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방문

세계제일 독일

국제호구 작성일 15.03.22 22:18:46
댓글 22조회 11,934추천 5

 

                           142703031610062.jpg
 

 

 

 

142703016555926.jpg

142703016522804.jpg

142703016522947.jpg

142703016549744.jpg

142703016785756.jpg

142703016594117.jpg

142703016929740.jpg

142703016849388.jpg

142703016947748.jpg

142703016820547.jpg

142703016847646.jpg

142703017165836.jpg

142703017292827.jpg

142703016911188.jpg 

 

국제호구의 최근 게시물
  • 동현7615.03.22 23:02:14댓글바로가기
    0
    우리나라 인쇄술은 아무 쓸모없는 인쇄술이었죠. 구텐베르그전에 서양에도 그 정도 인쇄술은 있었습니다. 한국보다야 느리지만요. 구텐베르그활자의 진정한 의의는 금속활자 인쇄가 아니라 값싸게 다량으로 찍는 기술을 발명해서 대중들에게 지식을 전파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죠. 금속활자판 만들어놓고 그 위에 종이로 탁본뜨듯이 인쇄한 한국의 수작업 활자인쇄술은 아무런 문화사적 가치가 없죠.
  • 하하맨15.03.22 23:10:05댓글바로가기
    0
    무슨 말도 안되는 소리십니까? 서양에 그 정도 인쇄술이 있었다구요? 서양도 필사본이 주류였습니다
    평생을 필사만 하던 수도승이 있던 이유기도 하구요. 우리도 필사가 중요했구요. 서양과 우리의 가장 큰 차이는
    구텐베르그는 성경을 찍어내도록 교황청이 지원을 해준겁니다. 이유가 있었던거죠. 우리도 불교가 계속 융성했으면 불경을 무지하게 찍어내면서 더욱 발전했을겁니다. 성리학 경전은 전 백성이 볼 필요가 없으니 지속적인 발전과 대량생산이 안된겁니다
  • 0
    쓸모가 없다니 님땜에 검색해보니 님이 말한 방식이 맞고 유네스코기록유산으로 직지가 올라 가있다네요
    어쨋든 세계최초는 맞고 그 활용도나 발전은 구텐베르그전이고
    나중에 더 좋은게 나왔다고 그전꺼는 다 쓸모 없는건가요?
    요즘 우리나라 안좋은쪽으로 1등 휩쓸고 있는데
    그나마 있는 좋은거 1등 무시하지 맙시다

