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방문

펌_조던 피터슨이 생각하는 IQ별 직업과 미래

tkrwp 작성일 19.01.25 11:49:16
댓글 10조회 2,161추천 11
154838433524143.png

조던 피터슨은 인터넷에서는 페미니스트와 설전을 벌였던 사람으로 유명한데, 기본적으로 심리학자이자 대학교수임

 

그 사람이 IQ와 직업에 대한 주제로 대학에서 흥미로운 강연을 한 적이 있음

 

154838434655040.jpg

154838434631873.jpg

154838434688502.jpg

IQ가 116 이상 130 이하인 사람들은 전문직에 종사하는 경우가 많다

 




154838434887633.jpg

110 이상인 사람은 관리자 직종에서 근무하는 경우가 많다

 




154838434614612.jpg

103 이상은 자영업이나 일반 기술직에 종사하고

 



154838434773192.jpg

IQ의 평균치인 100에 근접한 사람들은 일반 직종에서 일하는 경우가 많으며

 



154838434851982.jpg

평균보다 약간 낮은 95 이상인 사람들은 그래도 숙련도가 필요한 직종에 근무하는 반면

 



154838434854223.jpg

하위 40% 미만인 사람들은 단순노동에 가까운 일에 근무하는 경우가 많다.

 



154838434935600.jpg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처럼 IQ에 따라서 창의적인 직종에서 근무하는지 반복적인 직종에서 근무하는지가 나눠진다는 것.

 



154838434839085.jpg

그러나 이것은 직업의 적합성에 의한 차이일 뿐이지 사람의 직업을 확정하는건 아니다.

 

다만 IQ가 높을수록 짧은 시간에 더 많은 것을 배울 수 있고, 그에 따라서 더 지능적인 면이 필요한 직업에 더 빨리 도달한다는 것.



154838434946693.jpg

그럼 이제 IQ가 하위 20% 미만인 사람들에게 알맞은 직업을 살펴보자

 



154838435024702.jpg

그런거 없음

 



154838435077238.jpg

실제로 인구의 15%나 되는 사람들이 IQ가 85 미만인 사람들임에도 불구하고

 

사회에는 그들을 수용할만한 직업이 남아있지 않음



154838435115616.jpg

거기다가 기술이 점점 발전하면서 똑같은 직업이라도 시간이 지날수록 직업이 요구하는 IQ는 더 높아지고만 있음.

 



154838435055339.jpg

를 들면 편의점에서 일하는 수준만 봐도 상품 검수와 진열부터 POS기 조작, 시재점검, 물류 입수 및 정리 등등 엄청나게 복잡해짐

 

이는 IQ 하위 20% 미만인 사람들에게는 불가능한 일이라는 것

 


154838435016049.jpg


하지만 계속해서 낮은 IQ를 가진 사람들이 절벽으로 몰리고 있음에도 아무도 이 문제에 대해서는 거론하기 싫어함

 


154838435121861.jpg

보수주의자들은 "그 사람들이 노력을 안하니까 그런거임"이라고 말하고

 



154838435220766.jpg

진보주의자들은 "사람은 누구나 평등하기 때문에 교육과 훈련으로 해결할 수 있다"라고 말함

 



154838435251989.jpg


결국 둘 다 잘못된 시각으로 이 문제를 바라보고 있음

 

타고난 IQ 지수에 따라서 하위층에 있는 사람들은 점점 사회망 바깥으로 밀려나게 되고, 그 속도는 가속화될거임


154838435189622.jpg


이건 비단 지능 하위 20%에만 국한된 문제가 아님

 

지금이야 하위 20%의 문제지 지날수록 하위 25%, 하위 30%까지 점점 치고 올라올꺼고 많은 사람들이 직업을 잃게 될 것


154838435239013.jpg

당장 단순 노동자들의 직업은 기계와 로봇에 의한 자동화로 싹 다 쓸려나가거나 중국이나 동남아쪽으로 공장이 이전되버림

 

아니면 공장에서 최저시급 받고 일하는 수준이거나


154838435150413.jpg

단순사무직도 예외없이 기술이 발전할수록 쓸려나갈거임

 

빨리 제도를 보완하지 않으면 타고난 지능이 곧 생존권과 직결되는 사회가 올 수 있다



154838435225439.jpg

특히 돈을 벌어서 가정을 책임져야하는 남자들이 엄청난 타격을 받을거임

 

