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방문

연말정산.... 왜함??

응아니야 작성일 20.01.22 18:20:04
댓글 35조회 5,097추천 10
157968480069414.gif
ㅈ 같은 연말정산 하는 이유가 뭔가요

매달 연금포함 세금 100씩 때감...

세후액보면 앞자리가 바뀌어 있음

그정도 훔쳐갔으면 되지 연말정산하니 또 30만원 더 빨라고함 ㅡㅡ

해마다 이딴식으로 빨리는데 어떻게 안빨리는 방법있나요
응아니야의 최근 게시물
  • HaeJuK20.01.22 18:26:46 댓글
    0
    더 뜯어간 사람은 돌려주고 덜 뜯어간 사람은 더 뜯어가야되니 하는거조.
  • 현주현주20.01.22 18:46:07 댓글
    0
    남들이 내는만큼 덜냈다는 증거이니 그냥 내세요 ㅋㅋㅋ뭐 줄이려면
    공제혜택받는것들 인터넷에 검색하면 수두룩히 나오니 투자하셔도 좋고 ㅎㅎ
  • vahngo20.01.22 18:46:09 댓글
    0
    회사를 그만둬야쥬...
    뭐 그래봤자 사업하면 세무신고로 다 뜯어가지만...
  • 아하생각20.01.22 20:05:48 댓글
    0
    예전부터 느꼈지만 참 세금 하나는 기가맥히게 챙겨감
  • 수제생크림20.01.22 22:22:31 댓글
    0
    벌금도
  • 아하생각20.01.22 23:45:39
    0
    그리고 넌 내마음도
  • 드니드니20.01.28 04:20:18
    0
    두 분 예쁜 사랑하세요
  • 푸우도사20.01.28 12:02:13 댓글
    0
    미국에서는 범죄자들이 경찰은 피해도 세무는 못피한다죠.
    심지어 마약거래도 세금을 거둬간다는 소문까지..
  • 추천봇20.01.22 22:36:48 댓글
    0
    저는 올해 40 줘야함... 작년에 70먹어서 그런가
  • bokjoli20.01.22 22:59:08 댓글
    0
    제가 세금 제도를 잘몰라서 그러는데 왜 소비가 적을수록 연말정산때 세금을 추가 징수하나요?
    혼자 살고 있어서 저 말고 딱히 부양 가족으로 공제 받을 길도 없고, 오로지 추가로 뱉어내기만 하는데
    저축 좀 할려고 하면 연말 100이상씩 더 뺏어가고, 아낄려고 소비를 줄이면 소비로 인한 공제를 못받아 또 뱉어내고...
    내가 일해서 돈벌면 그에 대한 소득세 다 빼가고, 내가 지출을 하면 그에 대한 소비세도 다 가져가면서 왜
    돈 적게 썻다고 또 뺏어가는건가요.
    진짜 저축좀 할려고 하면 뺏길꺼 감안하고 모아야 하니 좆같은 느낌만 듬.
  • 수제생크림20.01.23 00:17:09 댓글
    0
    소득으로 봐서 그런듯 소득세 개념 그니까 쓰세요
  • 현주현주20.01.23 16:46:11 댓글
    0
    연말정산은 돈을 적게쓰거나 많이쓴다고해서 결정되는부분이아니에요 ㅎ
    원천징수금액 즉 매월 급여에서 떼는 금액&연봉에 세율등을 계산해서 나오거든요

    근로소득세를 100%뗀다면야 적게써도 문제가없지만 그 미만으로 적용하면 뱉어내야하는게 맞습니다 ㅎ
    그냥 그렇게 느껴지는거에요 ㅎㅎ 안내고싶으시면 원천징수(먼저납부할 세액) 페센테율을 80~90하지말고 100~120%로하시면 돌려받을 확률이 높아집니당 ㅋ
  • nayu9820.01.24 00:56:50 댓글
    0
    "소비가 적을 수록 세금을 추가 징수한다.."
    연말 정산에 대해서 잘못 이해하시는 분들이 그런 말을 하죠
    연말 정산을 하는 이유는 1년간 소득에 대해 세금을 정확히 계산하기 위한 후불 정산입니다.
    직장인들이 매월 내는 소득세는 후불 정산을 위한 선 공제일 뿐입니다.
    즉, 연말 정산 시 일시불로 세금 내는것이 부담이 되니 월별 공제로 세금을 적금 들어놓은 것..
    이 적금이 많은가 적은가에 따라서 연말 정산할 때 환급 받느냐, 더 내느냐가 정해집니다.

