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방문

불법복제

PasA 작성일 07.06.20 16:50:33
댓글 2조회 771추천 26

소프트웨어의 불법 복제

꽤나 작게 생각될 수 있습니다.

윈도우 상의 계산기나 메모장 프로그래밍을 해보셨습니까?

물론 익숙한 사람은 금방 할 수 있지만 약간의 노가다 요소가 있기 때문에 시간 꽤나 걸립니다.

더구나 게임이나 운영체제 각종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래밍은

최적화를 위해서 조금 더 시간을 투자하고 복잡한 프로그래밍을 해서 최적화를 시켜야 하기 때문에

그 노력은 더합니다.

 

프로그래밍을 전공하면서도

불법 복제로 각종 프로그램 및 운영체제를 구해서 쓰는 저이지만

정말 어렵습니다.

일년 이상을 개발한 소프트웨어를 공짜로 쓰기도 뭐하지만

학생의 입장에서 돈주고 사기에는 너무 비싸다고 느껴집니다.

 

프로그램 개발은 힘들고 노력이 많이 필요하지만

그것이 불법복제의 피해로 돈벌이는 되지 않고

그렇다고 모든 프로그램을 정품을 사용하자고 하면

제 컴퓨터에 각종 프로그램 및 영화, 음악 등은 모두 없어져야 하겠지요.

모든 소프트웨어를 구입하기엔 가격이 부담되고

불법 복제는 없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이런 아이러니한 일을 해결할 방법은 없을까요?

무조건 돈주고 사라. 그냥 쓰지 마라. 식의 답변은 해결책도 될 수가 없습니다.

PasA의 최근 게시물
  • 몬스터헌터g07.06.20 16:58:36
    0
    그럼 사고 싶은것만 사요.
  • Ankh1307.06.20 17:17:47
    0
    일단은 100% 복제를 막는 방법이 개발되고 수요가 늘어날테니 소프트 가격 팍팍 내려가고(특히 MS랑 어도비 같은 대형 소프트 기업의 제품들!!!) 그럼 되겠죠...-_-; 뭐 말처럼 쉬운게 아니라는게 문제...
  • ogrish닷컴07.06.20 18:06:14
    0
    유틸 하나하나 게임 하나하나에다가 강력한 락을 걸어 놓는겁니다
    풀기 굉장히 어려울 정도로 말입니다.. 요즘은 이 프로텍트 기술도 한차원 높아져서
    쉽게 못풉니다. 프메5 한글판 처럼 말이죠... 시간이 지나고나면 풀리겠지만
    그것도 아니라면, PasA님같은 사람을 더이상 만들고 싶지 않다면
    온라인시장 밖에는 방법이 없습니다. 모든 패키지 상품을 없애 버리고
    모든 프로그램을 사용하기전에 반드시 로그인을 해야만 하는것으로 바꿔야합니다
    즉, 다시말해 사용자의 신상정보를 그쪽에다가 제시를 해주면서
    회원가입시 제품번호도 같이 적도록 해야 합니다. 중복등록을 막기위해서죠
    그리고나서, 차후에 해당프로그램 하다못해 한글 이라도 실행시킬려면
    일일이 로그인을 해서 실행시킬수있도록 조치하는수밖에는 없습니다
  • ogrish닷컴07.06.20 18:09:19
    0
    이제는 진짜 패키지로 나가면, 아무리 용을쓴다고 하더라도 후에 다 뜷리게 되어 있습니다
    각 기업들이 예산과 기술 조금만 더 투자해서, 모든 프로그램(게임,유틸) 들을
    이런식으로 온라인화 시키면, 더이상의 불법복제는 있을래야 있을수가 없게 됩니다

    뭐 들리는 소문으로는 앞으로 나올 스타2도 이런문제 때문에 온라인화 시킨다는 말도 있습니다
    2008년 후반기 발매 예정인 디아3도 온라인게임일 겁니다
  • AceSag07.06.20 19:36:24
    0
    저도 프로그래밍 전공자입니다만,
    값이 비싸서 불법쓴다는 것은 치졸한 변명일 뿐입니다.