  • skaqhr15.03.22 22:25:30 댓글
    0
    인쇄술은 우리나라가 80몇년 더 앞선다고 알고있는데...
  • 동현7615.03.22 23:02:14 댓글
    0
    우리나라 인쇄술은 아무 쓸모없는 인쇄술이었죠. 구텐베르그전에 서양에도 그 정도 인쇄술은 있었습니다. 한국보다야 느리지만요. 구텐베르그활자의 진정한 의의는 금속활자 인쇄가 아니라 값싸게 다량으로 찍는 기술을 발명해서 대중들에게 지식을 전파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죠. 금속활자판 만들어놓고 그 위에 종이로 탁본뜨듯이 인쇄한 한국의 수작업 활자인쇄술은 아무런 문화사적 가치가 없죠.
  • 하하맨15.03.22 23:10:05
    0
    무슨 말도 안되는 소리십니까? 서양에 그 정도 인쇄술이 있었다구요? 서양도 필사본이 주류였습니다
    평생을 필사만 하던 수도승이 있던 이유기도 하구요. 우리도 필사가 중요했구요. 서양과 우리의 가장 큰 차이는
    구텐베르그는 성경을 찍어내도록 교황청이 지원을 해준겁니다. 이유가 있었던거죠. 우리도 불교가 계속 융성했으면 불경을 무지하게 찍어내면서 더욱 발전했을겁니다. 성리학 경전은 전 백성이 볼 필요가 없으니 지속적인 발전과 대량생산이 안된겁니다
  • 버드화이트15.03.22 23:19:26
    0
    하하맨님 성리학 경전을 전국민 볼 필요가 없으니 지속적으로 안한것이 아닙니다. 그당시 금속활자는 철이 아닌 주로 구리로 만들었습니다. 하지만 조선에는 구리가 얼마 생산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대량으로 수입을 해야 했습니다. 주로 일본과 중국에서 수입했지만 구리는 주요한 군수물자였습니다. 현재와 다르게 그당시는 강철생산이 매우매우 힘들었거든요. 세종대왕때에는 하루 주조 글자가 약 3천500자였고 이는 하루 3백여자를 만들었던 구텐베르크보다 10배이상이였습니다.
    다만 국가주도로 만들었다보니 국책사업에서만 사용되었고 구텐베르크 활자는 민간에서 만들어져서 다양한 계층이 향유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구텐베르크를 높이 평가해야하는것은 그는 유성잉크를 만듬으로써 수용성 먹에비해 편리하게 인쇄를 할 수 있게 되었다는데 중요합니다.
  • 동현7615.03.22 23:20:46
    0
    필사본 주류같은 소리하시네요. 그리고 교황청이 지원을 해줘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아 진자 개그하세요 지금? 성경을 성직자만 보면서 독점하던 체제를 무너뜨려서 서양지식사 전체를 바꿨다고 평가받는 것이 구텐베르그의 성경인쇄입니다. 교황청에서는 당연히 반대하는 일이구요. 참고로 성리학 경전은 전 백성이 고루 볼 필요가 있다고 한글을 만들어서 뿌리던 분이 바로 세종을 위시한 조선의 왕들입니다. 애초에 한글의 창제목적이 그거고 가장 먼저 금속활자로 찍혀서 나온 책도 전 국민에게 언문보급한 책이에요. 금속활자 자체가 그런 중앙에서 대량으로 찍어서 뿌리려는 목적에서 원가절감 차원으로 만들어진 제도입니다. 지금 전공자 앞에서 문자 쓰시는거 알아요? 조선의 문헌생산량은 엄청나게 고려시대하고는 비교자체가 불허입니다 이 사람아. 삼강오륜, 소학 같은 책을 중앙과 각 지역거점에 분사에서 수 만권씩 찍어제끼던 나라가 조선이요
  • 동현7615.03.22 23:23:17
    0
    참고로 우리가 금속활자로 찍던 시절에도 중국은 목활자로 일본은 목판으로 대량인쇄를 했어요. 심지어 중국 명나라 사신은 금속활자를 조선에서 받아서 자기 나라로 들고갔지만 그걸 이용하지도 않았지요. 왠지 아세요? 금속활자는 의외로 마모가 심하고 주조비용도 많이 드는데다 고려, 조선의 금속활자는 활자로 틀을 짜서 그 위에 탁본뜨듯 종이로 인쇄하는 방식으로 속도가 매우 느립니다. 대량생산에 그다지 효용이 없어요. 그래서 바로 옆나라인 일본 중국에 조차도 보급이 안되고 개네들은 지들 방식대로 목판, 목활자를 발전시킨 겁니다. 심지어 조선조차도 임진왜란 이후로는 돈이 없어서 가성비 안맞는 금속활자를 못만들고 대부분 목활자를 만들어 책을 찍어서 전국에 뿌렸어요. 알기나하고 지금 말하는거임? 그래서 조선의 금속활자는 태종, 세종, 세조 조선 전기에 가장 활발히 만들고 임란이후 조선후기는 거의 제조된 적도 없고 만든 활자도 전기보다도 질이 조잡하죠. 왜 안만들었겠어요? 별 가치가 없으니까. 싸지도 않고 대량생산이 제대로 되는 것도 아니고.

    참고로 서양도 아미앵에서 양피지 찍는데 만들어진 금속활자등 이미 초기형 금속활자를 몇번씩 만들었던 이력이 있어요. 하지만 고려, 조선의 금속활자처럼 대량생산이나 저렴하게 생산하는 등의 이점이 전혀 없어서 그냥 연습용 몇번으로 다 사장된거 뿐입니다. 아무런 문화사적 가치가 없는 말 그대로 '기술'이죠. 구텐베르그가 무슨 천상에서 내려온 장인이라 갑자기 뚝딱 금속인쇄술을 그것도 프레스기계를 이용한 대량인쇄술을 개발한지 알아요? 그 전에 선행기술들이 이미 시도되고 있었던 속에서 나타난겁니다. 하지만 그런 기술들은 문화사적으로 별 의미는 없으니 전공자들 아니면 일반에게는 알릴 필요도 없어 잘 모르는 것 뿐이에요
  • 미쳐날뛰는존15.03.22 23:34:42
    0
    쓸모가 없다니 님땜에 검색해보니 님이 말한 방식이 맞고 유네스코기록유산으로 직지가 올라 가있다네요
    어쨋든 세계최초는 맞고 그 활용도나 발전은 구텐베르그전이고
    나중에 더 좋은게 나왔다고 그전꺼는 다 쓸모 없는건가요?
    요즘 우리나라 안좋은쪽으로 1등 휩쓸고 있는데
    그나마 있는 좋은거 1등 무시하지 맙시다

