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방문

급발진 방지 장치 아이디어 한번 봐주세요

행복짱공러 작성일 23.09.14 11:45:41
댓글 28조회 12,407추천 7
e0f3dc2a10ec053cd769b579a0e05602_504265.png
93760253c07ac529fdb871549849ac01_748703.png
157e577ece2f551323e64bb03acbc9fa_789880.png

제가 직접 착안한 급발진 방지장치 아이디어 입니다

짱공형님들 보시기엔 어떠신지 의견이나 개선사항 제안해 주십사 올려봅니다 ^^

 

 

  • 몽땅니탓23.09.14 15:27:31 댓글
    0
    문과 출신이 보기에는 참신해 보입니다~
  • 행복짱공러23.09.14 19:08:43 댓글
    0
    관심 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 엘리트프로그래머23.09.14 16:02:17 댓글
    0
    이과 출신입니다. 좋은 아이디어로 보입니다.
    메인아이디어쪽 예시를 보면 위에서 아래로 내려와서 바퀴 굴림을 버텨주는 장치라고 보여지는데
    일단 생각하신 것처럼 내구성이 첫번째 관건이라고 보여지구요, 두번째는 매우 단순한 조작만으로 100% 확실한 작동 보장성만 된다면 바랄게 없겠네요.
    급발진이든 브레이크착각해서 밟은 엑셀이든 둘 다 효과적으로 방어될 것으로 보여요.
    나머지는 다른 전문가 분께서 의견주실 겁니다.
  • 행복짱공러23.09.14 19:08:13 댓글
    0
    메인아이디어는 차륜이 공회전하게 고안했습니다만 그 부분 설명이 빠졌네요 차후 수정하겠습니다 의견 감사합니다! ^^
  • 욘두23.09.14 17:35:49 댓글
    0
    꼭 실용화 되면 좋을것 같은 아이디어 입니다.
    장난으로 쓰신게 아니고 진지하게 작성하신 글이니 저도 진지하게 답변 답니다.

    우선 위 장치의 간단한 작동예시로 보았을때 문제점은 크게 3가지로 보입니다.

    1. 휠 하우스 내 해당 장치의 적재 공간 확보에 대한 이슈
    아시다시피 자동차의 바퀴는 서스펜션과 댐퍼, 스프링에 의해 상하좌우로 쉼 없이 움직입니다.
    때문에 해당 장치의 적재로 인해 바퀴의 거동에 간섭을 줄 수 있으므로,
    필연적으로 해당 장치를 고려한 자동차 설계 단계의 변경이 필요해보입니다.

    2. 조향 불가 현상에 대한 이슈
    자동차의 조향은, 조향을 담당하는 앞바퀴가 '굴러감'으로서 가능해집니다.
    앞바퀴가 한쪽 방향으로 돌아가 있는 상태라도, 바퀴가 굴러가지 않으면 차량의 진행 방향으로 미끄러질 뿐이기에,
    위와 같은 장치의 구조로는 조향 불가에 대한 이슈가 해결되지 않습니다.
  • 욘두23.09.14 17:36:05 댓글
    0
    3. 타이어 화재에 대한 이슈
    해당 장치와 노면은 마찰계수가 높은 재질로 맞닿아, 결과적으로 차량의 진행 자체를 멈출수는 있겠습니다만
    해당 장치와 타이어는 마찰계수가 낮은 재질로 맞닿아 있기 때문에, 급발진 동안은 필연적인 마찰이 지속해서 발생할 것입니다.
    (차량이 멈춘다 해도 급발진 동안은 타이어가 계속해서 회전할 것이기 때문에.)
    이 경우 타이어 화재의 위험이 존재하게 되므로, 이 이슈 역시 문제의 소지가 있을것 같습니다.

