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속93km 北공기부양정 우리軍 대책은..

dugue29 작성일 09.03.05 05:03:52
댓글 2조회 1,477추천 1

'시속93㎞ 北공기부양정' 우리軍 대책은?

 

2009년 03월 04일 (수) 17:10   서울경제

 123619695226092.jpg  123619696178545.jpg  123619696624934.jpg
130~140대 보유…서해 긴장속 위협적 존재로 떠올라

북한의 대남 무력도발 시위가 예사롭지 않다. 만일 서해   에서 북한의 국지적 도발이 이뤄진다면 공기부양정의 존   재는 상당한 부담이 될 것이다. 공기부양정은 지면이나   수면 위에 살짝 떠서 움직이는 일종의 비행물체다. 이 때   문에 공기부양정은 군용으로 엄청난 잠재력을 가졌는데   북한은 이를 무려 130~140대나 갖고 있다. 현재 한미연   합군이 보유한 전력 중 이에 대처할 수 있는 것은 사실상   아파치 헬리콥터뿐이다. 하지만 미군의 아파치 헬리콥터   대대는 조만간 철수할 것으로 보이며 전력공백을 메우기   위해 배치가 검토됐던 A-10지상공격기마저 F-16전투기   로 대체된다. 북한 공기부양정의 위협에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은 과연 무엇일까.

■ 군용으로 엄청난 잠재력 보유

공기부양정은 공기의 힘으로 선체를 지면 또는 수면에서   약간 띄운 후 고속으로 이동하는 교통수단이다. 항공기 프로펠러를 연상케 하는 대형 프로펠러, 그리고 방수재질의   천으로 이뤄진 스커트가 주요 구성체다.

프로펠러는 공기부양정이 앞으로 나가도록 하는 추력을 발생시키는데 여기에서 발생하는 바람의 일부를 스커트 속   으로 밀어 넣으면 공기압이 높아져 선체와 지면 또는 선체와 수면 사이에 일정한 유격(裕隔)이 생긴다. 유격이란 헐   거운 정도 또는 일정한 간격을 말하는데 보통 15~25㎝에 달한다. 물살이 빠르게 뿜어 나오는 수도꼭지를 손으로   틀어막아도 어느 정도 유격이 생길 수밖에 없는 것과 같은 원리다.

이 같은 특성으로 공기부양정은 지면이나 수면과의 마찰 없이 어디서나 빠른 속도로 움직일 수 있다. 지면이나 수   면 위를 살짝 떠서 움직이는 일종의 비행물체로 볼 수 있는 것. 지면에서 달리다가 곧장 수면으로 갈 수 있고 그 반   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스크루가 없어 일반선박이 운행할 수 없는 지형, 즉 수초나 해초가 있는 늪과 해안에서도 운   행할 수 있다.

다만 지면 위를 주행할 때는 스커트 속에서 고압 공기가 뿜어져 주변에 엄청난 양의 먼지ㆍ흙ㆍ잔돌을 날려 보낸   다. 이에 따라 속도만큼이나 쾌적함이 중시되는 여객운송용으로는 인기가 없다.

하지만 해안지대 또는 늪지대 등 물과 땅이 엉켜 있는 곳에서는 빨리 움직일 수 있다는 점 때문에 군용ㆍ경비용ㆍ   구조용 등의 특수목적으로 엄청난 잠재력을 가졌다.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해병대나 특수부대의 기습상륙 용도.   미국은 이미 베트남 전쟁에서 정찰용, 특수부대 상륙용으로 공기부양정을 사용해 군사적 가치를 증명했다.

사실 공기를 이용해 물과의 마찰을 줄이고 이를 통해 높은 속도를 얻으려 한 시도는 19세기 중반부터 있어왔다. 그   러던 중 영국의 엔지니어였던 존 이삭 소니크로프트가 지난 1877년 공기를 사용해 주행하는 선체에 대한 특허를 취   득하게 된다. 하지만 당시 기술로는 실용적인 공기부양정을 만들 수 없었다.

실용적인 공기부양정은 1차 세계대전 당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해군이 처음 선보였고 1950년대 중반에는 영   국의 과학자 크리스토퍼 코케렐이 대대적으로 개선하게 된다. 유연성 있는 방수재질의 스커트로 바닥을 감싸고 그   안에 바람을 집어넣어 공기의 힘으로 선체를 들어 올리는 현대적 방식의 공기부양정은 바로 코케렐이 만들어낸 것   이다. 미국은 보트 제작회사였던 영국의 사운더스로가 제작한 공기부양정 SR.N5를 라이선스 생산해 베트남전에   투입했다.

현재 공기부양정은 초수평선 상륙작전의 필수장비로 간주된다. 초수평선 상륙작전이란 적이 감시하기 힘든 수평선   너머 해상에 상륙부대를 집결시켰다가 공기부양정 등 고속 기습수단을 이용해 상륙하는 것. 최근에는 전차를 탑재   할 수 있는 공기부양정까지 나오고 있다.

■ 위협적인 북한의 공기부양정

현재 북한은 자체 제작한 130~140대의 공기부양정을 가지고 있다. '공방급'으로 불리는 이들 공기부양정은 길이   24m, 폭 9m 정도의 소형으로 35~55명의 병력을 태우고 시속 50노트(약 93㎞)로 달릴 수 있다. 무장은 14.5㎜ 중기   관총이나 견착식 대공미사일 정도.