    연말 정산시 세금 환급 받는 방법
    1. 매월 소득세를 더 많이 내서 적금 모아둔다.
    2. 소비가 투명한 지출을 한다.

    P.S : 세금을 얼마나 내는지 모르겠지만,,소득세 때문에 저축 못한다는 말은 좀 핑계 같네요..ㅎㅎ
  • 드니드니20.01.28 04:24:21
    0
    소비가 적을수록 세금을 추가 징수한다는 말이 틀린 말은 아닙니다.
    신용/체크카드/대중교통/의료/교육/연금/보험/저축 등 지출에 대한 각종 공제혜택이 있죠
    그런데, 지출에 대한 공제라는 건 반대로 미지출에 대한 과세와 같은 거죠.
  • 장수마늘소20.01.24 19:42:21 댓글
    0
    세금은 조세평등주의를 원칙으로 합니다. 많이 번만큼 많이내는것이죠, 소비로인한 세금 공제의 의미는
    1. 내가 소비한 금액이 다른 사람의 소득을 구성하여 그 다른사람이 그 소득에서 세금을 내기때문 입니다.
    2. 경제활성화의 의미, 나의 소득이 나에게 머물러있으면 경제순환에 악영향을 미칩니다.
    법인세의 경우에도 미환류소득에 대하여 세금을 추가 부과합니다. 이것이 2번의 이유와 같습니다.
  • 이원상20.01.26 22:51:10 댓글
    0
    우리회사는 원청진수 금액을 높게 잡는 편인데, 그러세 연말에 토해내는 사람들 별로 없습니다.
    매월 내는 원천징수 금액 + 연말정산 금액이 본인이 내야 하는 원래 세금이고요.
    평소 매월 원친징수 금액을 더 많이 낸다면, 연말에 토할 확율보다 받을 확율이 높죠.
    뺏기는게 아니라 평소에 덜낸거 받아가는 겁니다.
    저나마 할 수 있는게 카드, 현금 환비율 감안해서 쓰는거랑, 저축할때 가급적 절세나, 비과세 되는 상품들로 하는거 정도... 아니면 소비를 많이 하시면 됩니다. 특히, 병원이 지출이 높으면 환급 많이 받습니다 T.T
  • 드니드니20.01.28 04:27:38 댓글
    0
    연말정산으로 내야 하는 소득세가 100이 넘으시다면 님 소득구간이 굉장히 높은 편이네요..
    일반적인 근로소득자라면 정산세액을 100씩 내야 하는 경우가 거의 없을텐데..
    음.. 원천징수대상 사업소득자이신가..
  • nayu9820.01.28 14:26:01
    0
    저는 윗글에 다르게 쓰고 싶네요.
    세금을 추가 징수한다는 의미는 소득에 비해 세금을 덜 냈기 때문이고, (매월 소득세 공제 금액)
    이 것을 추가 징수로 느끼는 것이죠.
    말씀하시는 공제혜택(기본공제 이외)는 나의 소득세와 별개로 소비로 이어지는 타인의 소득세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실제 적용 세액에서 소비한 만큼 공제를 해 주는 것입니다.
    즉, 투명한 과세 항목에 소비를 하여 세제감면혜택을 늘리는 것이지 소비를 하지 않는 다고 해서 세금을
    더 부과하는 것은 아니라는 겁니다.
    그래서 세금을 조금이라도 줄이기 위해 투명한 지출이 필요한 것이고 2번항에 썼습니다.

