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방문

학생들이 많이 쓰는 일본어 잔재 단어

_Alice_ 작성일 20.10.03 21:07:32
댓글 44조회 7,625추천 24

 

c3c549020652a0079e494adc97056fa1_928232.jpg
dfcff0d6d4b11961d4ef3633d0e02c72_496109.jpg
_Alice_의 최근 게시물
  • 0
    닭도리탕 시발놈아 일본말 아니라고 잡놈의 국어원새끼야!!@
  • 0
    윗도리 아랫도리.
    닭을 도리치다 에서 나온 닭도리탕.
    순우리말이라는것이 우세함

    일본어 도리(새) 와는 다른단어임
  • 0
    닭볶음탕 진짜 ㅄ같음
    도리?? 어?? 이거 일본말로 새 잖아! 일제의 잔재다!!
    개붕신들 ㅅㅂ
  • 야이개객끼야20.10.03 21:10:19 댓글
    0
    아가리또 고ㅈㅏ지마쓰
  • jollya20.10.03 21:10:50 댓글
    0
    닭도리탕은 아랫분이 설명해주실겁니다.
  • 늑태희20.10.03 21:12:57 댓글
    0
    목볶음, 장볶음, 강호의 볶음 등등에 이은
    래브라볶 음트리버가 생각나는군요
  • 뇌룡장어20.10.03 21:12:42 댓글
    0
    닭도리탕 시발놈아 일본말 아니라고 잡놈의 국어원새끼야!!@
  • 짜이즈이콘20.10.03 21:20:12 댓글
    0
    볶아서 파는데 있는지 ㅋㅋ
  • 뇌룡장어20.10.03 21:21:47
    0
    @짜이즈이콘 저 시발 색히들때메 닭을 볶아서 하는 조리법생김.
    걍 돌려서한다고 도리탕아님? 시파색히들. 뭐만하면 일재잔제래
  • 볼리배어20.10.03 21:22:41 댓글
    0
    닭볶음탕 진짜 ㅄ같음
    도리?? 어?? 이거 일본말로 새 잖아! 일제의 잔재다!!
    개붕신들 ㅅㅂ
  • 잔혹한마법사20.10.03 21:31:09 댓글
    1
    국립국어원이 잘못을 인정할리 없으니 앞으로 음식 이름을 바꾸는 걸로..

    돼지고기 김치 찌게 -> 돼지고기 김치 볶음 찌게 식으로..
  • 뇌룡장어20.10.03 21:49:14
    0
    @잔혹한마법사 그냥 시파 닭돌려찌게 이런걸로 ㅋㅋㅋㅋㅋ
  • GitS20.10.05 16:53:09
    0
    @잔혹한마법사 찌게(X)

    찌개(O)
  • 잔혹한마법사20.10.05 16:56:55
    0
    @잔혹한마법사 Gits //
    감사!
    수정... 이 안되네요..;;;
  • leedh720.10.03 21:12:57 댓글
    0
    아 애매하다도 일본어구나..
  • ssssddd20.10.03 21:17:41 댓글
    0
    김구라 : 머쓱...
  • 지돈이20.10.03 21:19:29 댓글
    1
    이빠이 야마도네 닭도리탕 건들지마라
  • 쌈장법사_20.10.03 21:21:00 댓글
    0
    애매모호하다가 같은말이었구나..
  • 불꽃방망이20.10.03 21:31:09 댓글
    0
    밑에 따로 썼다가 허깔려 하시는 거 같아서 님 댓글에 댓글 답니다.

    애매하다는 일본의 잔해가 아닙니다.

    사전에도 '애매'와 '애매하다' 뜻이 다 등제되어 있으며, 국립국어원에서도 '애매모호하다'라는 말을 표준어라고 답변합니다.

    예전 기사에 서경덕교수가 일본에서 쓰는 '애매(曖昧·あいまい)'가 우리나라 모호와 뜻이 겹친다는 이유로 일본의 잔해이고, 애매모호라는 말은 같은 뜻이 2번 사용된 잘못된 언어라고 기사를 썼었는데, 국립국어원에서는 애매모호라는 표현은 표준어라고 합니다.
    애매와 모호의 차이는 애매의 경우 몇가지 해석 중에 분명하지 않음을 뜻하는 뜻으로 모호와 같은 뜻이 있지만, 아무 잘못 없이 벌을 받거나 해서 억울하다. 라는 식의 해석도 존재합니다.
    애매와 모호의 같은 뜻으로 사용되어진 예시는 '나는 그에게 애매한 대답을 들었다.' or '나는 그에게 모호한 대답을 들었다.' 라고 둘다 사용 가능
    '애매한 시간'은 맞은 표현이지만, '모호한 시간'은 잘못된 표현입니다.
    모호하다는 말이나 태도, 즉, 행위에만 초점을 둔다는 것에서 애매와 차이를 둡니다. 따라서 애매모호하다라는 말은 같은 단어를 두번쓴 잘못된 표현이 아니라 표준어라는 말이지요.
  • 기가마스터20.10.04 12:02:48
    0
    @불꽃방망이 애매 : 여러가지 해석이 가능 중의적 표현
    부드러운 배