    이와 같은 운전자의 안전을 보장해줄 수 있는 장치의 상용화를 바라는 사람으로서,
    진지하게 댓글 달아 보았습니다. 꼭 행복짱공러님의 아이디어로 운전자의 안전이 보장되는 제품이 상용화 되기를 바랍니다.
  • 행복짱공러23.09.14 19:03:58
    0
    @욘두 아 이 부분을 신경을 못썼네요 의견 감사합니다 참고하겠습니다^^
  • N™23.09.14 19:44:23 댓글
    0
    전자장치가 자동으로 급발진 이상 징후를 확인해서 작동하는 예방 장치인지, 아니면 급발진 이상 증후가 일어난 뒤에 운전자가 수동으로 조작하는 방식인가용?.
  • 행복짱공러23.09.14 20:12:05 댓글
    0
    급발진 발생 시 이미 전자장치는 먹통이 되버린 상태가 되는 것으로 생각되고 또 기계장치만으로 충분히 제작이 가능합니다 수동조작이죠 ^^
  • 찢석열구속23.09.15 09:20:58 댓글
    0
    이걸 왜 우리가 아이디어 짜고 만들어야하는 상황까지 온게 주옥같네요
    안전은 제조사가 책임지고 이런일이 안일어나게 예방하고 신경쓰고 만들어야지 법이 진짜 줫같으니까 이렇게까지 해야하는게 진짜 기분이 나쁩니다 ㅋㅋㅋ
    그리고 저런 추가장치는 국토부에 승인도 받아야되고 안전성문제 그리고 구조변경 신고도 해야하고 .. 우리가 불리한 판결을 많이받는 우리나라 법환경에서는 저런 장치로인해 사고났다고 할게 뻔한 국내제조사들의 ㅈ같은 행태가 뻔히 보이기도하구요.
    도움은 못되고 현실적인 얘기만했네요 ㅠ
    응원할게요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급발진에 하려면 어쨋든 연료가 필요하기에 연료라인을 수동으로 컷내는 장치나
    연료통에서 흘러들어가는걸 막는다든가 그러면 4짝 만들필요도 없고 구조도 간단하고 안전성입증할것도 없고
    컷하더라도 연료라인만 갈면되고 뭐 이런쪽이 좋지않을까요?
  • 행복짱공러23.09.15 13:20:57 댓글
    0
    그것도 좋긴한데 제동이 안걸리면 관성에 의해 계속 전진하게 되니까 안전성이 보장된다고 보기 좀 어렵긴합니다 급발진 상태에서는 브레이크는 전혀 안먹고 조향만 가능하니까요 그래도 짧은 거리 안에서 실속시켜서 제동시키는 방법도 가능하니 연료라인 컷팅도 꽤 괜찮은 아이디어 같습니다 쓰로틀 밸브 차단도 생각은 해봤는데 어쨋든 초기 아이디어이니 여러가지로 고안해봐야죠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제조사 쪽은 특허받은 내용 아니면 진행불가하다고 통보받았기 때문에 지금 특허까지 받을 상황도 안되고 그냥 오픈소스로 풀어버리는 거에요 다른 분들이라도 관심가시면 맘껏 쓰시라고요ㅋㅋ 암튼 감사합니다~~
  • 찢석열구속23.09.15 15:15:14
    0
    @행복짱공러 브레이크는 전자식이랑 상관없이 잡히는걸 전제로 얘기해본거에요
    브레이크가 안먹는건 아니고 가속력보다 브레이킹이 현저히 떨어져서 안되는거 아니에요?
    양발로 풀브레이킹연습 해보거나 면허딸때 좀 가르켜줬으면 좋겠음
    비머는 드라이빙센터에서 가르키는데 현기는 그런게없음
  • 행복짱공러23.09.15 15:34:14 댓글
    0
    그게 한블리보니까 급발진의심 사례자들 공통적인 브레이크 이슈 언급내용이 브레이크가 아예 밟히질 않는다 하고 밟아도 반응이 없었다하고 등등 보면 브레이크가 아예 무력화된다고 보여집니다 그래서 edr기록 보면 브레이크 조작값이 0으로 나오더군요
  • 찢석열구속23.09.15 15:45:30
    0
    @행복짱공러 반응이 없었다는 가속중인데 속도가 안줄어서 느끼는 경험같고 실제로 브레이크는 작동방식이 물리력이기때문에 급발진이라고 브레이크가 무력화되진 않다고 봅니다.
    요즘 차들은 어떨지 모르겠는데 제가 알기론 브레이크는 순전히 사용자의 다리힘에 좌지우지되는걸로 알고있고 차는 진공배럭으로 답력을 증가시켜주는거 아니에요?
  • 행복짱공러23.09.15 15:56:28 댓글
    0
    페달이 밟히는 반응이 없었다는 얘기입니다ㅋ 아예 프리징되었다는 거죠 한블리에서 브레이크가 급발진 시 프리징되는 이유도 설명이 나왔었는데 한참 전에 봤던 내용이고 제가 전문가도 아니라서 잘은 모르겠어요ㅠㅠ
  • 찢석열구속23.09.15 16:02:02
    0
    @행복짱공러 그래유? 저도 좋문가라서 ㅋㅋ 잘은 모르고 제가 알고있는 브레이크 지식선에서는 안밟힐리가 없다고 생각해서
    물어봤었네유 ㅋㅋㅋㅋ 시동이 꺼져서 진공배럭이 안차서 그런건가 싶기도 하구요
  • 행복짱공러23.09.15 16:07:08 댓글
    0
    찾아보니 진공펌프 관련내용이 나오긴하고 저도 한블리내용에서 진공관련 문제라고 들은 기억이 있어요 그 문제 관련이긴 한가봐요 ㅋㅋ
  • 혁재야털뽑자23.09.15 14:47:19 댓글
    0
    1. 차량이 장치 위로 올라가는 순간 충격이 클 것 같습니다
    이를 위해 레일형태로 회전하며 높이가 낮은 구조로 만드는 방식을 제안드립니다. 쓰레받기처럼 들어올리는거죠.
    2. 레일의 회전 속도가 차속과 일치한다면 충격을 더 줄여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3. 장치로 인한 마찰 상태시 조향 가능성에 대한 고민이 필요합니다.
    4. 장치의 현재 구조로 보았을때 대부분의 차량에서 설치공간이 부족할 것 같습니다. 구조적 개선이 필요합니다.
