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검색 결과(3,236);
-
-
-

[게임] 서머너즈워 X 귀멸의 칼날 콜라보레이션 소식
지난 2024년 1월 10일 서머너즈 워: 천공의 아레나 X 귀멸의 칼날의 콜라보 이벤트가 시작됐습니다. 이번 이벤트는 3월 9일까지 약 2달에 걸쳐 장기적으로 진행되는 프로젝트인데요. 아마도 2025년 개봉을 앞둔 무한성을 염두해둔 이벤트가 아닐까 생각이 듭니다. 이번 콜라보는 다양한 이벤트와 함께 귀멸의 칼날 캐릭터들을 획득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집니다. 특히 태생 5성 히메지마 쿄메이는 미션 수행을 통해 확정 지급 받을 수 있어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데요. 어떤 내용들이 있는지 하나씩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메인 화면 우측 상단에 귀멸의 칼날 지역이 새롭게 생성이 됐는데요. 거기를 들어가면 귀살데 임무, 미니 게임, 합동 강화 훈련 그리고 출석보상 같은 다양한 콜라보 콘텐츠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귀살대 임무에 들어가시면 임무를 달성하고 귀멸의 칼날 이벤트 주화와 크리스탈 등 보상을 획득할 수 있습니다. 미니게임 플레이에서는 누적 콤보, 주먹밥 획득 같은 미션을 달성하고 점수를 획득할 수 있는데요. 200점을 달성하면 신비의 소환서 10개를 획득할 수 있습니다. 현재 공개된 전력 달리기 훈련은 캐릭터를 조작해 장매물을 피하거나 재화를 습득해서 더 많은 거리를 이동하는 게임입니다. 색다른 즐거움과 함께 보상을 획득할 수 있어서 좋더라고요. 합동 강화 훈련에서는 스테이지를 클리어하고 보상을 획득할 수 있는 콘텐츠입니다. 여기서는 콜라보 캐릭터인 카마도 탄지로, 카마도 네즈코, 아가츠마 젠이츠, 하시비라 이노스케를 미리 체험해볼 수 있는 콘텐츠인데요. 이번에 나온 콜라보 캐릭터들의 능력이 상당히 좋더라고요. 이번 콜라보레이션에 등장한 캐릭터는 카마도 탄지로, 카마도 네즈코, 아가츠마 젠이츠, 하시비라 이노스케, 히메지마 교메이 이렇게 5명입니다. 소환을 통해 획득할 수 있지만, 앞서 언급을 했듯이 미션 진행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캐릭터도 있습니다. 이벤트 탭에 들어가면, 히메지마 쿄메이 지급 이벤트, 콜라보 기념 특별 강화 상점 이벤트, 귀멸의 칼날 스킬 연구소 이벤트, 미니 게임 플레이 이벤트, 신비의 소환서 보너스 이벤트 등 다양한 이벤트가 진행 중인데요. 핵심은 히메지마 쿄메이 지급 이벤트입니다. 여기서는 10종의 미션이 존재. 10종을 모두 완료하면 태생 5성 바람속성의 히메지마 교메이를 획득할 수 있습니다. 히메지마 쿄메이의 경우 룬 세트까지 풀장착 되어 지급되기에, 즉시 전력으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게다가 간단한 미션이라서 복귀 유저들의 경우에는 1~2시간 정도 플레이만 해도 획득이 가능하다는 점이 핵심이라고 할 수 있죠. 또한, 토키토 무이치로의 훈련 미션, 이구로 오바나이의 훈련 미션, 시나즈가와 사네미의 훈련 미션, 히메지마 교메이의 훈련 미션을 순차적으로 클리어 하면 귀멸의 칼날 이모티콘을 비롯해서, 기념상, 등나무 숲의 특별 보상 등을 획득할 수 있습니다. 보통 이런 이벤트의 경우 보상을 주려는 의도가 강하기 때문에 꾸준히 플레이만 해도 얻을 수 있는 보상이 상당합니다. 귀멸의 칼날 스킬 연구소 이벤트는 태생 5성과 4성 콜라보 캐릭터 중 1마리씩 지정하여 모든 스킬 최대 레벨 업과 6성 진화, Lv.40 강화를 한번에 진행할 수 있습니다. 