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방문

은행금리폭등 국민청원

액숀맨 작성일 21.11.09 22:23:50
댓글 32조회 8,486추천 34
60011c52846496427a01511a2bb58a45_755914.png

 

https://www1.president.go.kr/petitions/Temp/mbYL59

 

 

 

액숀맨의 최근 게시물
  • 4
    지금은 다행이 전세대출 풀렸지만 얼마전까지 가계대출 총량규제라는 되도않는 법칙을 앞세워 전세대출과 1가구 청약 중도금 잔금대출까지 막는거 보고 정부하는짓이 어처구니가 없음
    거기에 내년은 전세대출까지 금액조절한다니... 에효
    우리나라는 가계부채는커도 국가부채는 낮은 나라라 큰걱정도 없고 애초에 가계부채가 급격히 커진것도 급진적으로 오른 집값 전세금 때문인데...
    최소한 실수요는 막지말아야지 이렇게 대출이 막히면 부자들이 오히려 타격이 적고 전세자금이나 잔금일정이 걸린 일반 실수요 가정들은 2-3금융권으로 내몰려서 더 큰 부채부담으로 온다는걸 모르는건가..

    아니 그리고 1 금융은 규제가 더심하고 3금융 이후 사금융이 더 규제가 적어서 대출도 더 잘되는건 참.... 오히려 1금융 규제를 실수요자들에겐 적게 줘야지
    그리고 이미 부동산 15억 이상이나 두채이상인 부자들은 어차피 대출이 안되서 대출규제하던가 말던가 신경도 안씀 서민만 죽어나가는거...
  • campas21.11.09 23:33:44댓글바로가기
    6
    내년에 본격적으로 금리오르기 시작하면 일부는 곡소리 날 것임. 그래서 정부에선 대출 규제로 금리인상을 이미 경고 했음. 그리고 위기때 대출로 버틴다는 것은 상당히 위험한 선택이므로 당연히 금리가 오르는 상황도 예상을 했어야 합니다. 특히 자영업하시는 분들은 빚으로 버틴다는 위험한 생각은 말아야 합니다. 지금도 잘되는 집은 장사 잘 됩니다. 안될때는 그 이유를 빨리 파악해서 선택을 해야합니다. 안타깝습니다
  • 0
    돈없으면 임대주택 살아야죠
    서울에선 집 못사요 이제 ㅎㅎ
  • zzinp221.11.09 22:34:40 댓글
    0
    멀 해도
    국민만 손해
  • 4
    지금은 다행이 전세대출 풀렸지만 얼마전까지 가계대출 총량규제라는 되도않는 법칙을 앞세워 전세대출과 1가구 청약 중도금 잔금대출까지 막는거 보고 정부하는짓이 어처구니가 없음
    거기에 내년은 전세대출까지 금액조절한다니... 에효
    우리나라는 가계부채는커도 국가부채는 낮은 나라라 큰걱정도 없고 애초에 가계부채가 급격히 커진것도 급진적으로 오른 집값 전세금 때문인데...
    최소한 실수요는 막지말아야지 이렇게 대출이 막히면 부자들이 오히려 타격이 적고 전세자금이나 잔금일정이 걸린 일반 실수요 가정들은 2-3금융권으로 내몰려서 더 큰 부채부담으로 온다는걸 모르는건가..

    아니 그리고 1 금융은 규제가 더심하고 3금융 이후 사금융이 더 규제가 적어서 대출도 더 잘되는건 참.... 오히려 1금융 규제를 실수요자들에겐 적게 줘야지
    그리고 이미 부동산 15억 이상이나 두채이상인 부자들은 어차피 대출이 안되서 대출규제하던가 말던가 신경도 안씀 서민만 죽어나가는거...
  • 비폭력대화21.11.09 22:58:56 댓글
    0
    돈없으면 임대주택 살아야죠
    서울에선 집 못사요 이제 ㅎㅎ
  • 건물주0921.11.09 23:13:37
    7
    @비폭력대화 돈없으면 못사는게 맞죠. 빚으로 사놓고 시세차익을 노리는것들때문에 이모양이꼴인데.
  • 스펙스레21.11.10 12:05:36
    0
    @비폭력대화 주택은 여전히 싸던데요
  • 명불허전21.11.10 03:30:47 댓글
    7
    대한민국 가계부채가 gdp대비 110프로 넘었어요. 매우 위험한 상태입니다. 전세자금대출 막은건 거품붕괴를 대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를 한거거요.
    조만간 곡소리 날겁니다.
  • 레로아빠21.11.10 10:15:54
    0
    @명불허전 선거 전 부동산 좀 잡아 보겠다고 쑈하는건데요.