물론 크기가 작아 전차나 장갑차 등 중장비 수송은 할 수 없다. 두꺼운 장갑을 갖추거나 무장을 많이 할 수도 없다.   따라서 제공권과 제해권을 보장 받기 힘든 북한의 실정상 이 같은 수준의 공기부양정으로는 정규 상륙작전을 벌일   수 없다. 하지만 특수부대의 후방 기습침투라면 얘기가 달라진다.

우리나라 해안, 특히 서해안은 해안선이 복잡하고 조수간만의 차가 심하다. 특히 기존의 교통수단으로는 돌파하기   힘든 갯벌지대도 많다. 하지만 지면과 접촉하지 않는 공기부양정이라면 이 같은 지형도 문제가 없다. 만약 북한의   공기부양정을 방치한다면 적게 잡아도 4,500명에 달하는 특수부대원의 침투를 허용하는 결과가 된다.

대책은 없을까. 있다. 바로 아파치 헬리콥터다. 사실 공기부양정은 파괴하기 어려운 장비가 아니다. 해상에서 煞森   퓔?해군 함정의 함포나 대함미사일로 격침할 수 있고 육상에서도 대전차미사일이나 전차포 사격으로 격파할 수   있다.

문제는 공기부양정의 속도가 워낙 빠르다는 점. 이 때문에 전차를 해안으로 끌어내 대응하려 해도 이미 특수부대원   들을 내려놓고 도망친 후가 될 공산이 크다. 결국 해상에서 해결하는 것이 최상의 해법인데 공기부양정이 해상과   육지 사이의 갯벌지대로 들어가면 해군 함정은 더 이상 추적할 수 없게 된다.

이 같은 점을 감안하면 지상전력보다 훨씬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고 주야를 가리지 않은 채 목표지역에 장시간 머   무를 수 있는 전력이 필요하다. 그런데 한미연합군이 보유한 전력 중 이 같은 조건을 충족시키는 장비는 아파치 헬   리콥터가 유일하다.

한국군이 보유한 코브라 헬리콥터는 성능이 떨어지는데다 수량도 적다. 전투기나 전폭기는 이런 임무에는 너무 빨   라 목표지역 상공에서 대기하기 어렵고 탑재하는 무기의 수나 종류도 빠르게 움직이는 작은 크기의 공기부양정에   는 적합하지 않다.

반면 아파치 헬리콥터는 공기부양정을 상대하기에 가장 적합하다고 알려진 대전차미사일, 즉 헬파이어를 16발이나   장착하고 있다. 이는 또 다른 종류의 대전차미사일 메버릭을 6발 장착하는 A-10 지상공격기보다 월등히 많다.

하지만 미군의 아파치 헬리콥터 대대가 맡던 해상 대(對) 특수부대 저지임무가 최근 한국군에 위임됐다. 이에 따라   아파치 헬리콥터 대대가 조만간 철수수순을 밟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전력공백이 불가피한 셈이다.

■ 중고 아파치 헬기가 그나마 대안

아파치 헬리콥터 대대의 빈자리를 메울 한국군의 선택지는 과연 무엇일까. 우선 코브라 헬리콥터의 대체투입 방안   을 검토해볼 수 있지만 해상작전ㆍ야간작전ㆍ화력ㆍ방어력 등 모든 부분에서 전력이 떨어진다. 현재 한국군이 보   유한 코브라 헬리콥터는 모두 70여대. 그나마 모두 야간작전 능력을 갖춘 것도 아니다.

특히 이들의 주요 목표는 북한 지상군의 공격 방어. 이 같은 점을 감안하면 공기부양정을 잡기 위해 코브라 헬리콥   터를 빼내기도 어려운 상태다. 이 때문에 KA-1경공격기도 대체전력으로 떠오르고 있다.

KA-1경공격기는 저속의 터보프롭 항공기다. 초음속 전투기에 비하면 목표지역 상공에 오래 체공할 수 있고 공기부   양정 같은 빠른 표적에도 비교적 쉽게 대응할 수 있다. 하지만 KA-1경공격기는 고정익기인 만큼 회전익기인 아파   치 헬리콥터처럼 목표지역 상공에 오래 머무르기 힘들다.

특수부대 병력 35~55명 태우고 신속 이동 가능

갯벌지대 많은 서해안 후방 기습침투에 큰 위력

최상의 대처전력 美아파치헬기 철수땐'공백' 우려

2012년부터 중고 아파치 36대 도입 검토나서

한국군은 오는 2012년부터 중고 아파치 헬리콥터 36대를 도입하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다. 일부에서는 비   판적인 견해도 내놓지만 주어진 상황을 놓고 보면 이보다 더 좋은 대안도 찾기 힘들다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분석이다.

물론 한국형 공격헬기(KAH)로 아파치 헬리콥터의 전력공백을 메우자는 주장도 있다. 하지만 한국형 공격헬기 사업   은 어떻게 끌고 나갈지 가닥도 잡히지 않은 상태다. 설령 개발이 이뤄진다고 해도 10여년 이상 걸리는 항공기 개발   의 특성상 그동안의 전력공백을 메울 방도는 없게 된다. 북한 공기부양정의 존재와 아파치 헬리콥터 대대의 철수는   상존하는 북한의 위협을 더욱 부각시키고 있다.

이동훈 과학칼럼니스트 enitel@hanmail.net
dugue29의 최근 게시물

밀리터리 인기 게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