게임을 통해 획득한 콜라보 캐릭터들을 소환 완료 된 콜라보 캐릭터를 부담없이 성장 시킬 수 있어서 좋습니다. 그리고 컨텐츠 진행이나 출석 혹은 미션 달성 등을 통해서 획득한 귀멸의 칼날 주화는 귀멸의 칼날 강화 상점을 통해 다양한 아이템으로 교환이 가능한데요. 이벤트 주화를 누적 획득하여 이벤트 상점을 강화시킬 수 있고, 귀멸의 칼날 소환서, 전설의 전속성 소환서, 빛과 어둠의 소환서, 전설의 소환서 등을 획득할 수 있습니다. 인게임뿐 아니라 커뮤니티를 통해 진행되는 이벤트들도 있습니다. 2024년 3월 2일까지 이번에 새롭게 추가된 귀멸의 칼날 캐릭터와 신규 콘텐츠에 대한 나만의 공략법을 올리면 보상을 받을 수 있는 이벤트입니다. 보상으로 공략왕 10명에게는 SD피규어 Vol.2 [물 속성 마법 검사 or 물 속성 선인 or 불 속성 뱀파이어 (랜덤 발송)]x1, 정성상 30명에게는 신비의 소환서x5, 크리스탈+100 그리고 참여자 전원에게 신비 소환서x1, 에너지+100, 마나석+100,000를 지급합니다. 참여만으로도 보상을 받을 수 있으니 나만의 공략을 올려보는 것도 좋을 거 같습니다. 사실 위에서 언급한 내용 이외에도 더 많은 이벤트가 진행 중입니다. 장기간 진행되는 이벤트이고, 받을 수 있는 보상도 많기 때문에 신규 혹은 복귀를 노리는 유저들이 있다면 지금이 적기가 아닐까 생각이 드네요.
-
-
-
-
-
-
-
-
-
-
-
-

[게임] 소니 ‘PS5 프로’, 고가 정책 독됐나… 판매량 부진 신호
美·日 제외하고 초기 판매량 부진PS4 프로는 시리즈 전체 판매량 20% 차지고가 정책에 일부 사용자들은 게이밍 PC로 전환 소니인터랙티브엔터테인먼트가 최신 콘솔 게임기 ‘플레이스테이션(PS)5 프로’를 지난 7일 출시했지만, 성능 업그레이드에도 시장의 반응은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전작 PS5 대비 그래픽처리장치(GPU) 성능이 45% 향상되는 등 하드웨어적으로 진화했으나, 비싼 가격과 제품 구성에 대한 논란이 판매량 부진으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 스캘퍼들조차 정가 이하로 제품 판매 23일 시장조사업체 써카나(Circana)와 관련 업계 등에 따르면, PS5 프로의 초기 판매 실적은 지역별로 엇갈리고 있다. 일본과 미국에서는 PS5와 비슷하거나 소폭 상회하는 판매량을 기록했지만, 영국을 포함한 유럽에서는 출시 직후부터 판매 부진 신호가 뚜렷하다. 영국 대형 소매업체 아고스(Argos)는 출시 후 불과 6일 만에 PS5 프로 가격을 인하했으며, 스캘퍼(특정 인기 상품을 대량으로 구매한 뒤 웃돈을 붙여 판매)들조차 정가 이하로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 PS5 프로의 판매량 부진은 PS5가 출시 초기 전 세계적으로 품귀 현상을 빚으며 기록적인 수요를 보였던 것과 대비되는 결과다. 당시 콘솔 게임 시장이 작은 한국에서도 PS5는 출시 이후 1년이 넘도록 ‘없어서 못 사는’ 기기로 자리 잡았으며, 수요를 충족하지 못한 공급난으로 리셀러들이 웃돈을 붙여 판매하는 상황이 이어진 바 있다. PS5 디스크 에디션의 출고가는 62만8000원이었으나, 인터넷 오픈마켓에서는 프리미엄이 50% 이상 붙어 90만원이 넘는 가격으로 거래됐다. 소니가 PS5를 사전예약 방식으로 판매를 진행했지만, 매번 몇 초 만에 품절되는 상황이 벌어졌다. 플레이스테이션(PS)4 프로도 지난 2016년 11월 출시 이후, 전체 PS4 판매량의 약 20%를 차지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022년 기준 PS4의 누적 판매량이 약 1억1700만대인 것을 고려하면, PS4 프로의 판매량은 약 2340만대로 추정된다. ◇ PS5보다 두 배 높은 가격에 구매 주저 소니에 따르면 PS5 프로는 성능 면에서는 확실한 개선을 이뤘다. GPU 연산 유닛이 기존 PS5 대비 67% 증가했고 메모리는 28% 더 확장했다. 