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방문

이 시국에 빚을 많이 내도 될까요?

휴페리언 작성일 21.10.13 11:35:15
댓글 17조회 4,198추천 11

고민아닌 고민중인데 짱공 고수님들 고견도 참고하고자 글 올립니다.

 

곧 청약 당첨 아파트 입주를 위한, 집단대출 실행 예정입니다.

  • *집단대출 선착순으로 겨우 세잎 ㅠ 시바꺼

 

 

중도금 및 잔금 등 입주시 치러야 할 금액. 즉. 집단 대출 받아야 하는 금액은

약 x억 입니다. 

헌데, 집단대출 가능 금액은 아파트 감정가의 약 40%인 2x(이십몇억 아니구요 ㅎ) 억 이구요.

 

 

여기서 고민인데, 

금리도 높아지니 걍 필요 금액인 x억만 받자는 와이프 의견과,

 

갈수록 대출 조여지는데, 차라리 합법적으로 받을 수 있는 만큼 2x 풀로 받아서, 월 납입금이 부담되긴 하지만 굴려야 한다!

남은건 주식이든 어디든 굴려 보자는 제 의견이

대립 중입니다.

 

와이프 말도 합리적이고 해서 고민입니다 ㅠ

 

걍 대출 최소화로 하는게 정답 일까요?

 

 

 

 

 

휴페리언의 최근 게시물
  • 1
    이 시국이 아니라 그 어느시국이라고 해도
    빚내서 투자는 옳지 않습니다
  • 1
    버핏옹이 한 말 중 와닿는 말이 하나있죠. '10년울 가지고 있을 주식이 아니라면 10초도 가지고있지마라.'
    빚투하셔서 예 올를수도있습니다 얼마나 좋아요 올르면 ㅋ 근데 반대경우도 있을수있어요.

    10년동안 이자내며 버티실수있다면 뭐 말리진 않습니다.

    제 짧은 소견으론 언제나 투자는 본진을 지키며 하는 거라 알고있어요. 성투하시길~
  • 0
    저도 이번년도에 8월말 청약 아파트 입주했는데요.
    글쓴이분과 같은 상황이였는데
    저 같은경우 글쓴분과 같은생각을 했어요. 고민도 안하고 할수있는대까지 풀로 대출땡겼습니다.
    일단 제가 할부를 갖고있는 종목(?) 예를 들면 차 할부..금리 높져. 아파트 대출이용해서 기금+1금융 금리 평균내도 차할부금리보다 월등히 낮아서 차 할부금 바로 갚고, 나머지는 주식 굴리고있습니다.( 혹시모를 비상금은 쟁여두고)
    감당할수있을정도, 1~2년은 주식 묻어도 내 생활에 지장없다 싶으면.. 글쓴분의 생각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이리저리 계산기 두들겨보시고 좋은선택 응원합니다.
  • 맛있는호랑이21.10.13 11:53:45 댓글
    1
    버핏옹이 한 말 중 와닿는 말이 하나있죠. '10년울 가지고 있을 주식이 아니라면 10초도 가지고있지마라.'
    빚투하셔서 예 올를수도있습니다 얼마나 좋아요 올르면 ㅋ 근데 반대경우도 있을수있어요.

    10년동안 이자내며 버티실수있다면 뭐 말리진 않습니다.

    제 짧은 소견으론 언제나 투자는 본진을 지키며 하는 거라 알고있어요. 성투하시길~
  • e줄몽e21.10.15 02:11:05 댓글
    0
    버핏은 저런말 해놓고 정 작본인은 샀다 팔았다 갈아타기 많이 했지 ㅋㅋㅋ
  • 비폭력대화21.10.13 13:10:08 댓글
    0
    결국 빚내서 투자하고자 하시는건데 당연히 잘굴리면 좋겠지만 쉽지 않죠.
    본인의 투자 이력들을 되돌아 보시고 판단하세요.

    저라면 와이프님 의견을 따르겠지만 휴페님이 투자에 자신이 있다면 틀린 선택은 아닙니다.
    단지 리스크가 크다는 것만 알고 결정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 엔돌핀이조아21.10.13 14:11:54 댓글
    1
    이 시국이 아니라 그 어느시국이라고 해도
    빚내서 투자는 옳지 않습니다
  • 하이안녕21.10.13 15:23:02 댓글
    0
    와 축하드려용 ㅋㅋㅋ 아파트 당첨 ㅠ ㅠ. 월 수입 대비 이자 부담이 가능한지 따져보는게 먼저겠죠.
    작년 까지만해도 대출 풀로 땡겨서 주식이든 뭐든 투자하는게 맞는 판단 이엿겟지만 지금은 여윳돈이 있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돈을 어디 둘지 몰라서 헛돌고
    있는 시기입니다. 대출 받는다고 해도 딱히 안정적으로 굴릴곳이 읍써요... 그리고 이미 님은 아파트 계약을 함으로써 부동산에 투자를 하신거나 다름없습니다. 굳이 여기서 더 리스크를 지고 레버리지를 땡길필요가 있을까요?
    자산 포트폴리오를 한번 짜보세영 지금까지 부동산 분위기만 보면 나머지 자산은 지키기만 해도 아파트 값 오르는게 다른 투자자들 보다 수익률 더 좋을꺼 같은데 ㅎㅎ
  • 기똥찬후킹21.10.13 15:57:06 댓글
    0
    저도 이번년도에 8월말 청약 아파트 입주했는데요.
    글쓴이분과 같은 상황이였는데
    저 같은경우 글쓴분과 같은생각을 했어요. 고민도 안하고 할수있는대까지 풀로 대출땡겼습니다.
    일단 제가 할부를 갖고있는 종목(?) 예를 들면 차 할부..금리 높져. 아파트 대출이용해서 기금+1금융 금리 평균내도 차할부금리보다 월등히 낮아서 차 할부금 바로 갚고, 나머지는 주식 굴리고있습니다.( 혹시모를 비상금은 쟁여두고)
    감당할수있을정도, 1~2년은 주식 묻어도 내 생활에 지장없다 싶으면.. 글쓴분의 생각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이리저리 계산기 두들겨보시고 좋은선택 응원합니다.
  • 머선12921.10.13 17:16:09 댓글
    0
    남은건 주식이든 어디든 굴려 보자