    최근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통계로 정부는 17년 국가채무 660조에서 현정부 5년간 408조 올라서 1068조 될 예정인데요.
    부채가 61%가 올랐어도 문제 있다는 정부 입장 단 한마디 안하는데요 ㅋ

    가계부채는 17년도 1450조에서 21년 2분기 1800조로 24% 올랐는데요.
    코스피도 2000에서 3000된 마당에 부채는 24% 올랐는데요...

    이러다 다 죽어~

    비율이 아닌 절대 금액만 봐도 정부400조랑 가계350조인데요??
    가계부채 보고 뭘 뭐라 하는건디요??
  • 명불허전21.11.10 14:07:38
    0
    @명불허전
    //레로아빠
    아빠님이 믿든 안믿는 이미 20년도에 100프로 넘었고 전세라는 사금융까지 포함하면 폭탄은 더 커집니다.
    선거 전 부동산 잡아보려는게 아니라 이제 진짜 다 죽게생겼으니 이제서야 뭔갈 하는겁니다.
  • campas21.11.09 23:33:44 댓글
    6
    내년에 본격적으로 금리오르기 시작하면 일부는 곡소리 날 것임. 그래서 정부에선 대출 규제로 금리인상을 이미 경고 했음. 그리고 위기때 대출로 버틴다는 것은 상당히 위험한 선택이므로 당연히 금리가 오르는 상황도 예상을 했어야 합니다. 특히 자영업하시는 분들은 빚으로 버틴다는 위험한 생각은 말아야 합니다. 지금도 잘되는 집은 장사 잘 됩니다. 안될때는 그 이유를 빨리 파악해서 선택을 해야합니다. 안타깝습니다
  • 레로아빠21.11.10 09:59:57 댓글
    0
    지금 상황 이해하시고 금리 인상 타령하세요.

    정부가 대출 총량 규제하니
    가능대출액 대비 대출 수요는 상대적으로 많으니 은행이 배짱 장사로 인플레이션 전 발행 채권까지 포함해서 5~6년 은행채 평균이자기준으로 2~3% 기준금리 산정하고 거기에 자기들 경비들 가산금리로 포함해서 4~5%로 받아 먹는 중임.

    실제 은행이 대출에 필요한 자금 조달 비용은 금리 인상반영된 현재 cofix 신규취급액기준으로 1.16% 밖에 안됨.

    즉 은행들이 그냥 국민들한테 1~2% 강취하고 있는데 뭔 금리 타령이요?? 정부관료들과 은행계랑 유착관계로 뻔히 편의성 봐주고 있는건데..

    요소수는 매점매석은 잘도 털드만 이런건 잘도 냅두는 ㅋ
    이래서 돈과 권력이 있어야 되는건가...

    정부는 총 대출액은 규제하는데 은행권은 사상최대실적이러고 있어요.
    국민들만 털려 나가는데... 금리타령...
  • Aokizi21.11.10 10:14:11
    0
    @레로아빠 미국이 테이퍼링한다던데... 미국에 겨울이 오면 다른나라는 빙하기잔아요...
    긴축없이 수출로 먹고사는 우리나라가 버틸수 있을지 살짝 두렵긴합니다.
  • 명불허전21.11.10 14:29:35
    0
    @레로아빠 비가올 때 은행은 우산을 빌려주지 않는다라는 격언이 있죠. 은행 믿고 가즈아 하실겁니까?
    우리나라 아니 전세계는 지금 양털깎이 당하는 중이에요. 저런 청원 올리고 나라에서 뭘 해주길 기대하기 전에 디레버리징해야 우리가 삽니다.
  • 터어얼보오21.11.10 10:29:07 댓글
    0
    본인은 대출하고 상관없다고 생각하시는 분들 많은거 같은데 저도 그랬습니다 자영업 하고 있고 서울 전세 살고 있습니다
    자영업 코로나 때문에 2년 죽치고 대출로 안막을수가 없습니다 뭐 님 말씀처럼 장사 잘되는데도 있죠 근데 전 저녁장사가 주수입원인데
    장사를 못하게 하는데 어떻게 버팁니까.... 낮에 백반집에 사람 많다고 다른 자영업자들도 다 잘먹고 잘산다고 생각하시나요....
    거기에 또한가지가 더 늘었죠 전세 2년전에 대출 없이 수준에 맞는곳에 들어갔습니다 근데 집주인이 들어온다 하네요 ....
    시세 알아보니 억단위로 올랐네요 주변도 마찬가지구요 신축,구축 다올랐습니다 대출 없이 가려면 용인도 힘들겠네요
    근데 자식 둘 학교 와이프 직장 제 직장 다 팽개치고 출퇴근도 거의 불가능한곳까지 이사가야 하나요....
    물론 투기를 하는사람을 잡아야 합니다 근데 그거 잡으려다 실 수요자까지 피해를 본다면 그거야 말고 벼룩잡다 초가삼간 다 태우는격 아닐까요
    돈을 더 벌려고 대출하는 사람도 있지만 살아남으려고 하는 사람이 더 많다고 봅니다
  • 스피드러너21.11.10 10:36:59 댓글
    0
    Aokizi
    테이퍼링을 너무 두려워 할 필요 없습니다.
    정작 우리가 곤두세우고 봐야할건 이자율이예요.

