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방문

동남아는 땅도 비옥한데 왜 발전이 늦었을까?

머엉하니 작성일 21.03.29 11:57:30
댓글 22조회 8,636추천 50

■ 동남아는 땅도 비옥한데 왜 발전이 늦었을까?

 

동남아시아 각국들을 보면 기후도 1년 내내 따뜻하고 1년 3모작도 가능할 만큼 농업생산성이 상당히 높습니다. 비교적 척박하면서도 사계절 때문에 농업에 다소 불리한 동북아시아 입장에서 보면 동남아시아는 그야말로 축복받은 땅인 것처럼 보입니다. 그런데 한가지 의문인 점은 그렇게 식량이 풍부하다면 당연히 옛날부터 인구도 많았을 테고, 전근대 사회에서는 인구=국력이니 분명 약소국은 아니었을 텐데, 동남아시아 각국들은 세계사에서의 존재감이 왜 이토록 옅을까요? 기후가 따뜻하다보니 사람들이 게을러서 그랬던 걸까요?

정답은 현재 동남아시아의 높은 농업생산성은, 유럽 열강의 식민지로 전락한 18세기 이후에나 얻을 수 있었던 것이기 때문입니다. 착각하기 쉬운 일이지만 역사적으로 동남아는 같은 면적의 동북아에 비하면 농업 생산성이 훨씬 낮았습니다. 언뜻 보면 비옥한 토양에 1년 내내 따뜻한 기후이지만 격한 호우가 심심찮게 내리는 탓에 관개에 불리하며, 땅에 있던 영양분도 쉽게 휩쓸려 내려나가버려 결국 잡초와 벌레들만 우글거리기 십상이었습니다. 그래서 유럽이 동남아 지역을 식민통치하면서 보다 효율적인 관개시설이나 비료, 제초제를 도입해오기 전까지는, 동남아시아 지역의 토양은 그 포텐셜을 제대로 발휘할 수가 없었습니다. 

 

 

그런 까닭에 아세안이라고 불리우는 동남아시아 지역은 인구밀도도 낮은 편이었습니다. 현재 아세안은 면적상 현대 중국의 약 46.7%에 해당하고 인구는 중국의 44.9%에 해당하지만, 1820년 시점의 동남아시아 인구는 약 4천만명 정도로 이는 동시기 중국의 약 10~12% 정도였습니다. 그러나 1930년에 이르면 동남아시아 인구는 중국의 27%에 이를 만큼 가파르게 증가합니다. 영국령 말레이시아 등지에서 나타난 중국과 인도로부터의 이민도 동남아시아 인구성장의 기여요인이기는 했지만, 사망률 감소와 더불어 높아진 농업 생산성이 결정적이었죠.

정리하자면, 오늘날처럼 동남아시아에 식량이 풍부해진 것은 비교적 현대에 들어서였습니다. 면적 자체가 넓기는 했지만 산악이나 밀림 지역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기에 농토 이용률이 낮았고, 서구식 농업기술이 도입되기 전까지는 생산성도 높지 않아 인구밀도도 낮았습니다. 그러므로 오늘날의 농업생산성에 비추어 보고 옛날에도 응당 그랬을 것이다라고 생각하고 동남아시아를 바라보면, 자칫 동남아 사람들은 게으른 족속들이라는 우생학적인 편견을 가지게 되기 쉽죠.

 

동남아시아 농업발전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고 싶으신 분께는 "Southeast Asian Agricultural Growth: 1930–2010(Anne Booth)"를 읽어보실 것을 추천합니다. 

