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방문

김대중은 정말 북한의 핵개발을 지원했는가?

김재성 작성일 14.04.10 01:44:46
댓글 8조회 602추천 4

*북한의 핵개발 일지

1995년 - 핵물리학 연구소 설치

1962년 - 소련에서 도입한 IRT 2000 원자로 건설

1974년 - 국제원자력기구 가입

1980년 - 자체기술로 5kw급 원자로 건설

1985년 - 국제적인 압박때문에 NPT을 가입하나 핵사찰은 거부

1986년 - 정무원 산하 원자력 공업부 신설

1989년 - 영변에서 플루토늄 자체 생산

1989년 - 미국위성통해 북한의 핵개발 시설 감지

1990년 - 유엔주재 북한대사 미군과 서로 동시 사찰시 IAEA 사찰 수락할 수도 있다고 발표

1991년 - 남북 기본합의서에 한반도 비핵화 선언

            (이로 인해 미국은 한반도 내 전략 핵 및 무기감축 계획 발표로 북한에게 보답)

1992년 - 북한 IAEA 사찰 수용(하지만 모든 곳을 공개하지 않음)

1993년 - IAEA에서 영변 등 미공개한 두 곳도 공개하라고 촉구

1993년 - 영변 등 주요 핵시설 사찰 거부하며 NPT 탈퇴 후 핵사철 거부

1994년 - 미국 인공위성으로 영변 등 주요핵시설에서 핵무기 개발 감지 발표

1994년 - 현재까지 북한은 이미 핵무기 개발을 완료했음을 시사

1994년 - 클린턴 행정부 남한내 미국인들을 일본으로 이주 후 북한내 주요 핵시설 타격후 전쟁도 할 수 있음을 시사

1994년 - 한국정부 핵실험을 하지 않았으므로 완벽한 핵무기는 아니다라고 발표

1994년 - 한국정부 전쟁 방지를 위한 북미 중재회담을 제안

1995년 - 북한의 핵을 평화롭게 사용하는 조건으로 경수로 지원단 설립

1997년 - 황장엽 전 북한노동당 서기관 북한은 이미 핵무기를 보유하고 있다고 진술.

             핵실험은 북한 외교부의 반대로 잠시 보류중이라고 대답. 이를 동아일보와 한겨레 신문이 기사로 내보냄

1999년 - 북한 지하 핵시설 사찰 수용

2000년 - 북한 경수로 지원의 지연을 이유로 제네바 협정 파기 경고

2000년 - 북미 제네바 협정 이행 재확인

2002년 - 미국 켈리 특사 북한 파견

2002년 - 북한 KEDO의 중수로 지원 중단을 이유로 NPT 재탈퇴

2003년 - 북중미 3자 회담

2005년 - 한국과 미국 한반도 주변국가 등이 6자 회담 개최(북한 핵파기를 위한 9.19 공동성명 채택)

2005년 - 미국 북한의 해외 주요계좌 동결로 자금 압박

2005년 - 북한 핵보유 선언

 

 

결론 : 북한의 핵개발 역사는 훨씬 오래됨. 이미 김대중이 대통령 당선되기 전부터

         북한의 핵무기 개발은 국제적인 이슈였음.

         

 

 

김재성의 최근 게시물

정치·경제·사회 인기 게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