    직접 자산매입 하던 행위를 중단 : 테이퍼링.
    시장에 풀렸던 통화를 회수 : 금리 상승.

    테이퍼링은 국소적인 경제정책중 하나이고 이게 시장긴축과 긴밀한건 아닙니다.
    주식시장과 자산시장이 테이퍼링에 민감하게 반응 하지 않는 이유가 여기 있습니다.

    막연한 두려움은 공포로 변질되요. 경제는 심리를 먹고 사는데 공포가 만연되면 누가 이익을 볼지 생각해 보시면 됩니다.
  • 쿤타킨테21.11.10 00:16:59 댓글
    0
    은행은 원래 갑 아니었나
    은행이 정보를 먼저알고 올리는거같은데
    코로나 없었으면 더 빨리 올랐을거고
    금리기 낮은걸 당연하다고 생각하는지
    90년대만 해도 예금금리 좋았는데
  • 명불허전21.11.10 03:27:42 댓글
    5
    저 청원은 자본주의 개나 줘버리라믄 청원인데... 채권조달 금리가 올라가면 시중금리는 당연히 올라가는겁니다.
    예를들면 유가 올라가지만 국가 경제를 생각하서 주유소 기름값을 동결해달라는 이야기임
  • 레로아빠21.11.10 10:53:51 댓글
    0
    저 내용은 지금 기름값이 싸지만,
    주유소가 5년전에는 기름값이 비쌌으니 5년치 평균으로 받아 먹겠다는 걸 막아달라는 거임.
  • 명불허전21.11.10 14:00:00
    0
    @레로아빠 지금 채권금리가 미친듯이 오르고 있어요. 채권금리가 원유가격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믿기 싫으시겠지만 국내 기준금리 인상도 임박했고 채권금리는 더 올라갈겁니다.
    디레베리징만이 살길입니다.
  • 굿에스티21.11.10 06:42:20 댓글
    5
    여기분들은 대출받으신분들이 없으신가보네요?
    아님 고금리 다 내실 능력들이신가 ㅜㅜ
  • 천상의요람21.11.10 07:17:08 댓글
    7
    돈없으면 대출받지말고 분수에 맞게살아 니들 능력도 안맞게 집산다고 과대출받아서 나라가 이모양이잖아
    지들 행동에 책임을 져야지 징징대기는 돈처먹을때는 헤헤거리다 금리 좀 오르니까 엄살떠네 이제 시작인거 모르냐 과거 하우스푸어 잊었나보네 난 줍줍이나 해야지
  • 닭스훈트21.11.10 09:36:12 댓글
    1
    말 그대로 영끌한 사람들은 곡소리 나올거임
    근데 영끌 자체가 리스크 감수하고 한거 아닌가요??
  • Sammie21.11.10 13:38:26 댓글
    0
    +1
  • 슈프림xLV21.11.10 09:45:27 댓글
    0
    너 집 없지?? 가, 너 집 있지??(영끌 대출 끼고)로 바뀌겠네 곡 소리 나겄네 진짜
  • zzinp221.11.10 09:46:54 댓글
    0
    집있는 사람은 진골
    집없는 사람은 노비...
  • 국민의악당21.11.10 09:50:40 댓글
    0
    금융위, 금융감독원 퇴직하면
    은행의 고위임원으로 취직해야 하니까?
    나라 참 조옷같이 돌아가
  • 국물흘러21.11.10 09:51:26 댓글
    0
    ㅇㄷ
  • 녹존21.11.10 10:18:36 댓글
    1
    영끌 빚투해서 아파트값 두배 인상 > 내가 잘난 덕
    미국금리 인상으로 금리인상되서 부담되니 > 나라탓

    금리인상 될걸 수개월전부터 경고했는데..
  • 스피드러너21.11.10 10:27:39 댓글
    1
    참 재미있는게 대출을 갑자기 뭐 이렇게 하겠다 규제한게 아니예요.
    시장에 공급되는 대출 증가율을 관리하고 있던건 이미 10년이 넘었어요.