  • 행복짱공러23.09.15 15:43:28 댓글
    0
    오 레일형태라!! 생각해 본 적 없는 굿아이디어 제공 감사합니다!ㅋㅋ
    3번 문제는 생각해놓은 개선방법으로 보완 가능해보이는데 차후 수정 시 반영하겠습니다 실제 개발과정에서 재질이나 구조적인 확장성을 염두에 두고 개발하면 극복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소중한 의견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되세요~^^
  • 오사카에서23.09.15 15:05:15 댓글
    0
    급발진 재동장치 저거 자동말고 수동해도 괜찮을듯
  • 행복짱공러23.09.15 15:36:19 댓글
    0
    네 물론입니다 수동으로 설계도 가능하고 그게 더 안정적일 것 같기도 합니다ㅋㅋ
  • club대충23.09.15 15:39:01 댓글
    0
    형 올린건 좋은데 특허 등록 간단하게라도 먼저해
    별거아닌 아이디어는 없잖아요! 하다못해 컵라면 뚜껑도 특허등록인데
  • 행복짱공러23.09.15 15:48:39 댓글
    0
    특허라는 게 간단하게 되는 것이 아니라 상당히 까다로운 요건을 갖춰야 한다고 알고 있던지라 시도할 생각도 못하고 있었습니다 님 의견대로 특허출원도 생각해볼게요 저는 제 개인의 영달보다 사람들 목숨이 더 중요하게 생각되서 능력되시는 분들이 빨리 상용화시켜주셨으면 하는 마음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님 덕에 감동받음ㅋㅋ 좋은하루되세용~~
  • club대충23.09.15 17:24:07
    0
    @행복짱공러 저도 특허에대해 자세히는 모르지만 저렇게 자료까지 준비하신 정성인데
    혹시라도 누군가 훅 뺏어버리면 이란 생각을 잠시 했습니다.
    이래서 안돼 저래서 안돼라고 해도 결국 모든 발전은 행복님 같은 분들의 시작점에서 발전하는 것이겠죠
    세상이 이리 발달했는데 대체 우산은 왜???란 생각으로 사는 1인 입니다.
  • 행복짱공러23.09.15 18:25:27 댓글
    0
    우산얘기 재밌네요 ㅋㅋㅋㅋ 감사해용~
  • 삭제 된 댓글 입니다.
  • 행복짱공러23.09.15 21:47:00 댓글
    0
    사이드브레이크가 그런 장치 아닌가요? 사이드브레이크랑 다른 원리로 만드는 방법을 말씀하시는 거면 그게 더 낫긴 하겠네요 ^^ 저도 그렇게 자세한 부분까진 몰라서리... ^^;; 의견 감사합니다~
  • 하구놀자23.09.19 19:04:55 댓글
    0
    안전: 튕겨져나가거나 파편으로 인한 2차 사고가 없어야겠고
    비용: 이것때문에 아마 실용화가 쉽지 않을수 있는데 차의 무게, 엔진의 강한토크와 회전력을 견디려면 내구성이 뛰어나야할텐데 강도가 강한 재질일수록 비용이 많이 든다는 부분이 개선되면 가능하지 않을까 싶네요!
  • 행복짱공러23.09.20 19:41:30 댓글
    0
    앗! 정말 중요한 점을 지적해주셨네요! 비용...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걸 왜 생각을 못했을까요... 갈 길이 머네요...ㅋㅋㅋ 감사합니다~
게시글 목록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추천수
공지 자료올리실적 필독. 시아z 2012.07.11 1,154,401 -
게시글 목록
20856 pplove 2025.05.07 23,526 23
20855 VENDETTA 2025.05.06 31,178 16
20854 돌핀시계 2025.05.02 48,817 1
20853 악의곰탱이 2025.05.02 58,205 13
20852 국철1호선 2025.04.03 241,002 18
20851 유치원때모델 2025.04.02 243,711 12
20850 contonia 2025.04.01 241,168 4
20849 _Alice_ 2025.03.26 274,062 0
20848 닥스훈수 2025.03.16 330,184 2
20847 mymill 2025.03.08 389,202 18
20846 가라뜸부기 2025.03.05 394,515 3
20845 _Alice_ 2025.02.21 447,884 21
20844 빛고을속정글 2025.02.21 448,359 23
20843 유자차생강 2025.02.18 452,810 36
20842 얍샵제갈량 2025.02.14 458,232 12
20841 오뉴아빠 2025.02.09 469,991 1
20840 얍샵제갈량 2025.01.31 500,819 16
20839 이인다겸사랑 2025.01.28 505,065 7
20838 _Alice_ 2025.01.20 527,398 24
20837 엉덩일흔드록바 2025.01.18 529,732 2
20836 원투뜨리찌빠 2025.01.16 546,118 22
20835 김돌 2025.01.14 522,527 12
20834 contonia 2025.01.12 521,211 3
20833 욘두 2025.01.10 529,423 31
20832 얍샵제갈량 2025.01.09 521,841 38
20831 아마존상어 2025.01.09 495,196 3
20830 얍샵제갈량 2025.01.08 485,795 2
20829 후냉 2025.01.06 491,210 9

자동차·바이크 인기 게시글