    찾아보세요.
    무.료로 공개된 프로그램 다~ 있습니다.
    귀찮아서 쉐어웨어에 크랙걸어 쓰고, 리눅스 냅두고 윈도우즈 쓰는거죠.

    PasA님께서 불법으로 쓰는 프로그램 중에
    프리웨어, 쉐어웨어로 비슷, 혹은 동일 제품이 존재하지 않는게
    과연 몇개나 됩니까?
  • AceSag07.06.20 19:40:16
    0
    PasA님이 나쁘다는 것은 아닙니다.
    아니, 정확히 말해서 도둑질을 하지 않는 한국 컴퓨터 사용자는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죠.
    저를 포함해서 이 사이트를 들락거리는 불법복제 사용자들은 명백한 범죄자입니다.
    하도 많아서 어쩔 수 없을 뿐이지요.
  • AceSag07.06.20 19:45:06
    0
    저는 대책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적어도 개인 수준에서는 없죠.

    그러면 프로그래머들은 어떻게 먹고 살까요?
    답은?
    일반인한테 안 팔면 됩니다.

    애초에 OS 등과 같이 생필품과도 같은 어플리케이션들이야
    M$ 같은 거대 기업 제품과 경쟁할 꿈도 못 꾸는데요, 뭐.

    남은 찌끄러기 프로그램이나 짜다 불법복제 때문에 돈 안 벌린다고
    징징거리는 것도 참 비참한 일입니다.

    우리나라 패키지 게임 시장이 그랬고,
    결국 망했죠.

    대책?
    없습니다.

    불법복제 쓰면 소송이나 걸 수 있는 기업을 상대로 팔아먹어야죠.
  • AceSag07.06.20 19:51:33
    0
    환경주의자들 중에서 환경문제로 지구가 이대로 멸망할 것이라는 사람도 적지 않더군요.
    환경오염이 심각하다는 소리는 귀에 못이 박히게 들어왔습니다.
    과거에 비해 환경오염이 심각하다는 것은 누구나 인정합니다.
    그러나 환경주의자들이 환경오염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자본주의'를 해체하고,
    근본적으로 자연을 '인간'과 동격으로 대우해야한다는 소리에는 코웃음만 칩니다.
    그러나 NASA가 몇 년 안에 환경오염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문명이 정지해버릴지도 모를 정도로)
    을 강구하지 않으면 앞으로 다가올 환경재난을 막을 수 없을 것이라는 소리에도...
    관심이 없죠.

    여전히 기업인들에겐 자연이 파괴되든, 말든, 당장의 이익이 중요합니다.

    정말 망할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사람들은 죽어도 자연 파괴에서 나오는 이득을 포기하려들지 않죠.

    이대로 가면? 망하겠죠.

    대책?
    그런게 어딨습니까?
    코 앞에 돈에 눈이 멀어 그냥 이대로 가겠다는데.

    제가 오버한다고 생각하시겠지만, 저도 안 믿기지만 이게 현실이죠.
  • AceSag07.06.20 19:56:23
    0
    그래도 프로그래머로써 먹고 살기 위한 해답은 간단하죠.

    일반인을 버리고, 기업을 상대하면 됩니다.

    게임으로 치면, 패키지를 버리고, 온라인, 모바일 플랫폼을 개발하는 것과...
    비슷하다고도 할 수 있겠군요.

    대책?
    그런거 없습니다 =_=

    정부가 미친척하고 초강공책으로 엎어버리면 또 어떻게 될지 모르지만...
    가능성은 낮죠...