 

 

※함께 읽어보면 좋은 글

<인디언들은 왜 북미대륙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했을까?>

<중국과 인도에는 왜 그렇게 인구가 많을까?>

<왜 하필 동아시아에는 강국들이 모여있을까?>

<사하라 사막의 인구수는 대한민국 수도권에 필적한다>

머엉하니의 최근 게시물
  • 0
    나는 이런 레퍼런스가 있는 자료가 좋더라
  • 1
    지금 관점에서야 게으르게 보이는 거지 당시 동남아에선 저게 생존방법입니다.
    살인적인 날씨와 독충, 독초가 널려 있으니 밖에서 열심히 일하다간 제 명에 못 살고 가는거죠.
    딱히 동북아인들이 더 우월한 것도 아니고, 단군이 저쪽에 터를 잡았으면 우리도 똑같았어요.
  • 0
    중동은 가스만 있는데 미국은 미네랄 가스 무한맵
  • 가는데까지21.03.29 12:00:32 댓글
    0
    나는 이런 레퍼런스가 있는 자료가 좋더라
  • 헬스마니아21.03.29 12:01:32 댓글
    0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찡긋~
  • 겨울이오고있다21.03.29 12:09:14 댓글
    0
    밀이 안정적으로 단위면적당 생산량이 나오는데 반해 쌀은 농사기술에 따른 생산량 차이가 좀 많이 남. 잘 지으면 밀보다 높은데 아니면 떨어짐.
    서양인들한테 쌀농사 문화권의 대표적인 이미지가 동남아인데 연중 따뜻한데 물이 차 있는 논에서 농사를 짓기 때문에 부패하기 쉽다, 벌레가 많다는 이미지가 따라다녀서 좋은 이미지는 아님. 모기-말라리아같은 질병하고도 쌍으로 연상함.
  • 착짱참짱21.03.29 12:32:17 댓글
    0
    토질은 비옥한데 그에 걸맞게 무시무시한 파충류 독충들이 우글거림

    뱀 크기 ㄷ
  • wjdnf21.03.29 12:40:07 댓글
    0
    3D 세계지도를 보면서 가장 탐나는 땅은
    미국의 평야지대...
    프랑스의 평야지대도 있긴한데
    미국의 평야는 가히...
    트럭커들의 동영상을 보면 한두시간 걸쳐서 가는게 아니고 직진만 수백마일..
  • 흔들리는남심21.03.29 12:44:33 댓글
    0
    미국은 스타팅포인트가 너무 사기 ㅋㅋ
    평지는 비옥하고 강은 유량 쩔고 산지에선 온갖 광물이 나오고 사막에선 기름이....
  • 바스티드슈다21.03.29 12:49:00
    0
    @흔들리는남심 중동은 가스만 있는데 미국은 미네랄 가스 무한맵
  • wjdnf21.03.29 19:28:33
    0
    @흔들리는남심 2차대전때 본진 자원만으로 연합군 물량의 대부분을 감당했죠...
  • 산기슭곰발21.03.29 12:40:21 댓글
    0
    요약 : 벼가 자라기 좋은 환경이라면 잡초는 더 존나 잘자람
  • 닉은퓨리21.03.29 12:43:14 댓글
    1
    밥먹고 땃땃하니 게을러짐
  • 크림빵오리21.03.29 12:45:17 댓글
    0
    벌레들이 문제구만..
  • Psh2121.03.29 12:56:45 댓글
    0
    그것보다 동남아는 날씨가 진짜;;;
    외지인이라서 그랬는지 몰라도 그 더우고 습한 날씨에
    밖에서 일하는 현지인들 보면 진짜 대단하다고 느낌
  • 퍼스사랑21.03.29 13:05:09 댓글
    0
    좋은 글입니다!!
  • 로오데21.03.29 13:25:31 댓글
    0
    요즘 한참 이슈인 미얀마는 깔고 있는 자원이 참 많습니다.

    티크 생산 세계1위, 보석도 루비, 사파이어,진주 탑이며, 아시아에서 처음 석유 개발된곳도 미얀마 입니다.

    또한 3모작이 가능한 나라입니다. 이렇게 살기 좋은 미얀마가 왜 저렇게 되었을까?

