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방문

아랫글 안경공장 관련 자료

71번 작성일 09.06.18 22:07:29
댓글 8조회 3,688추천 7
경산코발트 광산 민간인학살, 57년 만에 진실규명 진실화해위, “민간인학살 유해발굴...결정적인 물직적 증거”

  • 1950년 경산 코발트광산 민간인 학살 유해발굴


    촬영 편집/구자환
1950년 한국전쟁 당시 국군에 의해 민간인이 학살당해 매장된 것으로 추정되는 경산 코발트 광산에서 8일 오후 유해발굴을 위한 개토제와 위령제가 열렸다.

이번 유골발굴은 한국전쟁전후 민간인 집단희생과 관련하여 추진되고 있는 '2007년 유해발굴사업'에 따라 유해 발굴을 결정한 4곳 가운데 전남, 대전에 이어 세번째다.

무엇보다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진실화해위원회)가 주최하는 것인 만큼 국가 차원에서 실태파악과 함께 유해발굴을 통한 진상규명 작업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이는 한국전쟁이 발발한지 무려 57년만에 유족들의 간절한 소원이 일부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이날 경북 경산시 평거동 산42-1번지에 소재하고 있는 폐 코발트 제1수평굴 앞에서 진실화해위원회 관계자들과 유족 등 300여명이 참석해 억울한 죽임을 당한 영령들의 영혼을 달랬다.


이 자리에서 송기인 진실화해위원회 위원장은 “희생자의 대부분은 아무 죄 없는 민간인이며, 그 규모도 수천 명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며 그럼에도 “사건의 피해자와 유족들은 지난 60여 년간 온갖 사회적 편견과 차별을 받아왔고 한때 빨갱이로 몰리거나 연좌제라는 올가미 속에서 사회적 차별을 받기도 했다”고 말했다.

송 위원장은 “이번 유해발굴은 억울한 죽임을 당한 분들이 무슨 일로 끌려가 왜 죽었는지, 어디에 묻혀 있는지를 밝혀내는 중요한 단서가 될 것”이라며 “진실을 규명하고 피해구제와 명예회복을 통해 따듯한 이웃으로 포옹하는 사회적 분위기를 마련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사단법인 한국전쟁전후 경산코발트광산 민간인 희생자 유족회 이태준 이사장은 추도사를 통해 “지난 57년은 우리 유족에게 감옥이었다”며 “한국전쟁 전후의 민간인 희생은 반인도적이고 반인권적이고, 반사회적이며 반역사적 행위”라고 지적했다.

이태준 이사장은 “정부와 정치인들도 정치투쟁을 그만하고 구천에서 떠도는 원혼들을 위해 양심적 측면에서 완전한 진상규명과 명예회복이 이루어져 영령으로 모실 수 있도록 동참해야 한다”고 주문하기도 했다.

위령제에 이어 진실화해위원회와 전국 유족회장단, 지역시민단체 관계자들은 개토제와 유해발굴을 위한 첫 삽을 뜨고 시신이 매장되어 있는 제1 수평갱도를 둘러보았다.

경산 코발트광산 민간인학살 사건은 1950년 6월 말에서 9월 초까지 대구, 경북지역 국민보도연맹원과 대구형무소 재소자 등 3.500여명이 폐 코발트 광산 지하갱도와 인근 대원골에서 국군에 의해 집단희생된 것으로 추정되는 사건이다.

당시 대구형무소 재소자 2,500여명과 경산 400여명, 청도 400여명, 영천 등 200여명의 국민보도연맹원 등이 집단 희생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진실화해위원회는 이 사건에 대해 2006년 4월 25일 조사개시를 결정하고 10월 10일 실질조사를 거쳐 2007년 3월 20일자로 2007년 유해발굴 대상지로 최종 선정했다.

이번 발굴은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사)한국전쟁전후 경산코발트광산 민간인 희생자 유족회가 주관하고 있고, 2004년 마산시 진동면 여양리 민간인학살 사건 희생자 유골을 발굴을 진행했던 이상길 경남대 교수가 발굴팀을 이끌고 있다.

진실화해위원회는 이어 오는 10일 충북 청원 분터골 보도연맹사건에 대해서도 발굴을 시작할 계획이다.