    정책적으로 들고 일어서도 p2p가 있는 이상,
    일반인들의 의식수준 문제니까요.
  • 조울즈응07.06.20 21:52:49
    0
    AceSag// 님 말 도 맞긴 한데 그럼 게임왕국 일본 은 뭘까요? 그나라 는 게임 하나 잘만들면 수백만 장 이상 씩 팔려나가는데... 복사가 많다고 해도 그렇게 수백만장 씩 팔려 나가니까 다음작품을 만들고 회사도 돈 벌고 그런거 아니겠습니까? 특히 슈퍼마리오 시리즈 는 게임잡지 에서 보니까 전 세계 기준 으로 복사본 까지 하면 1억만 장 을 팔렸다는데 방법은 있습니다 다만 생각을 안해서 그런거지요 일반인 을 상대를 안한다는건 말이 안되는거 입니다 os 나 기타 프로그램 은 기업 들 이 많이 쓰지만 게임 같은 소프트웨어 는 일반인 이 사지 기업이 삽니까?
  • AceSag07.06.21 00:06:20
    0
    조울즈응 // 그건 일본 이야기이지요.
    일본, 미국 정도의 의식수준만 되어도 이렇게 이야기 안 합니다.
    저도 패키지의 추억을 많이 가지고 있는 사람입니다만 긍정적으로 봐도,
    우리나라의 패키지 시장은 '죽어가고 있다'가 아니라 '이미' 죽었습니다.

    조울즈응님께서 드신 예는 너무 극단적일 뿐더러, 국내상황과 부합되지도 않습니다.
    우리 나라에서 제 2의 슈퍼마리오가 나오리라 기대하는건 너무 무리한 일입니다.
  • AceSag07.06.21 00:06:52
    0
    조울즈응 // 과거에는 게임산업이 간지나는 아이디어 하나로 대박을 터트릴 수 있었죠.
    어차피 하드웨어의 한계로 만들 수 있는 소프트웨어의 한계도 소수 자본으로 건드려볼만 했고요.
    페르시아의 왕자, 슈퍼 마리오 같은 대박의 가능성이 누구에게나 있었습니다.

    그러나 현재는... 이미 게임 산업은 고자본 사업입니다.
    온라인이지만 wow... 돈 많이 벌었죠? 그 개발비용은 얼마나 들었는지 아십니까?
    소자본으로는 돈 주고 팔만한 모양새를 내기도 힘이 듭니다.
    심지어는 모바일 게임 시장마저 소자본 + 아이디어로 성공하는 예가 드물어지고 있고요...

    그렇다면 그 돈은 어디서 구합니까? 대기업? 은행? 과연 패키지 시장에 빌려줄까요?
    또 그런 게임이 만들어진들 p2p를 외면하고 패키지를 주문할 사람이 몇이나 될까요...
  • AceSag07.06.21 00:07:07
    0
    조울즈응 // 창세기전3 외전2가 나올 때까지만 해도, 우리나라 패키지 게임은 정말 수준급이었습니다.
    당시 불광동에 살았는데, 불광서점에서는 한쪽 면에 패키지 게임을 진열해놓은 코너가 있을 정도였습니다.
    다만 불법복제 때문에 "망한다, 망한다, 정품 좀 사라"는 기사가 2달 걸러 게임잡지에 실릴 뿐이었습니다.
    하지만 유저들은 믿지 않았죠. 아니 믿고 싶지 않았습니다.
    그 결과가 현재죠.

    패키지따윈 존재하지도 않고,
    국내게임이라곤 2%의 게임성과 98%의 사행성으로 사람을 옭아매는 온라인 게임이 남아있을 뿐입니다.
  • ogrish닷컴07.06.21 01:24:36
    0
    일본에서의 게임산업 [콘솔]
    국내에서의 게임산업 [온라인]

    이정도로만 설명해도 이해는 되겠죠.

