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방문

트위터 저작권 논란

전자담배 작성일 21.08.28 22:11:13
댓글 16조회 6,439추천 13
665762db2ed8f37574ac010f84d848a3_474046.jpg

 

전자담배의 최근 게시물
  • 포이동21.08.29 00:30:01댓글바로가기
    0
    뭔 게소리야? 내가해냄이란 말을 난 30년 전에도 썼는데 내 일기장에 ‘내가해냄’이라고 써 있는거 증명하면 그 광고료 나 줄거요? 뭔 대단한 어휘도 아니고 억지는
  • 다르덴21.08.28 22:39:55댓글바로가기
    0
    https://j-loveletter.tistory.com/6

    찾아봤는데, 저런 유행어 비슷한 밈은 저작권으로 인정하기 힘들다고 하네요.
    대신 유명인을 모사, 모방해서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건 문제인 듯 함.

    예전에 티비에서 개그맨이 유행어 저작권 등록했다 뭐다 하는 내용을 들었던 것 같은데 그렇지 않나 보네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광고 등 창작을 하는 사람이라면 타인의 작업물을 이용할 땐 먼저 물어보고 하는게 도리지 않나 싶음
  • 0
    예전에, 되는데요? 랑 같네.
    자기꺼라고 왜 쓰냐고 했다가 빠르게 사과하고 인정했지
  • 삭제 된 댓글 입니다.
  • 다르덴21.08.28 22:24:12 댓글
    0
    상표 등록처럼 등록을 해야지 인정이 되겠죠?
    보아하니 저 사람의 논리는 등록같은 걸 안했지만 이전에 광고회사로부터 일정 비용을 지불 받았으니
    뭔가 법적인 효력을 갖고 있지 않나라는 취지의 궤변같은데,,,
    안했다면 사실 뭐 어쩔 수 없는거죠.

    근데 상업적으로 쓰인 광고 같은 내용이 정말 명백하게 카피한 것이 맞다고 판단된다면
    법적으로는 모르겠지만 이슈가 돼서 문제가 많아질 듯 하네요.
    가수들 표절 논란이 있듯 손가락질 받지 않을까 함

    그리고 젤 아래에 저작권료를 지불한 광고회사가 일 못하는 곳이라고 하는데,
    나중을 위해서 저런 식으로 계약서 쓰고 확실히 하는게 좋죠. 되려 잘한 일 같은데,,,

    여튼 나중 시간 지나서 유명해지니 배아프다고 아쉬워 하는 사람이나
    업계의 생태계나 컨디션을 잘 모르고 일 못하는 곳이라고 말하는 사람이나
  • 플루타르크21.08.28 22:32:41
    0
    @다르덴 저작권은 창작과 동시에 발생합니다.
    등록하면 차후 권리주장할 일이 생길 경우
    본인이 권리자임을 입증하기가 쉬워서 따로 등록하는거구요.
  • 다르덴21.08.28 22:39:55
    0
    @다르덴 https://j-loveletter.tistory.com/6

    찾아봤는데, 저런 유행어 비슷한 밈은 저작권으로 인정하기 힘들다고 하네요.
    대신 유명인을 모사, 모방해서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건 문제인 듯 함.

    예전에 티비에서 개그맨이 유행어 저작권 등록했다 뭐다 하는 내용을 들었던 것 같은데 그렇지 않나 보네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광고 등 창작을 하는 사람이라면 타인의 작업물을 이용할 땐 먼저 물어보고 하는게 도리지 않나 싶음
  • vahngo21.08.28 22:46:20
    0
    @다르덴 특정 제스쳐나 억양등으로 해당 단어를 표현했다고 한다면 밈으로 인정받아 저작권이 된다지만
    저렇게 그냥 단어로만 썼다고 저작권으로 인정받긴 힘들죠..
    개그맨의 경운 등록하는거로 알고있습니다.
  • 길가다꿍했져21.08.29 03:10:59 댓글
    0
    밈에도 저작권이 있다는 말은 경우에 따라 맞기도 하고 틀리기도 합니다.

    세계적으로 밈에 대한 저작권을 인정받고 거래된 경우는 대부분 '사진의 원본'입니다.
    그럼 인터넷에 돌아다는 수많은 짤 중 무엇이 사진의 원본인 것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즉 무엇을 근거로 밈의 저작권을 주장할 수 있는 걸까요? 그냥 인터넷에 돌아다니는 수많은 짤, 사진들인데.