    에서 안잃고 이자이상 충분히 뽑아낼 자신은 있으십니까

    빚으로 할거면 그게 가장 중요하겠네요.

    여튼 성공적인 투자를 기원합니다
  • 지랄맞을인간21.10.13 22:32:54 댓글
    6
    저희 외할아버지 6.25 참전 병기관 출신이십니다

    항상 하신 말씀이

    건강하게 빚 없이 살라하셨습니다

    빚 있고 없고가

    발뻗고 잠잘때 자세가 달라진다라고 하시네요
  • 십만딸라21.10.14 19:16:55 댓글
    0
    투자 철학이 확고하시고 이자율이상 수익내는게 가능하면 하는거죠. 손실나면 많이 힘들거에요..
  • 빅_대디21.10.14 19:19:25 댓글
    0
    말리는데는 이유가 있습니다. 가위바위보를 했을때 이긴사람과 진사람의 심정이 다릅니다. 그 금액이 클수록 희비의 격차는 크겠지요.
  • 닉넴이머랴21.10.14 20:09:21 댓글
    0
    대출 금리를 얼마로 받으시는지 모르겠으나 부동산 이외에... 누가 뭐란들 이미 꽃히면 합리화할 말만 귀에 들어오는법... 경험상 부동산 이외에 빚내서 투자라... 건투를 빕니다...
  • jss8021.10.14 22:57:06 댓글
    0
    보통 대출은 받을 수 있을 때 받는다... 가 좀 더 우세한 의견이죠.

    하지만, 투자는 끝물일 때는 절대 빚내서 하지 않는다.. 가 우세하죠.

    현재 주식이든 뭐든 다 끝물입니다.
    한국 경제에 쓰나미 같은 존재인 미국이 국가부도 목전까지 갔었고,
    인플레 압박에, 이제 슬슬 테이퍼링까지 들어가죠.
    이 상황에서 중국도 난리고..

    암튼 경제는 싸이클입니다.
    올라갔으니 내려가야 한다는 거죠.
    본인 여유자금도 아니고, 빚내서 주식이나 투자를 하신다면,
    아마 하루하루 신경쓰여서 일상생활 힘들어 지실 수도 있습니다.
  • 깁스매니아21.10.14 23:20:18 댓글
    0
    지금같은 시대에서 감당할수 있는 빚은 자산이다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맘속응어리21.10.15 01:26:49 댓글
    0
    집 사는데 필요한 금액만 대출 받으심이..
    아무리 없는돈이라 셈치고 주식해도 물리면 슬픔니다.
    전 금리인상 이야기 나오고부터 계획세우고 집대출이외에는 갚아나가는중입니다.
  • 유아독종투21.10.15 19:39:42 댓글
    0
    여유자금으로 하는걸 투자라고하며 빛내서하는건 투기입니다
  • hoon21.10.15 21:15:24 댓글
    1
    풀로 받아서 배당주에만 넣어놔도 이자 내고도 몇프로 이득임.
  • 엔돌핀이조아21.10.16 20:22:02 댓글
    0
    ????
게시글 목록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추천수
게시글 목록
4594 날아라우기 2025.05.27 19,418 0
4593 날개잃은박쥐 2025.05.21 48,867 2
4592 날개잃은박쥐 2025.05.19 57,124 2
4591 날개잃은박쥐 2025.05.19 57,726 2
4590 날개잃은박쥐 2025.05.16 69,577 2
4589 앵겨줄래 2025.05.15 71,764 1
4588 슈슉방울 2025.05.12 85,688 0
4587 보라오징어 2025.04.23 174,376 1
4586 미친날개 2025.04.22 180,850 2
4585 바부다 2025.04.16 197,555 2
4584 보수유권자 2025.04.06 250,909 2
4583 씨불알년 2025.03.29 283,907 0
4582 소소한재미 2025.03.21 314,770 2
4581 KumaKwaii 2025.03.20 316,719 3
4580 아로미아빠2 2025.02.28 397,801 2
4579 아마존상어 2025.02.03 461,781 0
4578 특수전게릴라 2025.01.29 474,632 3
4577 드레날린2 2025.01.25 482,702 3
4576 찐만두두빵 2025.01.14 515,770 3
4575 코코로336 2025.01.07 533,268 2
4574 스윗데쓰 2025.01.05 545,536 38
4573 내이랄줄알았다 2025.01.01 552,089 4
4572 감성적인 2024.12.30 529,290 0
4571 하이안녕 2024.12.21 544,593 2
4570 아마존상어 2024.12.19 540,719 1
4569 불꽃웅이 2024.12.18 532,422 4
4568 감성적인 2024.12.16 534,346 1
4567 전봉삼 2024.12.12 523,004 4

재테크 인기 게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