    단순한 소비를 하지 않아서 세금이 추가 징수된다는 말은 틀린 말이 맞고,
    연말정산의 이유 및 의미를 잘 모르는 사람이 쓴 다고 한 것입니다.
    ( 내가 낼 세금은 내가 얻은 소득의 세액적용금액을 절대 넘지 않습니다. )
  • 드니드니20.01.28 16:24:12
    0
    국가 전체적으로 볼 때는 감면공제의 의미가 특정 정책지원을 위한 것이니만큼
    님의 말이 거시이론적으로는 맞지만
    미시적으로 개인에 한정해서 생각할 때는 감면공제를 받지 못하는 사람이
    그만큼 추가조세를 부담한다고도 볼 수 있지 않을까요

    대표적인 예가 싱글세라고 표현되는 것들인데
    결혼출산육아 등을 지원 유도하기 위해 주어지는 세제상 감면공제와 더불어
    건설사에게 신혼부부 대상으로 특별공급 주택량을 법적으로 일정부분 강제하는 등,
    각종 신혼부부 및 출산유도 공공정책을 볼 때
    선택할 여지도 없이 비혼을 하거나 딩크족이 될 수밖에 없는 사람들에게는 역차별로 느껴질 수 있겠죠.
    이게 박탈감을 주지 않는다면 '싱글세'라는 표현자체가 만들어지지 않았겠죠.

    사회적으로 바람직하다고 판단되는 방향으로 납세자를 유도하는 것이
    세제상의 공제감면이 가져야 할 기본 이념임에는 분명하지만,
    그걸 어떤 이유로든 받지 못하는 사람들은 분명 박탈감을 가지게 된다는 면에서
    해당 정책대로 따라가지 못하는 사람에 대한 간접적인 처벌이 아닌가?
    라는 논란이 일어나는 것은 당연하고
    어쩌면 이런 논란 자체가 입법자 및 조세당국으로 하여금
    적절한 지원의 수준을 매년 조정토록 하는 일종의 의견수렴수단이 되지 않을까 싶기도 합니다.
  • bokjoli20.01.28 20:36:27
    0
    중소기업 월급쟁이 입니다.
    100만원 정도 징수했던때 연봉이 세전 3500(보너스, 성과금 포함)정도 였습니다.
    4대 보험 가입되었고(매월 급여공제된 세금이 평균28만-연금 갑근세 건강 고용 등)
    당시 지출 금액중 카드, 현금이 1000정도 사용, 보장성 보험에 400, 의료비 40, 기부 50
    그리고 공제가 적용안된 주택담보 대출로 매달 100(이자+원금)
    혼자 살고있어 다른건 없고 저게 다네요.
  • nayu9820.01.28 20:51:28
    0
    소비에 대한 세금 얘기를 한 거 같은데...역차별적인 간접세로 바꾼 듯 하네요.
    그건 정책 연구하는 분과 얘기하는 게 도움될 겁니다.
    지식이 부족해서 그런 상대적 박탈감을 고민할 정도가 안되네요~^^
  • Reack20.01.22 23:27:31 댓글
    0
    연말정산의 기본 개념 자체가 조삼모사라서 아무의미없습니다... 그 금액만큼 내야하는데 지금까지 덜낸거니 내는거죠뭐.
  • 계정가능20.01.23 00:14:26 댓글
    0
    어차피 가져갈꺼..가져가려고 하는 것인듯..
  • 배에힘쿡20.01.23 01:35:22 댓글
    0
    예전부터 직장인은 봉이여
  • 폭주인생20.01.23 04:00:36 댓글
    0
    이게 제로썸 게임이긴 한데 그래도 토해내는 것 보단 받는 게 기분은 좋죠 ㅎ
  • 장라면20.01.23 08:31:36 댓글
    0
    저는 그래도 연말정산하면 돈 받아서 좋은...
  • 꽝이야20.01.23 11:24:59 댓글
    0
    ㅜㅜ 110 마넌 내야 합니다...
    작년보다 공제가 더 되긴 했는데 먼가 세액 측정하는 연봉 구간이 19년도에 1단계 넘어섰나..
    공제보다 오른 금액이 훨 많아서 다 토해내게 생겼네요.
  • 岳飛20.01.23 11:37:32 댓글
    0
    직장인이 소득이 투명해서 세금 뜯어내기
    쉬우니까요
  • N™20.01.24 00:53:14 댓글
    0
    결혼해서 전세집 또는 월세집에 부모님 모시고 + 마누라와 애들 2명 이상 함께 살고 , 종신 보험이든 상해 보험이든 화재 보험이든 연말정산 인정되는 보험 들고, 주택 청약 통장 만들어서 월별 10만원 씩이라도 넣고, 재래 시장 많이 이용하고 연말 정산 인정 되지민 직접 제출해야 되는 안경 구입 비용 같은거 서류 챙기고....
    음 또 뭐가 있더라?...
  • nayu9820.01.24 00:58:39 댓글
    0
    음...많이 벌면 세금 많이 내야죠..?
  • 기분꿀꿀s20.01.24 01:25:59 댓글
    0
    영업직이다 보니 성과가 좋으면 월급도 많이 받죠
    세전 1450이면 세후 1000 들어오더라구여 ㅋㅋㅋㅋ
    30프로를 떼감 썩을 ㅡㅡ
  • 장수마늘소20.01.24 19:44:06 댓글
    0
    연말정산 안하시면 5월달에 세금을 폭탄으로 내셔야하는데. 그것도 싫고 이것도 싫고... 그건 말이 안되는 것이겠죠?
    결국 님이 번만큼 내는건데. 통장에 미리 모아뒀다가 더 낼부분을 내거나, 더 많이 낸것을 돌려받는 개념일 뿐.
  • 드니드니20.01.28 04:32:10 댓글
    0
    개인사업자 하시면 5월에 종합소득세 낼 거 생각해서 돈 모아둬야 합니다.
    소득구간이 높아질수록 종합소득 신고 후 세액이 굉장히 높아지죠.
    그 얘기는 매달 들어오는 수입이 내 돈이다 생각해서 족족 써버렸다가는 큰 낭패 본다는 얘깁니다.
    소득이 낮을수록 별 상관이 없지만, 높아질수록 점점 미래 예측에 민감해져야 합니다.
    세금을 많이 낸다는 건 그만큼 본인이 고소득자라는 얘깁니다.
  • 곰보푸딩20.01.30 01:25:48 댓글
    0
    작년 90만원돌려받음
    2018년
    1인가구 부양가족없음
    연봉 4000 세전
    1년소비 2천-신용카드 1천 직불1천
    월세 20 -월세청구 공제
    보험 적금 없음
    대출 총합 60
    4대보험 가입자
    운좋게 청년 중소기업 세금감면
    신청후 연말정산 하니 90들어옴
    회사에서 제가 최고 돌려받음