    여기서 등장하는 것이 바로 NFT입니다.
    NFT는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해서 디지털 자산의 소유주를 증명하는 토큰을 의미하는데
    국어로 풀어쓰면 대체 불가능 토큰으로, 쉽게 설명하면 그림·영상 등의 디지털 파일·자산 등에 블록체인 기술로 만든 토큰을 꼬리표로 붙이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나무위키 : https://namu.wiki/w/NFT)

    이해하기 어려우시다면 대충 세계적으로 NFT화 된 밈 만이 저작권을 인정받아(?) 거래되고 있는 것이라고 생각해도 됩니다.

    현재까지 밈 중 최고가에 거래된 밈은 도지 NFT입니다.(45억에 경매 낙찰, 엘론머스크의 그 '도지코인'의 그 도지입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10612027700009

    그런데 위와 같은 경우는 NFT와 관련된 문제도 있지만 위의 밈이 '내가해냄'이라는 상업적 판매목적의 도장에 대해
    저작권을 주장할 충분할 근거가 있을지는 법적인 판단을 받아봐야 알 수 있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마지막으로 밈의 저작권에 대해서는 지금 세계적으로도 통용되는 법적 정의가 없는 상태입니다.
    이 게시물을 읽는 여러분도 의아한 부분이 많으실 겁니다.
    즉 밈의 저작권을 쉽게 주장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라는 이야기입니다.
  • vahngo21.08.29 06:56:53
    0
    @길가다꿍했져 글쓴이가 주장하는건 내가해냄이라는 단어를 써왔다는거고 그걸 한업체에서 상업화한다고 찾다보니 글쓴이가 써왔다고 주장해서
    사용료를 주고 만들었으니 저작권이 나한테 있다 어쩌고 블라블라 하는거 잖아요..
    근데 댓글에도 언급했듯이 글쓴이는 저작권 주장이 애매합니다. 말한것처럼 억양이나 제스쳐를 만들어서 사용한것도 아니고
    단순히 단어로만 사용했다는거니까요.. 만약 위에 도장을 글쓴이가 만들어서 사용했다고 하면 저작권 주장이 가능하죠..
    하지만 그게 아닌 유행어라고 내가해냄을 말했다고 자기가 만들어냈으니 저작권 주장을 운운하는건 ㅄ이라는겁니다.
    내가해냄이라는 말이 유행한다고 했는데 저 단어는 그전부터 써왔던거고 유행이라고 하기엔 특별한 뭔가가 없는 단순한 단어죠..
    업체에선 구질구질해지는것보단 그냥 주고 조용하게 처리하자는 뜻으로 저렇게 처리한듯 합니다.
  • G소서리스21.08.28 23:29:14 댓글
    0
    예전에, 되는데요? 랑 같네.
    자기꺼라고 왜 쓰냐고 했다가 빠르게 사과하고 인정했지
  • 엘민이21.08.29 00:25:50 댓글
    0
    아마 광고에 한정된 저작권은 첨 광고로 사용한 회사가 가져가겠지. 정작 첨 쓴 사람은 등록 안 했음 나가리 아닌가?
  • 포이동21.08.29 00:30:01 댓글
    0
    뭔 게소리야? 내가해냄이란 말을 난 30년 전에도 썼는데 내 일기장에 ‘내가해냄’이라고 써 있는거 증명하면 그 광고료 나 줄거요? 뭔 대단한 어휘도 아니고 억지는
  • 구라王21.08.29 00:47:33 댓글
    0
    반다크홈 스타킹신은발보고 꼴리면 이상한가요
    승룐권다 지은아... 진심... 사랑해...
    아.. 이건 그분들만 써서 좀 근가?
  • 돌아온개구리21.08.29 01:04:27 댓글
    0
    내가해냄 이거 몇년전부터 평소에 자주쓰던말인데…

    한글을 만드신 세종대왕님께 저작권료 드려야하는거 아닌가요???
  • 투머치락커21.08.29 01:11:24 댓글
    0
    빨리 세종석규님 짤보고싶다 그거 있자나요 그거
  • 왕꽃츄21.08.29 04:30:22 댓글
    0
    엄친아도 저작권 쩔것네...
  • 됫됬됏아니고됐21.08.29 04:50:08 댓글
    0
    한글쓰는 넌 세종대왕님께 저작권 냈냐!??
  • bbongss21.08.29 06:25:41 댓글
    0
    예전에 군용텐트 치면서 “되는데요”한거랑 비슷하네 ㅋㅋ
  • 청춘라이더21.08.29 10:09:22 댓글
    0
    먼소린지

엽기유머 인기 게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