    즉, 하던걸 그냥 하고 있었던거 뿐이고 대출을 옥죄거나 규제한건 없습니다.
    정부가 관리하는건 가계대출 총량도 아니고 증가율이예요.
    증가율을 관리하겠다는 거죠. 20년에 대출 총량이 10조였다고 치면, 21년에는 5%증가 이내로 억제하여 총량은 10조 5천억이 되는 겁니다.
    오히려 금액은 매년 늘어나요. 올해 왜 이런 현상이 생기냐? 집값 급등 및 시장 과열로 대출총액이 이미 소진 되서 그런겁니다.

    내년 1일부로 총액이 풀려요. 올해보다 총액은 더 늘어난채로요. 그러면 은행간 대출 실행 자금이 여유가 있으니 금리도 현재보단 어느정도는 안정됩니다. 많은 사람들이 이내용을 잘 모르고 있더라구요. 과거에도 연말쯤 가능금액이 조기소진 되서 이런적이 있는데 그때는 주택 매매수요가 지금보단 적어서 조용히 넘어 갔었죠.
  • 삭제 된 댓글 입니다.
  • 스피드러너21.11.10 17:52:17
    0
    @Espresso 어차피 시중금리는 대부분 코픽스연동에서 가감되는 거기 때문에 감성적으로 접근할 문제는 아닙니다.
    은행이 나 이만큼 받을래 라고 책정 해 놓고 공산품 팔듯 하지 못해요.

    대출 가능 금액이 줄어 들면 코픽스금리는 올라가게 되어 있고 시중에 대출 가능 금액이 많이지면 내려갑니다.
    물론 은행이 그와중에 한정된 마진을 조금 더 붙일 수는 있지만 그것도 한계가 있어요.

    소비자는 프로모션을 하는 은행(지점별)을 찾으면 되고, 은행 프로모션은 보통 그때그때 달라지기 때문에 운신의 폭만 넓히면 됩니다.
    물론 현재 시중 금리가 상승기는 맞지만 님이 말씀 하신 것 처럼 은행 입맛대로 할 수 있는 시장은 아니라는 겁니다.
  • 벤셔만21.11.10 11:31:05 댓글
    0
    아파트 값 하락 할 것 같으니, 금리로 회수 시작 하는 것이지...
  • 스펙스레21.11.10 12:03:31 댓글
    0
    한번 터져라 대한민국 한번 리셋 갑시다.
    빨리 터지기 전에 1금융은 자금회수바랍니다.
  • 머선12921.11.10 12:07:44 댓글
    1
    내년이 버티기 싸움의 시작점인가
게시글 목록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추천수
게시글 목록
742086 _Alice_ 15:26:46 171 1
742085 전소미 14:58:24 592 6
742084 _Alice_ 14:05:57 1,285 16
742083 월월왈왈 13:43:28 1,486 6
742082 국군탈모총장 11:20:01 5,395 29
742081 국군탈모총장 11:16:16 3,250 7
742080 아임OK 11:12:05 3,021 7
742079 초꼬슴 11:11:52 3,263 6
742078 아임OK 11:10:41 3,033 8
742077 아임OK 11:06:16 2,702 9
742076 아임OK 11:02:39 3,356 15
742075 아임OK 11:00:20 3,169 11
742074 아임OK 10:57:18 3,365 11
742073 고라니가고라니 09:35:11 5,692 24
742072 고라니가고라니 09:34:31 3,687 12
742071 틀랄록 09:27:57 5,877 26
742070 말먹는당근 09:19:28 4,161 13
742069 겜광양 2025.05.23 10,607 13
742068 고라니가고라니 2025.05.23 17,677 29
742067 아임OK 2025.05.23 22,464 47
742066 아임OK 2025.05.23 11,681 12
742065 아임OK 2025.05.23 11,792 7
742064 아임OK 2025.05.23 19,700 48
742063 아임OK 2025.05.23 16,383 25
742062 아이U어른ME 2025.05.23 22,052 33
742061 아이U어른ME 2025.05.23 11,308 7
742060 아이U어른ME 2025.05.23 10,574 14
742059 아이U어른ME 2025.05.23 11,479 13

엽기유머 인기 게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