 

 

 ===================================================================

124533033261939.jpg

 

    경산코발트폐광속 유해遺骸 160여구 발굴

                                                       이름새겨진 도장, 금 씌운 치아에 손톱 등도 나와

 

57년간 폐광속에 캄캄하게 묻혀있던 유해들이 비로소 밝은 세상밖으로 나왔다.

 

진실 · 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위원장 송기인. 약칭 진실화해위원회)는 지난 9월 20일 한국전쟁 당시 민간인이 집단 학살된 것으로 알려진 경산코발프광산사건의 유해발굴 결과에 대한 현장 설명회를 가졌다.

이날 설명회는 유해발굴을 진행한 경남대 박물관(관장 이종흡)팀 주관으로 진실화해위원회 유해발굴조사단(단장 박선주 교수), 경산코발트광산 피해 유족회(회장 이태준) 회원 20여명 등 70여명이 이상길(경남대 박물관 책임연구원) 교수로부터 발굴결과에 대한 설명을 들었다.

진실화해위원회는 이 사건의 진실규명을 위해 지난 7월 8일 개토제를 올리고 본격적인 유해발굴 작업을 진행해왔다고 밝혔다. 

발굴단은 수직갱도에서 매장된 유해가 수평갱도의 한쪽 부분으로 쏟아져 나온 상태로 토사와 함께 묻혀있는 160여구 이상의 유해를 발굴했다. 발굴숫자는 유해의 각 부위를 검토해 최소 개체로 계산했다.

발굴된 유해들 중 일부는 두개골과 골반 등에 총상을 입은 것이 확인됐고 금을 씌운 치아와 손톱 등도 발굴됐다.

또한 직접적인 학살의 증거로 보이는 실탄 5점과 탄피, M1 18정, 칼빈 22정을 비롯해 희생자들의 손목을 묶었던 것으로 보이는 삐삐선 등이 발굴되었다. 한편 민간인의 것으로 추정되는 신발, 단추, 천 조각, 고무줄, 칫솔, 허리띠(버클포함), 도장 등의 유품도 대량 발굴됐다.

특히 2호 수평갱도에서는 박봉우朴奉羽라는 이름이 새겨진 목도장이 도장집과 함께 발굴되기도 했다. 단추는 교도소 수감자들이 아닌 일반 민간인들의 것으로 보이는 것들이 많았고 여성용 단추도 발굴돼 상당수의 여성 피해자도 포함된 것으로 추정됐다. 

이상길 교수는 "수습된 유해들은 충북대 박물관으로 옮겨 유해의 사망지점, 성별 구분 등의 기본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감식과정을 거치게 된다." 면서 "조사과정의 정황으로 보아 수직갱도 하부에 유해가 집중됐을 가능성이매우 높다."고 "앞으로 폐광의 구조와 작업조건 개선, 수직굴의 조사방법 개발을 통해 효율적인 발굴작업을 검토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경산코발트광산 유해발굴 작업은 수직갱도에서 주로 토사를 제거하는 작업을 진행했는데, 10.8m지점에서 연결되는 것으로 보이는 다른 갱도가 발견돼 현재 11.5m까지 확인하고 중단된 상태이다.

이날 송기인 위원장은 "유해발굴은 민간인 집단 희생사건의 결정적 증거를 찾는 중요한 일인만큼 57년간 기다려 온 유족들의 기대에 부족함이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경산코발트광산사건은 1950년 7월부터 9월까지 당시 대구형무소에 수감돼 있던 재소자 2,500여명과 경산, 청도, 대구지역의 국민보도연맹원 등 3,500여명의 민간인들이 국군과 경찰에 의해 집단사살돼 폐광속에 매장된 것으로 알려진 사건이다.

현재까지 발굴된 유해는 최소한 240구 이상으로 수평갱도 1호에서 40여구, 2호에서 120여구가 발굴됐고 2001년과 2005년에는 대원골에서도 80여구가 발견됐다. <편집자 주>}

 

124533039032826.jpg

 

경산코발트폐광속에서 발굴된 도장과 도장집

 

124533042920453.jpg

 

  경산코방트폐광속에서 발굴된 각종 유물

71번의 최근 게시물

무서운글터 인기 게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