  • 곰보푸딩20.01.30 01:30:37 댓글
    0
    2019년도 꺼
    얼마받는지 다시와서 알려드림
게시글 목록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추천수
게시글 목록
87991 헤롱헤롱무지개 13:45:08 370 1
87990 닭고기좋아 06:29:23 3,099 1
87989 니네가뭐라고 03:32:48 4,485 19
87988 옆집변호사 2025.07.29 8,410 1
87987 헤롱헤롱무지개 2025.07.29 9,203 5
87986 남천동 2025.07.29 9,960 1
87985 일레느 2025.07.29 9,967 3
87984 빈유검스최고 2025.07.28 15,937 1
87983 발리는세상 2025.07.28 17,452 5
87982 와카사 2025.07.28 21,863 4
87981 sigmunt 2025.07.26 34,677 2
87980 뚜비카레 2025.07.25 42,283 1
87979 빈유검스최고 2025.07.25 44,314 0
87978 Comet88 2025.07.25 45,747 2
87977 duiogn 2025.07.25 48,126 5
87976 두리만두 2025.07.24 49,589 1
87975 iltyuedoc 2025.07.24 51,201 1
87974 돌아온쭈쭈바 2025.07.24 51,776 0
87973 duiogn 2025.07.24 57,925 2
87972 헤롱헤롱무지개 2025.07.23 61,261 4
87971 마즈즈 2025.07.23 61,763 3
87970 nise84 2025.07.23 62,657 6
87969 duiogn 2025.07.23 65,092 7
87968 가자미달리고 2025.07.22 68,441 6
87967 링키링키링 2025.07.22 70,309 4
87966 헤롱헤롱무지개 2025.07.22 78,904 30
87965 나나223 2025.07.22 71,955 1
87964 아갓어보이멋진 2025.07.21 79,972 2

자유·수다 인기 게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