  • 호랑이전골15.03.22 23:56:30
    0
    가치가 없다니 웃고 갑니다
  • 요시아빠15.03.23 00:14:52
    0
    박사학위 따고 교수나 연구원 하시는 분이 아닌 이상에야 상당히 신뢰도가 떨어지긴 합니다만... 일단 전공자라고 하시니 하시는 말씀에 학사 졸업장 정도의 신뢰는 생기네요.

    직지심경은 문화적 가치가 없는 '기술' 이라며 기술의 가치를 무시하셨는데, 문화가 기술을 필요로해서 기술이 만들어질 때도 있지만 기술이 문화를 선도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아무래도 유네스코는 ㅄ들만 모여있어서 직지심경 따위를 문화유산으로 정했나보네요. 대량생산의 성공이 아니라 대량생산의 최초 시도 따위는 문화적으로 아무런 가치가 없으니까요. 그냥 기술박물관 같은데나 기네스북에 등재되면 딱일텐데....

    뭐 영문학과 나온 애들조차 영어에 대해 항상 옳은 말만 하는 것은 아니니까 잘 걸러서 듣겠습니다.
    좋은 의견 감사 드립니다. 왜 아이들에게 우리 문화유산의 가치에 대한 제대로 된 교육을 제공해야 되는지에 대해 다시한 번 깊이 생각할 수 있었습니다.
  • csy956415.03.23 04:03:43
    0
    구텐베르그활자를 더 높이 평가하는 것은
    세계사가 서양 중심으로 기술되어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전형적인 모습입니다.
    ...
    무엇이든 "시작"이 중요한겁니다. 그 발전은 시작이 있기에 가능한 거구요.
    엄연히 인쇄라는 것을 먼저 생각해낸 것이 우리 민족이거늘..
    그런 식으로 따지면, 중국의 짝퉁 스마트폰도 값이 싸서 대중화에 기여했으니 더 좋은거라 할 수 있겠군요.
  • 슬룡사랑15.03.23 07:46:34
    0
    한국이 인쇄술이 아무리 빨랐다고 한들 역사적으로 아무런 도움도 안되었고, 국민들이 도움을 못받았으니 의미가 없음. 그냥 특권 계층 책 좀더 싸게 봤을뿐..구텐베르그활자에 비하면 역사적 의미가 없다시피함.

    그러면 세계최초의 신문은 옆에 게시글같이 선조시대에 나타났다고 세계에 말해*? 누가 인정해줄려나

    최초로 나타난것도 중요하지만 역사적으로 역할한게 전혀 없으면 의미가 없는것임.