    모호: 기준이 명확하지 않은 표현
    중년의, 대머리......
  • 어싸둥둥구리20.10.03 21:25:21 댓글
    0
    모야매룽다
  • 불연화20.10.03 21:27:41 댓글
    0
    야메떼?
  • tokang20.10.03 21:28:09 댓글
    0
    닭도리탕 > 닭볶음탕은 볼 때마다 바보 같음. 조리과정에 볶는 행위가 없는 것 같은데, 무슨 까닭으로 무려 볶음탕씩이나 됐는지.
    즉석떡볶이도 볶는 과정이 없는데 떡볶이라고 하는거 같잖아 죽겠구만.
  • 불꽃방망이20.10.03 21:36:32 댓글
    0
    닭도리탕도 일제의 잔해로 보면 마찬가지지요. 도리=닭을 뜻하는 일본어인데, 해석하면 닭닭탕이 되죠.
    그 전에 우리나라말에 도리치다라는 말이 있었지요. 도려내다 라는 뜻인데, 닭을 도려낸 탕 = 닭도리탕 이라고 해석이 되는데 굳이 일본의 잔해라고 국립국어원에서 말했다가 나중에 사실 닭도리탕의 어원을 모른다고 인정했습니다.
  • 안정환20.10.03 21:55:53
    4
    @불꽃방망이 도리=새 입니다. 쉽게 고도리 생각하시면 됩니다. 새 5마리.
  • 불꽃방망이20.10.03 21:59:26
    1
    @불꽃방망이 안정환//일본어로 鳥(とり:토리)는 넓은 뜻으로 새라는 뜻이 맞지만, 일반적으로 일본인들은 닭의 뜻으로 사용합니다.

    예 : 영화 토리하다 = 토리(닭) 하다(살) = 닭살 = 소름 으로 해석해서 우리나라에서는 소름이라는 제목으로 상영했어요.
  • 안정환20.10.03 23:17:39
    0
    @불꽃방망이 일반적으로 닭의 뜻으로 사용하는지는 몰랐어요. 감사합니다~
  • 은하코끼리20.10.03 21:56:47 댓글
    0
    윗도리 아랫도리.
    닭을 도리치다 에서 나온 닭도리탕.
    순우리말이라는것이 우세함

    일본어 도리(새) 와는 다른단어임
  • zifal20.10.03 23:28:07
    0
    @은하코끼리 순 우리말로 바꿔주세욨!
    윗볶음 아랫볶음 으로요~
  • 잉여왕20.10.03 21:44:19 댓글
    0
    나루호도
  • 내국인노동자20.10.03 21:49:59 댓글
    0
    구라가 일본어라고?? 일본어서 파생된건디
    그러면 브금.케바케.스겜.하드케리.너프.스펙.썸.셀카 전부
    영어라고 해야하나?? 구라가 저런식으로 탄생한 단언디

    적어도 간지 이거 말고 오리지날 일본어는 없는데
    애매하다는 아이마이데스. 기스는 기즈. 닭도리 이건 애시당초
    도리가 그 새도 아니고 닭새탕?

    간지 말고 없규먼
  • 장와레즈고고20.10.03 21:55:55 댓글
    3
    일본어 잔재가 많겠냐
    영어 잔재가 많겠냐
    그냥좀 써라
  • 제킨20.10.04 02:56:04 댓글
    0
    일제강점기에 일본어 사용이 강요되었다가 광복이 된 후에도 일부 일본어가 남아 아직도 사용되니 잔재,
    영어 등 일본어 이외의 외래어는 우리가 필요에 의해서 혹는 원해서 사용하니 잔재가 아니죠
  • 바꾸기어렵다20.10.03 21:58:47 댓글
    0
    애매하다랑 모호하다는 다른 말입니다. 애매하다는 중의성을 의미함. 중의성은 한 문장의 의미가 둘 이상이지만 그 의미의 수가 한정돼 있음을 의미하고, 모호성은 중의성과 마찬가지로 한 문장의 의미가 둘 이상이지만 그 의미가 한정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예쁜 영희와 수진이가 사과를 먹는다'라는 문장은 '영희는 예쁜데 수진이는 어떤지 모른다'와 '영희와 수진이 둘 다 예쁘다'라는 중의성을 띄지만 문장 해석의 수가 한정 되죠.