    재미 있는 세계사 이야기를 해주는 채널 [최준영 박사의 지구본 연구소] - 원래 3프로에서 방영되다 인기가 있어서

    따로 떨어진 채널이 되었내요.

    https://www.youtube.com/watch?v=k0mYQVPThIQ Play
  • 은하최강한량21.03.29 13:33:27 댓글
    0
    언럭키 동남아가 잉카마야인디언 문명인가
  • 로켓트박대리21.03.29 14:30:29 댓글
    0
    게으른건 팩트.......
  • 은빛화살21.03.29 14:44:28 댓글
    1
    지금 관점에서야 게으르게 보이는 거지 당시 동남아에선 저게 생존방법입니다.
    살인적인 날씨와 독충, 독초가 널려 있으니 밖에서 열심히 일하다간 제 명에 못 살고 가는거죠.
    딱히 동북아인들이 더 우월한 것도 아니고, 단군이 저쪽에 터를 잡았으면 우리도 똑같았어요.
  • 똘뺑이21.03.29 15:42:27 댓글
    0
    개념추
  • 이동희21.03.29 19:52:52 댓글
    0
    단군이 일본에 터를 잡았으면 우리도 왜놈들이랑 똑같았어요????
    단군이 중국에 터를 잡았으면 우리도 짱 께들이랑 똑같았어요????
    단군이 영국에 터를 잡았으면 우리도 미국을 먹을수 있었어요????
    민족성이나 문화, 교육, 역사등등의 문제는 전혀 없고 다 터 때문인가요?
  • 은빛화살21.03.29 21:54:33
    0
    @이동희 핀트를 좀 잘 못 잡고 있으신거 같은데, 저는 자연과학적인 면에서 말한 겁니다.
    극지로 갈수록 동물의 덩치가 커진다 같은 것 처럼요. 이건 어딜 가나 보편성을 띠죠.
    막무가내로 똑같았냐고 이러니 좀 어이가 없는데,
    수렴진화라는 게 있습니다. 전혀 다른 동물이 같은 환경에서 비슷한 모습으로 진화하는 건데,
    여기에 정확히 맞는 비유는 아닙니다만 단군이 일본이나 중국에 터를 잡았으면
    적어도 지금보단 중일 사회의 모습과 비슷해졌겠죠.
    미국을 먹을 수 있었냐는 건 사회과학의 분야라 단언할 수 없습니다.
    그럴 수도, 아닐 수도 있겠죠.
  • SF덕후21.03.29 18:52:32 댓글
    0
    좋은 글이네요. ㅊㅊ
  • 바우로21.03.30 04:19:39 댓글
    0
    좋은글 ㅊㅊ
게시글 목록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추천수
게시글 목록
745571 겜광양 20:14:19 683 3
745570 찐만두두빵 20:04:35 828 5
745569 늦은밤이네요 19:58:44 868 0
745568 사람을치겠더라고 19:58:37 809 5
745567 사람을치겠더라고 19:51:56 711 3
745566 남천동 19:26:59 1,255 9
745565 감정동솜방망이 18:08:31 2,044 6
745564 woonyon 18:06:15 2,127 12
745563 woonyon 18:03:45 2,019 10
745562 전전두엽 18:02:24 1,922 7
745561 woonyon 17:59:49 1,837 4
745560 woonyon 17:58:24 1,631 2
745559 woonyon 17:55:02 2,276 12
745558 woonyon 17:54:20 1,598 4
745557 woonyon 17:53:06 2,058 10
745556 woonyon 17:50:23 2,048 3
745555 woonyon 17:49:35 1,906 11
745554 woonyon 17:48:46 1,529 3
745553 woonyon 17:46:32 1,681 8
745552 woonyon 17:44:26 1,715 2
745551 woonyon 17:39:44 1,659 5
745550 woonyon 17:31:39 1,804 4
745549 woonyon 17:30:02 1,917 3
745548 woonyon 17:25:33 1,951 7
745547 마코르농 16:40:15 2,898 14
745546 소년이라고 16:38:34 3,979 33
745545 사람을치겠더라고 16:25:35 6,530 54
745544 다비켜해볼께 16:22:48 2,398 7

엽기유머 인기 게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