  • ogrish닷컴07.06.21 01:31:57
    0
    불법복제 막는 아주 간단한 방법 있습니다
    웹하드를 아에 봉쇄해버리는거죠
    원래 웹하드란것이 합법적인 목적으로 만들어진 것이지만
    그것이 악용되고있고, 이제는 개인의 자료를 보관하기 위함이 아니라,
    쉴새없이 올라오고있는 각종 게임과 유틸을 다운받기 위함이 되어버렸으니
    악용될 소지가 있으면 원천에 불법으로 다 개정시키고 막아버리는게 좋겠죠?
    예를들어 NDSL의 닥터프로그램의경우, 원래는 문쉘을 이용한 각종 홈브류들을 편하게 보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지만, 지금은 어떻습니까. 게임을 다운받아 넣고 실행하는것이 주 목적이 되었잖습니까
    그래서 문쉘전용 문미디어가 새로생기고 그외 타 닥터는 단속대상으로 만들어버렸죠
    뭐, 웹하드 없앤다고 불법복제가 없어지는건 아니겠지만(와레즈가 또 생기겠죠)
    그만큼 단속하기는 더 쉬워질거라고 저는 봅니다
    불법복제 이건 뭐 시민의식도 문제지만
    정부가 워낙에 이것에 대해 심각하게 생각을 안하고
    조금만 강압적으로 나가면 물론 시민들은 불편해 하겠지만
    해결책이 나올수도 있는데,
    또 개념없는 시민단체들이 시위하고 그럴까봐 못하고있는겁니다
  • ogrish닷컴07.06.21 01:38:49
    0
    2002년 말부터 ISP(인터넷서비스 제공사업자)에 의하여 제기되어온 요금제로 인터넷정액제에 상대되는 개념이다. ISP의 수익악화, 불법복제 등으로 인한 트래픽 증가와 과다사용, 온라인상에서 저작권 보호의 어려움 등의 이유로 제기되었으나 2004년 현재 반대여론에 부딪혀 실시하지 못하고 있다.

    ISP들에 따르면 상위 5%의 사용자가 전체 데이터량의 43%를 차지하고 있어 대부분의 가입자에게는 정액제가 오히려 불평등하고, 종량제가 시행되면 파일교환서비스(P2P)를 통한 음란물이나 불법복제물 유통 등 불필요한 인터넷 사용이 줄어들어 업체와 소비자 모두에게 이익이라고 주장한다.

    오죽했으면 인터넷 종량제 하자는 소리까지 나올까요??
  • Dj2Es07.06.21 02:55:26
    0
    저기 우리나라 복제 문제가 언제를 기점으로 크게 터져 나왔을 까요??? 언제라고 생각하시나요??

    바로 IMF 입니다. IMF 가 되서 소득 수준이 급격히 떨어지고 불안한데, 음반이나 게임을 하고 싶어

    도 경제적으로 위축되서 너도 나도 복제 시장을 찾게 된거죠. 경제적으로 우리 소득 수준이 실질적

    으로 올라 가면, 시장도 언젠가 안정을 찾을 겁니다. 막는다고 다 바뀔 순 없어요.

    그리고 저작권이란 것도 말이죠....미국도 초기 발전 시대 때는 복제 천국 이었다는 것은 아시는지?

    저작권 개념 생긴 것도 얼마 안됩니다. 지금은 이 저작권이 선진국의 경제적 무기가 되고 있지만요..

    하여간, IMF 가 우리나라의 사회 틀을 너무나도 바꿔논 것은 사실이군요. 소득수준과 복지 수준이

    선진국 수준이 되지 않는한, 불법 복제는 막기 힘듭니다.
  • PasA07.06.21 07:40:08
    0
    흠. 역시 각자 다른 생각을 하고는 있는듯 하군요. 저는 온라인 로그인 방법이나 가격을 국가 경제에 맞추는 방법을 생각했는데... 예를 들면 중국의 와우 가격 같은 것처럼요. 불법 소프트웨어 전혀 안쓰고 컴퓨터를 할 수 있겠지요. 한글, 오피스, 운영체제, 포토샵, 플래시, 데이터베이스, 스타 정도가 불법 소프트웨어네요. 백신은 바이러스체이서가 가격이 저렴해서 정품 사용하다가 지금은 아예 안사용하고 있구요. ㅋㅋ 필요한것만 사기에는 오피스나 운영체제 말고 다른 프로그램 역시 생필품 수준이 되어버린 것 같습니다. 기왕이면 비누나 치약처럼 물론 몇천원에 팔라 하는건 아니지만 그런식으로 가격의 하락을 해주었으면 하는 바램이구요. 이래선 안된다. 저래선 안된다. 그건 핑계다. 불가능 하다. 그게 다 맞는 소리기도 하지요. 자신의 시선으로 자신의 입장에서는. 무엇보다 기업과 개인, 개발업체 등의 적절한 조율과 타협이 가장 큰 해결책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만~ 이것 역시 제 입장 제 시선에서 나온 의견중에 하나일 뿐이지요.
  • 김 형수07.06.21 10:30:38
    0
    제발 목적에 맞게 글좀적자. 여긴 리뷰란이다. 그리고 불법복제하러 짱공유 왔으면 그냥 조용히 다운받고 가자. 여기까지와서 무슨 불법복제어쩌구 저쩌구 타령이야. 그렇게 불법복제가 싫으면 스스로 정품만 사서 쓰던가. 아님 어디 포털사이트 같은데서 불법복제 없애자고 캠퍼인 하든가. 아님 짱공유 다른 게시판에서 글 적든가. 꼭 리뷰하는데와서 일반게시판처럼 이용하려는 사람이 넘쳐나네.
  • By_별빛07.06.21 18:54:26
    0
    짱공유에서 불법복제 이야기는 별로 의미가 없어보이네욤. 그리고 우리나라에서 PC 패키지 게임은 이제
    안나올 것 같네욤. 외국 게임이라면 모를까..
  • 잔인소세지07.06.21 20:21:59
    0
    와레즈의 대표주자 짱공에서 불법복제에 대한 대책방안을 의논하구있다니 ㅋㅋㅋㅄ들