이를 통해 렌더링 속도가 최대 45% 빨라졌으며, AI 기반 업스케일링과 진보된 레이트레이싱 기술로 사실적이고 몰입감 있는 게임 환경을 제공한다. 특히 ‘발더스게이트3′와 ‘호라이즌 포비든웨스트’ 같은 최신 게임은 PS5 프로에서 더 높은 해상도와 부드러운 프레임률을 지원한다. 하지만 이러한 성능 향상에도 불구하고, PS5 프로의 고가 정책은 많은 소비자들에게 부담이 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PS5 프로의 국내 출고가는 111만8000원으로, 디스크 드라이브가 포함되지 않은 디지털 에디션임에도 기존 PS5보다 두 배 가까운 가격이다. 물리적 게임 디스크를 선호하는 사용자들은 별도로 블루레이 디스크 드라이브를 구매해야 하며, 이로 인해 추가 비용이 발생한다. 출처 : https://biz.chosun.com/it-science/ict/2024/1½3/RKITSIFTTFAIXEITGAG4NHOFJY/
신월드작성일
2024-11-27추천
1
-
-
-
-

[엽기유머] [동아]테슬라 한없이 일할때, 주52시간에 묶인 韓기업
안태준 한양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변호사 “주 40시간 일해서는 세상을 바꿀 수 없다. 80시간에서 100시간은 일해야 한다.”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최근 X에 남긴 글이다. 80시간에서 100시간이라는 표현은 지나친 감이 없지 않지만, 필요할 때에는 몰입해 테슬라와 스페이스X라는 기업을 일궈내 본 경험이 있는 입지전적인 인물과 그 동료들의 이야기에 조금 귀 기울여 볼 필요가 있다. 우리가 익히 들어서 알고 있는 세계적인 기술기업들은 시간과 형식에 구애받지 않는 집중적인 연구와 노동으로 세상에 없는 기술과 제품을 선보일 수 있었던 것이다.과연 우리나라에서 이러한 집중 근로가 가능할까. 우리의 현행 근로기준법에 따르면 일주일에 최대 12시간까지만 연장근로가 가능하기 때문에 시도조차 불가능하다. 이는 국가 경제의 주요 축인 반도체, 바이오 등 첨단산업에서도 예외가 아니다. 이러한 산업들은 빠르게 진화하는 기술 환경에 발맞춰 혁신을 거듭해야 하지만, 주 52시간 근무 제한 등의 경직된 노동법 제도들이 이를 제약할 우려가 크다. 연구소든 공장에서든 주 100시간씩 일했다가는 당장 사업주가 철퇴를 맞게 될 것이다. 정부가 주 52시간제 틀을 유지하면서 연장근로를 위해 관리 단위를 유연화하겠다고 근로시간제도 개편안을 마련했지만, 여전히 주 최대 69시간을 넘어 일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그렇다면 테슬라에서는 어떻게 주 100시간씩 일하는 게 가능한가. 그 답은 미국에서 시행 중인 ‘화이트칼라 이그젬션’ 제도에서 찾을 수 있다. 미국에서는 10만7000달러 이상의 고소득자 중 관리, 행정, 전문, 컴퓨터, 영업직군 등에 종사하는 근로자에 대해서는 최대근로시간 상한 규제를 적용하지 않는다. 시간에 따른 성과(시간외근로수당)를 강제하지 않는 대신 그 이상의 보상을 위해 획일적으로 적용되는 시간 제약으로부터 해방시켜 주는 제도다. 미국의 고소득 전문직들은 이러한 규제로부터 자유로워진 덕분에 실력과 성과에 따라 보상받는 문화 속에서 일하고, 이는 미국이 글로벌 경쟁력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자세한 내용은 기사(전문)을 참고하세요 출처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0/0003599471?sid=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