고 수컷은 물고기 형태만 간직한 채 그냥 암놈 살가죽 밖에 붙어 있는일종의 하나의 부속 기관 같은 것이 되어 암놈 몸에 완전히 붙어버립니다.서로의 동화가 완료된 시점에서는 억지로 잡아 떼어도 떨어지지 않습니다.살점과 살점 사이가 완전히 녹아 들러붙어 버렸기 때문이죠.
그럼, 암놈 몸에 붙어버린 숫놈 어떻게 먹고 사는가? 입부터 붙어버렸는데..위에서도 살짝 언급했지만태아가 엄마 피를 태반에서 걸러 영양분을 흡수하는 것 처럼 숫놈은 암놈의 피에서 영양분을 흡수합니다.그렇게 살다가 암놈이 알을 낳을 때가 됩니다.그러면 암놈은 자신의 성 호르몬을 가지고 자신에게 기생하고 있는 수컷을 슬슬 조종하기 시작합니다그러다가 기가 막히게 산란을 하는 그 타이밍이 되면 암컷이 자신의 성 호르몬을 통해 수컷을 조종하며암컷 몸뚱아리에 달려 자신의 의지도 없어진 채 암컷의 지배를 받는 수컷의 생식기에서 암컷이 산란하는 알을 향해 정액이 사정되도록 조종합니다.(멘붕)
그렇게 수컷은 번식을 위한 암컷의 사정기계가 되어 살아가다가 죽습니다.
그렇게 산란을 끝낸 암컷은 수컷과 함께 죽습니다...
심해인면어
<심해인면어로 추정되는 사진>
심해장어
심해해파리 - 온 몸을 뒤덮은 섬모로 헤엄침
심해해파리
순간적으로 빛을 내는 심해해파리
심해해삼
은상어
잠보상어
투명오징어
해파리의 몸통을 훔쳐서 사는 영리엽새우
머리가 온통 투명해서 뇌구조가 다 보이는 심해물고기(배럴아이 물고기)
늘 위로만 보고 있는 눈...을 가진 배럴아이 물고기는 먹이를 잡을 때는 뭘 보고 잡나..
해저산맥 - 높이 3000, 길이가 45000으로 지구상 가장 거대한 산맥이라고 함.
보넬리아
이 동물은 동물의 성에 분화에 대해서 말할때 가장 많이 거론되는 생물 중 하나로
일정한 성이 존재하지 않는다.
보넬리아의 는 무성상태로 바다를 마구 떠돌다가 운이 좋으면 지나가던
암컷 보넬리아의 입으로 들어가서 거기 안착을 하게 되는데, 그러면
수컷으로 자라게 돼서, 자신을 입에 달고 있는 암컷과 짝짓기를 한다
만일 암컷을 못만나면 자라서 암컷이 돼버린다.
여전히 미스터리로 남아있는 남극 심해 괴생물체 닝겐
<인터넷에 많이 나와있어요. 궁금하시면 검색 ㄱㄱ>
보너스로 심해 조각 작품 감상. : 설치미술가, 재이슨 - 2006년 재이슨은 서인도 그레나다에서 세계 최초로 물 밑에서 설치작품을 만들었고, 환경과 모던아트를 연결 짓는 작업에서 세계적인 관심을받아 14년동안 세계 곳곳에서 다이빙도 해왔다.http://www.underwatersculpture.com/In May 2006, Jason completed the installation of the world first underwater sculpture park in Grenada, West Indies. He has gained international recognition for this unique work that highlights ecological processes whilst exploring the intricate relationships between modern art and the environment. By using sculptures to create artificial reefs, the artist interventions promote hope and recovery, and underline our need to understand and protect the natural world. Jason is a fully qualified diving instructor and underwater naturalist with over 14-years of diving experience in a variety of countries.
http://instiz.net/mystery/3531
면죄자작성일
2012-04-29추천
5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