구직활동을 포기하게 되고 우울증에 시달리고 실제로 스트레스로 인한 만성 통증이 발생할 거임


154838435348248.jpg

제로 미국에서는 취업 절벽에 몰린 하위 지능 시민들이 정신성 약물로 살아가는 경우가 많음

 

IQ와 성격은 비례하지 않기 때문에 성실한 사람일수록 자신의 능력을 비관하게 되고 더 끔찍한 시간을 보내게 됨


154838435285233.jpg

자율주행 자동차의 개발로 운전기사가 그 첫빠따가 될거임

 

한국은 이미 택시기사 vs 카풀 논란으로 이미 전쟁을 치르고 있는데, 이게 선천적 지능에 의한 직업 선택 탈락의 연장선이라는 거


154838435352347.jpg


 

3줄 요약

1. 기술이 발전할수록 선천적으로 지능이 낮은 사람들은 직업을 못가질 가능성이 점점 커짐

2. 정치권은 이 문제에 관심이 별로 없고 보수나 진보나 비뚤어진 시선으로 바라보는 중

3. 지금부터 제도랑 정책으로 대비 안하면 디스토피아가 실현될거다



점차 직업이 없어질 거라는 기사가 많이 나오고 있는데 이에 대한 대책 논의가 이뤄져야할 것 같습니다
tkrwp의 최근 게시물
  • 0
    지금 이 위협이 더 심각하게 다가오는것이
    최근 있었던 AI의 급진적 발전이죠.

    많은 사람들이 착각하는게 판사를 AI로 교체해야된다 교체 하기까지 얼마 안남았다 이러는데...
    사실 우리사회의 90%이상의 직업들은 판사보다 더 낮은 수준의 지적능력을 요구하고 있고
    판사가 교체되기 전에 그 사람들이 먼저 교체될 가능성이 훨씬 높다는거죠.

    전부터 이야기하지만 기본소득제가 정착이 되어야합니다.
    아니 하루 빨리 실험적인 시도라도 해봐야 됩니다.
    지금처럼 지지율이 높은 좌파정권이 집권할 때가 아니면 미래 언제 다시 시도할수 있을지가 의문입니다.

    그래서 아주 해괴한 소문을 몰고다님에도 불구하고 이재명을 지지하고 있어요.
  • urida19.01.25 12:26:21 댓글
    0
    지능보다 돈이 더 문제 인거 같은디.
  • 피오르네19.01.25 12:59:38 댓글
    0
    지금 이 위협이 더 심각하게 다가오는것이
    최근 있었던 AI의 급진적 발전이죠.

    많은 사람들이 착각하는게 판사를 AI로 교체해야된다 교체 하기까지 얼마 안남았다 이러는데...
    사실 우리사회의 90%이상의 직업들은 판사보다 더 낮은 수준의 지적능력을 요구하고 있고
    판사가 교체되기 전에 그 사람들이 먼저 교체될 가능성이 훨씬 높다는거죠.

    전부터 이야기하지만 기본소득제가 정착이 되어야합니다.
    아니 하루 빨리 실험적인 시도라도 해봐야 됩니다.
    지금처럼 지지율이 높은 좌파정권이 집권할 때가 아니면 미래 언제 다시 시도할수 있을지가 의문입니다.

    그래서 아주 해괴한 소문을 몰고다님에도 불구하고 이재명을 지지하고 있어요.
  • DuchM19.01.25 14:13:35 댓글
    0
    유전자 개조해서 걍 뉴타입으로 가자
    그리고 기계로 대체되는 만큼 나도??기본소득제로 가는게 맞다고 봄. 부는 점점 소수가 독점할거고, 일자리는 기계화되서 사람도 관리자직만 아니면 더 필요 없어질텐데 그 돈 빼앗아서 하위계층한테 나눠주고, 기계가 없는 창의적인 일에 투자하도록 해야지 그게 아니면 진짜 디스토피아 세계관 처럼 상위 기업이 독재국가처럼 군림하는 세계가 될듯
  • 피오르네19.01.25 14:22:54 댓글
    0
    난 솔직히 정당하게 번 돈을 빼앗는다는 개념이 마음에 안들어요.
    오히려 상속이야말로 부당하게 얻는 재화라고 생각합니다.
    상속이 없다면 부의 편중도 완화되겠죠.
  • DuchM19.01.25 14:52:31
    0
    소비가설등을 보거나 역사를 보면 차라리 뺏는게 편하지 상속을 못하게 하는게 더 반발이 클듯
  • 피오르네19.01.25 15:14:18 댓글
    0
    역사 자체가 비합리 위에 합리를 쌓아왔는데요.
    쉬운것으로 따지면 그냥 자본 세력과 영합해서 그들의 울타리에 들어가는게 더 쉽죠 ㅎ
  • 바람의낭심19.01.25 14:28:52 댓글
    0
    그래서 결국 기본소득으로 간다는 이야기도 있지요
    노동으로 돈을 벌지 않으면 재화의 유통이 세금과 소비로만 이원화 될거임
  • 소크라데쓰19.01.25 15:22:20 댓글
    0
    교육과 훈련으로 해결한다는 거는 진보라기 보다 중도에 가깝고, 그 보다 더 진보적인 생각이 필요한거임. 그게 바로 기본소득, 로봇세 등등.
    저 교수가 새로운 해법을 요구하는 자체도 진보적인 스탠스인거지.

