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방문

오랜만에 같은 얘기 한번 더

소크라데쓰 작성일 19.08.30 17:50:42
댓글 28조회 806추천 13
쿨타임이 된 듯 하니...

결국 교육문제는

취직 경쟁과 연결되어 있어서 문제가 되는 것이고

취직 경쟁에 열을 올리는 이유는

특정 직업에 속하게 되면

투자대비

더 나은 근무여건, 더 나은 대우를 받게 되기 때문일 것입니다

여건과 대우에 비해 더 고생하는 직업은 사람들이 기피하는 것이구요. 예를 들어 같은 의사를 보더라도 중증외상 다루는 것 같이 험한일 하는 의사는 수가 훨씬 적잖아요?


게임에 비유하자면

직업간 밸런스가 기운 상황이라, 예를 들어 법사로 칩시다.

모두가 법사를 하고 싶어서 법사 캐만 와글와글 하게 되는데

그러면 게임이 안돌아가는 상황이라

유저들을 상대평가해서

순위 안에 드는 인원만 법사가 되도록 하겠다는 시스템을 적용하고 있는 거죠.

물론 경쟁을 통해 더 뛰어난 사람들이 그 일을 하게 됨으로써 그 부분에서의 효율이 올라가긴 합니다만.

밸런스가 이상하다면, 보다 효율이 높아야되는 쪽 보다 효율이 낮아도 되는 쪽에 사람들이 몰리는 현상이 생기기도 하는거죠.
법사가 많다고 게임이 더 잘굴러가지 않는 것 처럼요.

즉 경쟁만으로는 전체적인 효율을 보장 못합니다. 밸런스가 맞아야죠.

아담스미스는 보이지 않는 손이 이 밸런스를 맞춰줄 것이라 주장했으나, 그 주장의 대전제와 달리 인간은 합리적이지 않았고, 많은 왜곡이 있었습니다.

노동시장의 문제도 이와 같은 왜곡을 겪고 있는 것이죠.

아무튼 이런 상황을 도외시한 채

교육문제를 잡겠답시고 입시정책에만 계속 칼을 대어온게
지난 날의 잘못인데
이 잘못을 반복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뭐라도 하는 것처럼 보여야 하는 무책임한/무지한 정치가들의 무책임한/무지한 정치였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원인이 되는 노동시장을 내버려 둔채
입시를 이렇게 바꾸건 저렇게 바꾸건
전인교육이니 뭐니 하는 목표는 이룰 수 없다고 봅니다.

이런 전형 저런 전형 막 만들어내서
성적의 반영을 낮춘다 한 결과가
성적의 반영이 낮아진 만큼
부모와 배경의 영향력을 더 키웠을 뿐이죠.

어쨌든 경쟁하게 되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인성같은 것은 쉽게 평가하여 경쟁시킬 수 있는 변수가 아니니까.

경쟁적 변수를 배제하겠다고 뭘 들어내 봤자,
그 자리를 채우는 것은 또다른 경쟁할 수 있는 변수입니다.
부모의 부나 정보력 등등은 다른 부모들과 경쟁할 수 있는 요소죠.

이걸 제거하고 나면 또다른 경쟁적 요소가 그 자리를 차지하는 겁니다. 어차피 경쟁적 요소를 넣어야 한다면 수저보다는 성적이 낫긴 하죠.

정말 원하는 교육문제의 해결을 위해선

경쟁을 완화하도록 밸런스를 조정하는게 맞다고 봅니다.

그리고
밸런스 조정의 대상인 노동시장에 대해 말하자면

앞으로 인공지능과 로봇기술이 발달하게 되면

인간이 필요한 일자리는 점점 줄어들 것이고 (이게 바로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이라 봅니다)

노동 수요가 점점 줄어들어 경쟁은 더더욱 치열해 질 것입니다.

따라서 이대로라면 교육정책으로 뭔 짓을 하든 교육문제도 점점 더 심각해질 거에요. 노동시장에서 야기되는 교육문제니까.

그 책임을 교육부 장관한테 묻는 멍청한 짓은 하지 말자는 겁니다.
교육부 장관은 여기에 대해 별 효과 없는 입시제도나 조물딱 거릴 수 있을 겁니다.

문제의 책임을 경제와 복지분야 등에 물어야 문제가 해결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소크라데쓰의 최근 게시물

정치·경제·사회 인기 게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