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방문

익산 쌍릉-무왕과 선화공주의 미스터리

님좀쩌신듯 작성일 10.01.13 22:19:06
댓글 1조회 3,482추천 0
126338865826387.jpg

 
전북 익산시(益山市) 석왕동(石旺洞)에 있는 백제 말기의 굴식돌방무덤
[橫穴式石室墳〕 2기 왕릉이 동서로 있어 쌍릉이라 부르지만 200m 가까이 떨어져 있다.
1963년 1월 21일 사적 제87호로 지정되었다.
마한(馬韓)의 무강왕(武康王)과 그 왕비의 능이라고도 하고, 주변에 미륵사가 있어서
백제 무왕(武王)과 선화비(善花妃)의 능이라고 전하기도 한다.
 


 

126338866833930.jpg


 

1. 백제 武王


 

무왕이 과부의 아들로 태어나, 익산쌍릉 근처의 마룡지에서 마를 캐어 팔며  가난하게 살았으나

왕이 된 것으로 보아 그가 몰락한 왕족임에 틀림없다. 무왕이 왕위에 오를 수 있었던 단서는

백제 성왕(523-554)에서부터 찾을 수 있다. 왕권강화와 백제 중흥을 위해 공주에서 부여로

천도(538)한 성왕은 당시의 지배 세력을 재편하고 국가체제를 정비하는 등 일련의 개혁을 추진했다.


 

 부여로 옮긴 후 성왕은 신라와 연합하여 고구려에게 빼앗긴 한강유역을 되찾고 딸을 신라에 시집

보내는 등 동맹체제를 강화하려하지만 바로 진흥왕의 배반으로 신라에게 패하고 만다.

그리고 그는 귀족들 의 반대를 무릅쓰고 신라정벌에 나섰다가 관산성(옥천)에서 전사하고 말았다. 

 


126338867812004.jpg
 

큰길옆 동쪽에 자리잡은 대왕묘


 

성왕의 죽음으로 백제 왕권은 급속히 약화되고 귀족들이 정국운영의 주도권을 잡는다. 그리고

관산성 전투를 주도했던 성왕의 아들이 왕위에 오른 후 귀족들에게 심하게 추궁을 받았다」는

기록이일본서기에 남아 있다. 이 아들이 바로 위덕왕(재위 554-598)으로 재위기간 내내 귀족들의

기세에 눌리다가 그가 죽은 후 혜왕(재위 598-599), 법왕(재위599-600)이 그 뒤를 잇지만 둘 다

2년만에 단명했고 왕권은 더욱 약해졌다. 법왕이 죽은 후 실권을 쥔 귀족들에 의해 무왕이

추대되는데...

귀족들의 권력유지와 국정운영을 위해 추대된 이가 바로 익산에 살던 몰락 왕족 서동이었다.

 


126338869283943.jpg
 
무왕이 신라의 왕실과 혼인을 추진했던 것은 안으로는 귀족세력을 누르고,
밖으로는 일시적으로나마 신라와의 대립을 피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연유에서 무왕과 선화공주의 결혼을 노래하는 서동요는 탄생한 것이며,

서동요속에는 당시 백제와 신라의 팽팽한 줄다리기를 늧추려는 정략적인 화해가

담겨 있다. 서동과 선화공주의 이야기는 비단 서동요에서만이 아니라 다른 전설에서도

옅볼 수 있다. 거창 월성계곡에는 백제왕자 서동이 신라의 선화공주를 꾀어서 백제의 도읍

부여로 돌아가던 길에 쉬어 갔다는 전설이 있고, 함양군 안의면의 원학동 계곡에도

서동이 선화공주를 데리고 지나갔다는 갈기숲의 전설이 남아 있다.




126338870231692.jpg
 소나무 숲속에 있는 소왕묘
 

2. 선화공주



신라의 진평왕(579-632)은 세 딸을 두었다. 첫째가 선덕여왕(632-647)이 된 덕만공주이고

둘째는 진평왕의 사촌인 용춘에게 시집가서 태종 무열왕(654-661)이 된 김춘추를 낳은 천명

공주요, 셋째딸이 바로 선화공주로서 백제의 무왕과 결혼한 것이다.


 

실제로 589년부터 601년(무왕2년)까지 양국간에는 한번의 교전도 없고, 삼국유사나

동국여지승람4)에 의하면 「미륵사 창건시 진평왕은 많은 기술자를 보내 사찰건축을

돕기까지 했다」고 한다. 그리하여 백제 신라간에 혼인을 통한 제3차 동맹이 맺어진 것이다.



 

126338871259377.jpg
 
12
  
그런데 미륵사지 석탑 해체 보수과정에서 '금제 사리 봉안기'가
나왔다. 당시 각 언론과 뉴스에서도 보도된바와 같이 위의 글에 왕후에 대한
신상정보가 흘러나왔다.
 
 8번째 줄... '우리 백제 왕후께서는 佐平(좌평) 沙(宅)積德(사택적덕)의 따님으로 지극히 오랜 세월[曠劫]에 善因(선인)을 심어 今生(금생)에 뛰어난 과보[勝報]를 받아 萬民을 어루만져 기르시고 불교[三寶]의 棟梁(동량)이 되셨기에 능히 淨財(정재)를 희사하여 伽藍(가람)을 세우시고, 己亥年(기해년) 정월 29일에 舍利를 받들어 맞이했다.'
 
해당 기록의 발굴로 인하여 미륵사 창건 주체가 백제의 무왕과 선화공주라는 ‘삼국유사’의 ‘서동설'이  강력한 반박을 받고 있을 뿐만이 아니라, 서동요 자체에 대한 의구심이 짙어지고 있다.

  126338873011641.jpg
 왕비릉으로 알려진 소왕묘

이 쌍릉은 고려 충숙왕 13년 왜구에 의해 도굴되었으며 1916년에 일인(日人)
 야쓰이(곡정제일(谷井濟一)에 의해 내부가 조사되었다. 쌍릉은 출토 유물은
 없지만 내부구조로 보아 백제 말기의 것임이 틀림없다고 한다.

내부는 모두 부여 능산리고분 돌방과 같은 형식으로 백제 말기인 7세기 전반의
형식이며 부근의 미륵사지가 백제 무왕때 창건되었음을 감안하면 이 능은
무왕과 왕비의 능묘일 가능성이 많다고 전해지고 있다.
님좀쩌신듯의 최근 게시물

무서운글터 인기 게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