    이건 뭐 조폭들이 민심안정과 치안강화를 의논하는 거보다 더 웃기는일인데?ㅋㅋㅋㅋ
  • 하누마인07.06.21 21:29:26
    0
    자꾸 이런식으로 패키지를 안만들면 될듯.
  • 카스케이드07.06.23 02:40:47
    0
    아루온식으로 하는게 그나마 괜찮은 방법인거 같은데
  • hunny807.06.25 20:48:05
    0
    온라인화 하면 문제는 네트워크 용량이죠...몇개는 문제 없지만 많아진다면.....그리고 모든 사람이 빠른 인터넷을 사용한다고 생각하시면 안됩니다..
  • 북북노인1307.06.30 21:27:41
    0
    윗글들을 보면 저렇게나 생각이 많고 또 프로그램 일에 종사하는 많은 분들이....짱공유를 이용하시는군요. 이런 것을 두고 '제 살 파먹기.'라고 하나요? 님들이 아무리 그럴듯한 말을 해봤자. 산꼭대기에서 낚시하시는 꼴입니다. 참 우스워 보여요.
  • 미힉07.07.05 21:28:05
    0
    자 이제 니가 말하고자 하는 결론은 뭡니꺄?
게시글 목록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추천수
게시글 목록
15003 라브랭 10:58:01 86 0
15002 오스랑키인 10:06:01 398 0
15001 푸젠의얼굴 2025.04.23 7,343 0
15000 돚거 2025.04.23 9,390 0
14999 돚거 2025.04.22 12,080 0
14998 햄냥이 2025.04.22 12,457 1
14997 prestt 2025.04.22 13,459 0
14996 땅콩버터크림 2025.04.21 14,477 0
14995 하맷 2025.04.21 14,700 0
14994 아갓어보이멋진 2025.04.21 15,104 1
14993 홍동삼 2025.04.20 17,245 0
14992 륀놔위써뷔쓰 2025.04.19 19,458 0
14991 리자몽에이드 2025.04.18 21,250 0
14990 푸젠의얼굴 2025.04.18 21,593 0
14989 라브랭 2025.04.18 21,531 0
14988 햄냥이 2025.04.18 21,879 0
14987 라브랭 2025.04.17 23,744 0
14986 땅콩버터크림 2025.04.17 23,850 0
14985 하맷 2025.04.17 23,803 0
14984 라브랭 2025.04.16 18,498 0
14983 상어엔 2025.04.16 22,202 0
14982 하맷 2025.04.16 25,704 0
14981 홍동삼 2025.04.16 26,283 0
14980 홍동삼 2025.04.16 26,459 0
14979 하맷 2025.04.14 23,469 0
14978 땅콩버터크림 2025.04.14 23,410 0
14977 햄냥이 2025.04.14 23,198 0
14976 상어엔 2025.04.14 23,637 0

게임 인기 게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