    모호성을 띄는 문장의 예는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언제 밥 한번 먹자'를 들 수 있습니다. '언제'가 내일이 될 수도 모레가 될 수도 사흘, 나흘 혹은 한 달, 두 달, 일 년이 될 수도 있거든요.
  • 백_수_왕20.10.04 01:59:10 댓글
    0
    생선이 사라졌다!
    눈밭에 찍힌 도둑고양이의 발자국을 쫓아간다.
    세 갈래의 길 앞에서 발자국이 사라졌다. 왼쪽, 오른쪽, 가운데 어느 쪽으로 점프해서 토꼈는지 "애매"하다.

    그 순간 내 옆으로 뭔가가 후다닥하고 지나갔다.
    하지만 너무 빨라 제대로 보지 못했다. 그게 개였는지, 큰 쥐였는지, 고양이였는지, 너구리였는지, 또 고양이라 해도 그 놈이 도둑이 맞는지... 그냥 "모호"하다.
  • 특수전게릴라20.10.03 22:04:31 댓글
    0
    식민지을 겪었던 나라의 부작용 이랄까?
    예전에 중국 만주지방쪽에 출장갔을때
    신기한게 외래어중 일본어가 가장 많았음
    예전에 일본이 만주국으로 괴뢰국 식민지를 겪어서
    그렇다고 들었음

    우리나라는 일제 식민지를 겪고, 이후에 거의
    미국의 영향을 많이 받아서
    외래어중 영어가 가장 많고 그다음으로 일본어가
    많음
  • 크리스탈워터20.10.03 22:34:33 댓글
    0
    야리끼리
  • 뚜웰부몽키쮸20.10.03 22:37:07 댓글
    0
    온갖 외래어 덕지덕지 써대면서
    그중에 일본건 무지 골라낼려고 애쓰넹..
    어짜피 자연스레 쓰다 사라질거같은데
    이제부터 일본차 일본제품쓰는애들 잡아다가 돌팔매질어때?
    나쁜거자나
  • 삼선슬리퍼20.10.03 22:40:33 댓글
    0
    건축현장에 입문하면 거의 일본어라고 생각하면 됨..
  • 야즈부키20.10.03 22:57:02 댓글
    0
    방위산업체 다닐때 현장 아조씨들이 공구들 이름 거진 다 일본말로 했었음
    겐사끼 달려 있는 스패너좀 가져와라
    갓따(볼트커터)좀 가져와라 아니면 드릴날을 기리라고 부르던지..
    오늘은 야리끼리다 그러니 열심히 해~ 빠루 라던지..
    일본어 참 많았음
    아 그리고 독고다이도 일본어 (가미가재 특공대 ) 를 지칭하는 단어라는거 알고 놀랬음
  • 허언증예언가20.10.03 23:13:01 댓글
    0
    구라가 어떻게 일본어에서 나온걸까 거짓말은 일본어로 우소 라고 하는데...
  • ninza20.10.03 23:29:57 댓글
    0
    뭐, 일본말도 사투리 정도라고 생각한다. 언젠간 저 스키들 우리 밑에 둬야하지 않겠나?
  • 건물주0920.10.04 00:16:21 댓글
    0
    일본어잔재... 차량 후진시킬때 쓰는 오라이 ... all right의 일본발음
  • 고스뜨20.10.04 00:42:49 댓글
    0
    구라의 어원에 대해선 일본어 -晦ます[kuramasu] : 감추다, 속이다 -에서 유래된 것이라는 설이 있긴 한데, 이 또한 2010년대에 들어서야 나온 설이고, 우리말 속어였다고 보는 쪽이 더 많은 것 같네요.



    구라
    1.
    명사 ‘거짓말’을 속되게 이르는 말.

    2.
    명사 ‘이야기’를 속되게 이르는 말.

    3.
    명사 거짓이나 가짜를 속되게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 SF덕후20.10.04 01:13:08 댓글
    0
    반짝반짝을 뜻하는 일본어 'ぴかぴか(삐까삐까)'에서 나온 '비까번쩍'이 없네요. 요즘 안 쓰나?
  • 아베씹새끼20.10.04 02:20:15 댓글
    0
    구라안치고 아베 개간지
  • riotfu20.10.04 16:24:03 댓글
    0
    지속적인 교육으로 그래도 요세는 제 세대 보다 훨씬 안쓰더라고요..

    좋은 현상입니다.

엽기유머 인기 게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