    국뽕도 나라가 자랑스러워야 국뽕하지

    그지같은 대한민국 국뽕짓하고 잠이 오셔?
  • 동현7615.03.23 08:03:52
    0
    구분도 못하면서 그 놈의 직지드립은 지겹네요. 직지는 중세에 금속활자로 찍은 가장 오래된 문헌이라는 점에서 예술적 가치를 인정받는 것이고 그 직지를 찍은 금속활자인쇄술의 문화사적 가치는 전무한 겁니다. 직지 자체도 우리나라 제외하면 세계 어느나라에서도 제대로 쳐주지도 않아요. 유네스코요? 유네스코가 세계 각국들이 자기나라 유물 및 자연유산 등재하려고 얼마나 로비하는지 알면 그런 인정드립은 못칠걸요? ㅎㅎㅎ 한국의 인쇄술이 해외로 전파해갓으면 아이폰처럼 최초로서 인쇄문화사적 의미가 있죠. 하지만 현실은 바로 옆나라인 일본, 중국조차도 별 관심없이 자기나라 방식을 애용했고 조선중후기엔 조선조차도 안썼죠. 직지는 인쇄한 가장 오래된 문헌이라는 점에서 그냥 골동품적인 가치를 인정받는거고 직지자체도 문화사적인 의미는 거의 전무한 유물인데다 인쇄기술은 말할ㅈ것도 없이 거의 무가치하다보면 됩니다. 그 증거로 인쇄문화사에 관한 책을 보면 해외학자들이 저술한 책은 금속활자인쇄술어 관한 언급은 제로에 가깝고 직지도 가장 오래된 인쇄본 책이라 한줄정도 언급되죠. 아무에게도 영향도 안주고 그냥 자기들끼리 만들어서 써보다가 자기들조차도 안쓴 기술이 고려,조선의 금속활자인쇄술이요
  • 하하맨15.03.24 01:00:02
    0
    제가 아는 얕은 지식으로 구텐베르크 성격은 교황청의 주문으로 만들어진걸로 압니다. 그 이전에는 면죄부를 찎어냈구요.
    버드화이트님 말씀대로 유성잉크를 이용한 활판인쇄술은 매우 중요한 업적이라고 생각합니다
  • 미쳐날뛰는존15.03.24 17:23:53
    0
    아 답답하네 같은 말인데 동현님은 그냥 기분나쁘게 말하는거고다른 사람들은 좋게 말하는 차이?
    첫 댓글에 님이 적은 한국보다야 느리지만요 이부분을 말하는거에요
    구텐베르그가 더 실용적이고 실용화되어 발전 되고
    울나라 금속인쇄술은 비효울적이였고 사장되었다
    그래도 먼저 개발 되었다는 사실이 변하지는 않습니다
    그래서 님이 말씀 하신거 처럼 한줄 정도는 언급 되어 있잖아요
  • zeppel15.03.23 00:00:23 댓글
    0
    키아~주모 여기 국뽕 한그릇 말아 달랑께
  • 뷰티풀베이비15.03.22 22:37:55 댓글
    0
    외계인이라도 납치한게 아닐까...!
  • 어엿쁜개자15.03.22 23:12:33 댓글
    0
    리바이 스트라우스는 미국으로 이주한 독일인이랍니다. 청바지 만든 건 미국으로 이주한 후입니다. 고로 청바지는 미국에서 처음 만들어졌습니다.
  • 낵아누구게15.03.22 23:15:13 댓글
    0
    컴퓨터는 잘못된 내용입니다. 최초의 전자식 컴퓨터를 말하는 거라면 1939년 미국 아이오와 주립대학의 존 아타나소프가 개발한 아타나소프 베리 컴퓨터(ABC) 가 최초의 컴퓨터입니다. 기계식은 찰스 배비지 등 훨씬 전부터 존재했었구요..
  • 조커프라이드15.03.23 01:54:54 댓글
    0
    ㄷㄷ
  • 디뮤15.03.23 03:09:42 댓글
    0
    아인슈타인은 유태인
  • 잡동사니라고15.03.24 01:24:51 댓글
    0
    보험제도도 독일이 최초임..
게시글 목록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추천수
게시글 목록
736723 불꽃웅이 13:02:47 480 0
736722 중중스님 12:57:05 535 4
736721 소년이라고 12:45:41 715 2
736720 퐁당동당 12:37:08 855 4
736719 라이크어스 12:23:50 943 2
736718 웨이빙플래그 12:15:17 972 8
736717 퐁당동당 12:06:44 1,205 6
736716 빛고을속정글 12:01:02 1,369 8
736715 짱구옷말리는중 11:49:38 1,212 5
736714 계라안 11:40:08 1,275 5
736713 계라안 11:34:26 1,401 5
736712 하메론 11:33:29 1,279 0
736711 돈다옵스트 11:26:50 1,376 2
736710 퐁당동당 11:21:08 1,461 5
736709 늦은밤이네요 11:15:26 1,597 9
736708 짱구옷말리는중 11:04:02 1,483 8
736707 퐁당동당 10:55:29 1,927 8
736706 소년이라고 10:50:44 1,823 10
736705 별사탕이다 10:42:11 1,822 10
736704 계라안 10:36:29 1,828 5
736703 퐁당동당 10:30:47 2,004 7
736702 하땅비 10:26:51 1,738 0
736701 웨이빙플래그 10:22:14 1,672 3
736700 청자고둥 10:20:58 1,653 4
736699 퐁당동당 10:16:32 2,122 5
736698 비보북제로 10:11:47 2,011 6
736697 라이크어스 10:04:11 1,861 5
736696 별사탕이다 09:53:44 2,134 13

엽기유머 인기 게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