    이미 여러차례 쓴 거 같은데,
    인공지능과 로봇기술이 점차 발전하면 인간의 노동력 투입 없이 재화와 서비스의 생산이 가능하게 될 것이고 그게 바로 4차 산업혁명임. AI가 인간을 대체하게 되면 일하고 월급받아서 월급으로 생활하는 인간은 극소수가 될 거임. 이 일이 어느날 갑자기 급격히 일어나지 않고 십년 단위로 서서히 진행될텐데, 일자리는 점점 줄고 실업률도 점점 증가하게 될 것임. 정치적인 대안이 마련되어야 함. 경제의 패러다임이 극적으로 전환되어야 함.

    만약 기업의 경영에 있어서 AI의 의사결정이 인간보다 탁월하다면, 국가가 AI에게 경영을 맡겨 공기업을 운영하는 것이 사기업 보다 못할 이유가 없게 됨. 지금까지 공기업이나 공공기관이 사기업보다 서비스의 질이 낮고 경쟁력이 낮다고 치부되어 온 이유는, 공기업에는 치열하게 경쟁을 통해 성장하려는 동기가 없기 때문에 이윤을 극대화하려는 동기를 가진 사기업에 당할 수 없기 때문임. 하지만 AI는 동기부여 필요 없이 언제나 최선의 선택을 하게 되어 있음. AI가 경영을 맡게 된다면, 공기업이 사기업보다 열등하지 않게 되는 것임.
    그렇다면 국가가 할 일은, 전분야에 걸쳐 공기업을 세워서 국민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게 될 것임. AI의 판단에 따라, AI와 로봇이 생산한 제품을 해외로 수출하고, 다시 필요한 자원을 수입해와야 함.
    중요한 문제가, AI가 연구개발에 있어서도 사람을 능가하는 시점이 올텐데, 그렇게 되면 기술우위를 통한 경쟁우위라는 개념이 사라질 위험이 있음. 예를 들어 우리가 반도체 기술에서 우위인데, 다른나라의 인공지능이 기술개발을 통해 우리를 앞서버리는 일도 쉽게 발생할 수 있다는 거. 그런 시대가 되면 자원이 없는 나라는 자원을 수입하기 위해 제공할 마땅한 댓가가 없어지게 됨. 자원을 둘러싼, 즉 자원을 가진 영토를 둘러싼 분쟁과 전쟁이 본격화 될 수도 있음.

  • JENGA19.01.25 19:11:26 댓글
    0
    진보적인 생각과, 실제 진보정치인의 주장이 일치하진 않는 것 같습니다.
    진보정치인의 가치관들이 과거 한때 상대적으로 진보한 것들이었긴 하나, 그들이 현시점에서 틀에 박히지 않고 세상을 보고 있느냐면 전 아니라고 느낋때가 많습니다. 자기만의 정의감에 매몰된 좌파꼰대도 많아요.

    그런면에서 피터슨교수는 보수진보를 떠나 (사실 미국대륙에선 보수층들이 더 열광하는듯함) 현상을 있는 그대로 파고들어 문제를 찾는다는 점에서 학자적인 자세가 돋보이는 사람입니다.
  • ZZUBBA19.01.25 18:02:18 댓글
    0
    저위에 외국인의 말에 전적으로 동의함. 그래서 갈수록 일자리는 부족해지고 그에따라 인구도 감소할 것이라고 봄. 먹고 살기 힘들고 무직인데 결혼해서 애를 낳을 생각을 하는 사람은 극히 드물거라고 생각함.

정치·경제·사회 인기 게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