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문제는 이스라엘이 아니고 독재자 네타냐후가 문제임.역대 최장기간 집권이고 비리혐의가 거의 윤석열일가급임.거기다 한국식으로 보면 탄핵투표인 총리신임투표에서 1표차이로 불신임안이 기각돼자마자 전쟁일으킨거임.다음 불신임안은 6개월 뒤에 가능하니까 그 안에 자기 지지율 올리려고
🇮🇷 대한민국-이란 관계 ✅ 전통적 경제 중심 관계 1962년 수교, 한때 이란은 한국의 제2위 산유국 원유 수입, 플랜트 건설, 중소기업 진출 등으로 활발한 경제 교류 ❌ 최근 관계 악화 미국의 대이란 제재(특히 2018년 트럼프) 이후, 한국은 이란 원유 수입 중단 이란의 석유 수출 대금 약 70억 달러가 한국 내 동결 (우리은행 등) 이란은 한국을 비난하며 반발 → 외교 마찰 발생 🔄 최근 변화 시도 인도·중국·러시아 등 비서방 블록에서 이란이 영향력 확대 한국은 중동 외교 다변화 차원에서 관계 복원 탐색 중
🇮🇱 대한민국-이스라엘 관계 ✅ 우호적이며 점점 긴밀해지는 관계 1950년 한국전쟁 당시 이스라엘이 한국을 인정, 외교 수립 최근 방산·스타트업·AI·사이버 보안 등 첨단기술 협력 강화 2021년 한-이스라엘 FTA 체결: 중동 국가 중 최초 한국군, 이스라엘 무기체계 도입 (예: 아이언돔 관련 기술 협의, 드론 방어 기술) ⚖️ 주의사항 이슬람 국가들과의 균형 외교 유지 필요 팔레스타인 문제 관련 유엔 투표 등에서는 중립적 태도 유지
질문 순서대로 했을때 3, 5, 6번은 다소 문제가 있네요. 1차 걸프전은 이스라엘이 참전을 안한게 아니라 사우디 때문에 미국이 이스라엘 참전을 원하지 않았음. 이라크하고 이스라엘은 유명한 앙숙인데 이스라엘에서 미국을 돕겠다고 병력을 파견하면 이라크 국민이 좋아하겠네요. 소말리아 주변 아랍국가하고 관계문제도있고 파견 할만한 군함도 이스라엘을 가지고 있지 않은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