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서울에 따른 말도안되는 구둣방 획일화

무한한창의성 작성일 10.06.05 09:07:26
댓글 0조회 850추천 1

이번 선거로 인해서 이러한 일들은 사라졌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말이 미관을 위해서지, 힘든 서민들의 터전을 닭장으로 만들어 놓는군요.

 

디자인 서울이 생계와 관련된 문제보다 중요하다는 것인지

 

정말 전시행정의 끝을 보여주는군요.

 

해당 당사자들은 정말이지 분통이 터질 일이네요.

 

아침부터 뉴스 훑어보다가 말도안되게 성질나는 기사가 있어서 퍼왔습니다.

 

진짜 다들 요새 왜이러죠.

 

 

 

 

 

 

 

 

 

밖에선 깔끔? 안에선 답답!… 누구를 위한 ‘디자인 구둣방’인가

[2010.06.04 18:21]        

100604_6_1.jpg
서울시 ‘디자인 서울’ 일환 지난해 7월부터 새로 보급, 연 50만원 대부료도 내야… 거부땐 도로점용허가 취소

31년간 서울 인사동 낙원상가 앞에서 구두를 닦으며 독도가 우리 땅임을 알려오던 ‘독도 할머니’ 정순덕(70)씨는 지난 4월 정든 일터를 옮겼다. 서울시가 보급한 새 구두수선대가 아니라 자신의 헌 구둣방에서 일하길 고집했기 때문이다. 서울시가 주는 구두수선대에서 일하면 여러 제약이 생긴다는 게 이유였다. 구둣방 외벽에 붙여둔 독도 홍보물도 치워야 하고, 폐지 줍는 노인들이 앉을 의자도 내놓지 못한다는 것이었다.

정씨는 지난달 도로변을 비켜나 근처 사유지로 구둣방을 옮겼다. 4일 만난 정씨는 “구청 직원들이 교체를 안 한다고 고집을 부리자 매일같이 찾아와 전기를 끊겠다고 했다”고 전했다. 이에 정씨는 몇 차례 종로구청 도로정비과를 찾아가 항의의 뜻으로 흰 국화 한 송이씩을 두고 왔다.

서울시는 지난해 7월부터 ‘디자인 서울’ 정책 일환으로 시내 구둣방들을 바꿔 나가고 있다. 구두수선대는 대부분 획일적인 고동색 박스로 변했다. 서울시청 가로환경개선과에 따르면 현재 서울시에 있는 신형 구둣방은 1260개. 구형 구둣방은 30∼40개다.

구둣방 디자인이 통일되면서 미관이 깔끔해져 좋다는 소리가 많았다. 하지만 이는 겉만 보는 사람들의 얘기다. 정작 구두수선대를 찾거나 그 안에서 일하는 이들의 의견은 다르다. 운영자들은 새 구두수선대가 내부 공간이 좁고 시야가 답답하며, 창문이 작아 환기가 되지 않는다고 입을 모았다. 그동안 내지 않던 박스 대부료를 1년에 50만원씩 내게 됐다.

서울 영등포지역 구두수선대 운영자회 회원 50여명은 지난해 12월 영등포구청에 새 구두수선대의 창 크기와 출입문 구조를 바꿔 달라는 탄원서를 냈다. 돌아온 것은 허가를 취소한다는 엄포뿐이었다. 회장 김호수(55)씨는 “‘당신은 조용히 해라. 박스는 서울시 것이니까’라는 말도 들었다”고 전했다. 김씨는 “창문을 줄이고 문을 불투명하게 만든 것도 디자인보다 서울시 광고물을 붙이려는 목적”이라고 꼬집었다.

서울 세종로1가에서 10년 넘게 구두를 닦는 박모(60)씨는 지난해 구두수선대를 바꾼 뒤 납득할 수 없는 이유로 구청에서 벌점을 받았다. 손님들이 새 구둣방의 높은 문턱에 걸려 넘어지기에 입구에 발판을 놓은 게 문제였다. 벌점이 누적되면 허가가 취소된다. 구청 공무원은 “새 구두수선대 밖엔 어떤 물건도 둘 수 없다. 규정을 잊었느냐”며 사진을 찍어갔다. 박씨는 “보기에 좋은 것이 우선이냐, 이용자들의 안전이 우선이냐”고 되물었다.

헌 구둣방을 포기하지 않으면 쫓겨나는 일만 남는다. 서울 공덕동 구둣방 운영자 최만순(50)씨도 정씨처럼 서울시의 구두수선대로 교체하지 않았다. 최씨는 2002년 월드컵을 앞두고 사비 800만원을 들여 구둣방을 교체했다. 최씨는 “그때도 나라가 바꾸라고 해서 바꿨는데, 이젠 또 뭐가 보기에 안 좋냐”고 한숨지었다.

서울시는 교체를 거부한 구둣방에 대해 도로점용허가 취소 처분을 내리겠다고 밝혔다. 허가가 취소되면 담당 구청은 구둣방 철거 권한을 갖게 된다. 최씨의 구둣방 벽에 붙어 있는 도로점용허가증에는 ‘6월 30일 만료’라고 적혀 있었다. 모든 구형 구둣방들의 도로점용허가는 이달 30일 종료된다. 서울시청 가로환경개선과 관계자는 “이달 말까지 교체를 거부하는 이들을 설득하겠지만, 설득이 안 되면 법에 따라 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글=이경원 최승욱 기자, 사진=이동희 기자 *sarim@kmib.co.kr
무한한창의성의 최근 게시물

정치·경제·사회 인기 게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